소개글
"EKG, 모니터, 제세동기 사용법, 기관내삽관 간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EKG 및 환자 모니터링
1.1. EKG 사용법
1.2. 환자 모니터 사용법
2. 제세동기 사용법
2.1. 제세동 (Defibrillation)
2.2. 심율동전환 (Cardioversion)
3. 기관내삽관 (Intubation) 간호
3.1. 기관내삽관의 정의
3.2. 기관내삽관 준비물 및 절차
3.3. 기관내삽관 간호
3.4. 기관내삽관 제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EKG 및 환자 모니터링
1.1. EKG 사용법
EKG 기계의 전원을 켠 후, 환자의 흉부 전극 부착 부위를 깨끗이 닦고 말린다. 전극 집게를 정확한 위치에 부착하여 EKG 신호를 측정한다. 환자의 오른팔(RA-빨강), 오른다리(RL-검정), 왼팔(LA-노랑), 왼다리(LL-초록) 부위에 각각 전극을 연결한다. 그 외에도 V1(우측 흉골 경계연 4번째 늑간-빨강), V2(좌측 흉골 경계연 4번째 늑간-노랑), V3(V2와 V4 사이 중간점-녹색), V4(좌측 쇄골 중앙선상 5번째 늑간-갈색), V5(V4에서 수평으로 좌측 전액와선상 5번째 늑간-검정), V6(V5에서 수평으로 좌측 액와중앙선상 5번째 늑간-보라) 부위에 전극을 부착한다.
전극 부착이 완료되면 EKG 기계의 START 버튼을 눌러 리듬을 확인하고, PRINT 버튼을 눌러 출력물을 생성한다. EKG 출력물은 담당 의사에게 보고하고, 병원 절차에 따라 관련 기록을 작성한다.
1.2. 환자 모니터 사용법
모니터 사용법
모니터 전면의 ON/OFF 스위치를 누르면 모니터의 전원을 켤 수 있다. 손가락에 pulse oxymetry를 끼우고, BP 커프를 환자에게 부착한다. 센서 electrode를 연결한 후 환자의 흉부에 부착하는데, 빨강색은 오른쪽 어깨 위, 노랑색은 왼쪽 어깨 위, 초록색은 왼쪽 겨드랑이 7cm 아래에 부착한다.
BP 측정을 위해서는 화면 오른쪽의 Start/Stop 버튼을 누르고, 그 위에 있는 회색 interval 버튼을 눌러 BP 측정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EKG rhythm을 출력하려면 화면 오른쪽 맨 아래의 작은 버튼을 누르면 된다. 알람을 ...
참고 자료
송경애 외, 「기본간호학2」, 수문사, 2017, p.256~258
황옥남 외, 「성인간호학 상권 제7판」, 현문사, 2019, p.117, p.525
강지연 외, 「간호사를 위한 건강사정」, 군자출판사, 2019, p.582
Intubation/Assist/procedure/endotracheal/준비, 2020, https://www.youtube.com/watch?v=Y0gg5lpGJp8
Endotracheal Intubation, 2019, https://www.youtube.com/watch?v=8AOB2PtHfVM
Intubation 기관내삽관 간호, 2016, https://blog.naver.com/mhaj3356/220641045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