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광고학 과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광고정보처리 과정의 개념
3. 광고의 4대 매체
3.1. TV
3.2. 라디오
3.3. 신문
3.4. 잡지
4. 광고노출이 소비자에게 어떻게 처리되는지 예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모든 분야에서 광고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우리가 보는 많은 광고 매체들이 있으며, 인쇄물, 신문, 인터넷, 그리고 많은 텔레비전 광고를 통해 광고를 접하고 있다. 많은 경우 광고에 자주 나오는 스포츠 스타나 인기 연예인들이 사람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사용되며, 상품 광고가 아닌 광고 콘텐츠의 즐거움 때문에 광고만 보고 싶어 하는 사람들도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SNS를 통한 광고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TV 광고를 넘어 파급효과가 크다. 이를 통해 광고는 인쇄 매체를 넘어 인터넷이나 SNS를 통해 온 세상에서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광고정보처리 과정의 개념
광고정보처리 과정의 개념은 소비자가 광고정보에 접촉하여 광고한 제품이나 회사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고 이를 장기기억에 다시 저장한 후 광고에서 얻은 모든 정보(합리적 측면과 정서적 측면 모두 포함)를 의미한다. 광고 정보 처리 과정을 연구하는 의미는 광고주나 광고 제작을 담당하는 광고주에게 있어 제한된 비용과 자원, 시간을 들여 가장 효과적인 광고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하여 광고의 개인적 특성과 내용 등 다양한 변수와 요인이 존재하여 객관화가 어려우며 이를 통해 소비자의 태도 형성과 구매 의사를 파악하기 위한 광고정보 처리 과정이 나타나고 있다. 광고정보 처리 과정에 대한 연구를 통해 광고주는 효과적인 광고 전략을 수립할 수 있고, 소비자의 구매 행동을 이해할 수 있다. 광고 정보 처리 과정은 광고 효과 분석과 소비자 행동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광고의 4대 매체
3.1. TV
TV는 크게 지상파, 케이블, 종편 채널로 분류된다. 지상파 TV는 누구나 무료로 시청할 수 있지만, 케이블 TV는 유료 서비스 이용자만 볼 수 있다. TV 채널과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시청자들이 선호하는 채널과 프로그램이 다르기 때문에, 광고주는 타깃 고객의 특성을 정...
참고 자료
광고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나윤화, 미진사, 2001
김범연, 「소셜 미디어 매체 특성이 수용자 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2010.
김용호, 「인지 및 감성반응의 매개과정」, 광고연구, 1991.
김재전, 휴리스틱-체계적(HSM) 모형의 적용, 경영정보관련 춘계통합학술대회,2017.
신일기, 손영곤, 소비자가 인식하는 구매 시기와 제품 유혀의 시간적 거리감이 광고 정보처리 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이종민, 「광고 정보처리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1999.
‘중앙일보 뉴스’
Google image : https://www.google.co.kr/imghp?hl=ko&tab=ri&ogbl
http://hobbitwizard.cafe24.com/archives/1029 <광고란>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3310wogus&logNo=70175873382 <광고처리과정>
TVCF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