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어 교재 문학 작품 활용 조사 및 제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학 작품 활용
2.1.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 문학
2.2. 학습자 수준별 문학 작품
2.2.1. 초급 문학 작품
2.2.2. 중급 문학 작품
2.2.3. 고급 문학 작품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우리가 어떤 언어를 학습하고자 할 때 문학작품을 통해서 배우는 것은 단순히 언어 습득뿐만이 아니라 그 나라의 사회문화 그리고 작품 속 당시의 시대상과 작가의 가치관까지 수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매개체가 된다. 더하여 문학작품의 속의 캐릭터들을 통한 다양한 인성 경험은 올바른 인성을 가질 수 있는 바탕이 된다. 그 때문에 문학작품을 통한 언어 학습은 다른 읽기 자료에서는 볼 수 없는 다양한 이점이 있으므로 어떠한 문학작품을 선정할 것이냐는 언어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문학작품이라고 해서 모든 작품이 모든 학습자에게 알맞은 교육이 되는 것은 아니다. 가령 한국어를 처음 접하는 외국인에게 "용비어천가"를 권할 수 없는 것처럼 말이다. 언어 학습을 위한 문학작품 선정에는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교육의 목표와 나이, 이해도 등을 포함한 학습자의 수준에 맞춰야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그렇기에 어떤 문학작품을 선정할 것이냐의 문제에 앞서 "어떤 작품을 어떤 학생에게 가르쳐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먼저이다. 그렇다면 오늘날의 한국어 교육 현장은 어떨까. 한국의 의무교육을 받은 한국인이라면 한국어 교재에서 다양한 문학작품을 접해 왔을 것이다. 과연 우리가 배워왔던 한국어 교재 속 문학작품 들이 한국어를 처음 접하는 외국인들에게도 알맞은 교육이 될까?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과제에서는 한국어 교재에서 문학작품이 어떻게 활용이 되고 있는지 조사해 보고 이를 토대로 초급, 중급, 고급 학습자 수준에 맞는 문학작품을 선정해 보고 제안해 보도록 하겠다.
2.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학 작품 활용
2.1. 한국어 교육에서의 한국 문학
한국은 세계적인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또한 나날이 그 수요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어 교육의 질적, 양적인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한국어 교육 속 문학작품의 중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조선대학교 대학원 논문에서는 한국으로 유학과 어학연수를 온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고전 문학교육이 한국어 습득에 많은 도움이 되며 문학 작품을 통하여 한국의 정통성과 삶의 모습, 그리고 세계관을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제 더 이상 한국 문학 작품은 한국어 교육 속 단순한 텍...
참고 자료
윤여탁, 우재영(2007), 한국어교육에서 문학 작품선정 기준에 대한 연구 (2007) ,서울대학교
윤여탁, 유영미, 박은숙(2014),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학 정전 목록 선정 연구,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연구소 연구공모사업
윤여탁(2003),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서울대학교
김종수(2018), 외국인 학생을 위한 한국 문학 교육의 한 사례, 경희대학교
강충화(2014), 한국어교육에서의 고전문학 활용과 교육 :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선대학교
최효원(2016), 문학 작품을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최희숙(2015), 초등학교 국어교과서수록어린이문학작품 선정기준연구, 아주대학교교육대학원
하채현(2010), 외국인을 위한 한국 문학교육의 한 방법-해외 한국 문학교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6권2호, 311-331쪽
네이버 지식백과 . “진달래꽃” 검색 내용 참고
김정우(2009),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학 교재 개발 방향, 이화여자대학교
주경희 외(2020), 한국문화사,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 전략적 읽기와 쓰기
김병희 외(2013), 한국어읽기연구회,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읽기 – 40
윤여탁 외(1999),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문학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소중애(2010), 비룡소, 팥죽 할멈과 호랑이
전국국어교사모임(2012), 휴머니스트, 선생님과 함께 읽는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윤동주(2011), 보물창고,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