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기초간호과학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발생기전 증상 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2.1. 발생기전
2.2. 주요 증상
2.3. 간호중재
3. 파종성 혈관 내 응고증후군(DIC)
3.1. 발생기전
3.2. 주요 증상
3.3. 간호중재
4. 표적치료제
4.1. 정의
4.2. 암종별 대표적인 표적치료제
4.3. 주요 부작용
4.4. 간호중재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인플루엔자는 가장 흔한 호흡기 감염병 중 하나이다. 매년 세계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인플루엔자에 감염되고 있으며, 그로 인한 합병증과 사망률 또한 적지 않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접종률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정기적인 인플루엔자 예방접종은 개인의 건강증진뿐만 아니라 집단 면역 형성을 통해 인구 집단 전반의 발생률과 질병 부담을 낮출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인플루엔자 예방접종률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전략과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2.1. 발생기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오르토믹소바이러스과(Orthomyxoviridae)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80~120nm의 외피로 둘러싸인 나선형의 뉴클레오캡시드(Nucleocapsid)를 가진 RNA 바이러스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세포 표면의 시알산(sialic acid)을 포함하는 단백질이나 지질과 결합하여 수용체 매개 세포 내 섭취(Receptor-Mediated Endocytosis)의 방식으로 세포내로 들어간다. HA 바이럴 글라이컵로우틴(HA viral glycoprotein)이 세포내이입(細胞內移入, endocytosis)된 소포(vesicle)와 융합되고 바이러스성 뉴클레오캡시드(viral nucleocapsids, vRNP)가 세포질 내에 유리되어 세포핵 내로 이동한다. 비리온 RNA 중합효소(virion RNA polymerase)는 숙주세포의 전령 RNA 전구체(pre-mRNA)와 전령 RNA(mRNA)의 5′말단(capped 5′)을 시발체(始發體, primer)로 사용하여 음 가닥 RNA((-) strand RNA)에서 바이러스성 전령 RNA(viral mRNA)를 복제한다. 합성된 바이러스성 전령 RNA(viral mRNA)들은 세포질로 이동되고 NS와 M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있는 전령 RNA(mRNA)는 소포체표면의 리보솜(ribosome)에서 번역(translation)되고 전령 RNA(mRNA)들 모두는 세포질에서 리보솜에 의해 번역된다. PA, PB1, PB2, NP 단백질들은 핵 내료 들어와서 완전한 길이의 양 가닥 RNA((+) strand RNAs) 합성과 바이러스성 음 가닥 RNA(viral (-) strand RNAs) 합성을 촉진한다.
2.2. 주요 증상
발열과 오한
발열과 오한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전형적인 증상이다.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으로 몸의 온도가 상승하여 발열이 나타나며, 이에 따른 오한이 동반된다. 오한은 몸이 심한 추위를 느끼며 떨리는 증상이다. 이는 감염에 대한 몸의 방어 기전으로 작용한다.
근육통과 피로
인플루엔자 감염으로 인한 전신적인 염증 반응으로 인해 근육과 관절에 통증이 발생한다. 이를 근육통이라 한다. 또한 몸의 전반적인 피로감이 동반되는데, 이는 체력이 급격히 소모되는 증상이다. 근육통과 피로는 감염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기침과 인후통
상기도 점막이 감염되면서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기침과 인후통이 나타난다. 기침은 바이러스를 제거하려는 반사적인 반응이며, 인후통은 목 부위의 염증으로 인한 통증을 의미한다. 이러한 증상들은 인플루엔자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발열, 근육통, 기침 등의 증상은 면역 체계가 바이러스를 방어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하며, 이를 통해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조기 발견과 적절한 대응이 인플루엔자의 악화를 막는 데 중요하다.
2.3. 간호중재
발열과 오한에 대한 간호중재는 환자의 상태를 완화하고 회복을 돕는 데 중점을 둔다. 정기적으로 체온을 측정하며, 발열이 심할 경우 해열제를 투여한다. 미지근한 물로 닦아 체온을 낮추고,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오한이 있을 때는 따뜻한 담요를 제공하며, 환경 온도를 조절한다. 발열로 인한 불편감을 줄이기 위해 편안한 자세를 유지하고, 오한으로 인한 근육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가벼운 마사지를 시행한다. 땀을 많이 흘릴 경우 젖은 옷을 즉시 교체하며,...
참고 자료
이수진, 최명애, 안경주 공저(2022). 기초간호과학,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기초간호학회, 대한미생물학회(2018). 간호미생물학, 서울, 현문사.
김연정 등(2017). 병태생리학과 임상적용. 서울. 엘스비어코리아.
중앙암등록본부 보건복지부. 국가암등록사업 연례보고서 2018.
WHO 2016 fact sheet, 인플루엔자, 최종결과보고서, 신종인플루엔자범부처 사업단, 2016.
김태흥 외. 호흡기 질환 약물처방정보를 활용한 계절성 독감의 조기 감지.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8.
송영준. (2009).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역학적 분석.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병원. (2025). N의학정보, 인플루엔자.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009
대한성장의학회. (2023). 일반 감기와 다른 독감, 자가격리 기간 및 치료와 간호에 대하여 간호사 엄마가 알려드려요.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6956313&memberNo=44444045
서울아산병원. (2025.). 의료정보, 파종혈관내응고.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795
김금순, 김영숙, 최경옥, 현경선, & 윤은자. (2012.). 성인간호학, 수문사.
국가암정보센터. (2025.). 내가 알고 싶은 암, 치료, 항암화학요법, 표적치료제.
https://www.cancer.go.kr/lay1/S1T289C847/contents.do
박정윤, 곽미경, 박희정, 송수경, 윤지현, & 조현진. (2017.). 경구항암제 실무지침, 대한종양간호학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