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유니버셜 디자인 사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상세정보

소개글

"유니버셜 디자인 사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유니버설 디자인 소개
1.1. 유니버설 디자인의 정의
1.2. 유니버설 디자인과 유사 개념

2. 유니버설 디자인의 발달과 필요성
2.1. 인구학적 변화
2.2.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 법제화
2.3. 무장애 디자인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으로의 전환
2.4. 경제적 변화
2.5. 사회적 변화

3. 유니버설 디자인의 기본 원칙
3.1. 전통적 유니버설 디자인 4원칙
3.2. 새로운 유니버설 디자인 7원칙

4. 유니버설 디자인의 범주
4.1. 베리어 프리 디자인
4.2. 접근 가능한 디자인
4.3. 적응 가능한 디자인
4.4. 평생 디자인

5. 유니버설 디자인 사례
5.1. 일상생활 지원 디자인
5.2. 작업활동 고무 디자인
5.3. 노화 배려 디자인
5.4. 심미적 즐거움 디자인
5.5. 경제적 유니버설 디자인
5.6. 시장성 있는 디자인
5.7. 장애 완화 디자인
5.8. KIOSK(ATM) 유니버설 디자인
5.9. 환경시설물 디자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유니버설 디자인 소개
1.1. 유니버설 디자인의 정의

유니버설 디자인은 가능한 한 많은 사람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철학이자 접근 방법이다. 이는 장애인만이 아니라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보편적 디자인을 제시한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연령, 장애, 건강상태 등에 관계없이 많은 사람들이 보다 평등하게 디자인의 혜택을 받아야 한다는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일시적인 장애나 상황에 의해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며, 어린이, 노인, 장애인 등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은 건강한 사람들에게도 마찬가지로 편리한 환경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개념에서 출발한 것이 바로 유니버설 디자인이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1970년대 중반에 처음 시작되었으며, 1990년대 이르러 그 개념이 본격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장애인을 위한 특수 공간과 시설에 따르는 부가적인 비용과 문제점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처음 등장하였으며, 현재는 모든 사람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는 보편적 디자인의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


1.2. 유니버설 디자인과 유사 개념

접근 가능한 디자인은 특정 기능에 대한 문제로 인해 제한이 있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요구(needs)를 받아들여 접근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이는 단순한 물리적 장애 제거를 통한 접근뿐만 아니라 불안이나 차별 등의 심리적인 장애 제거를 통한 접근까지도 해당된다. 따라서 물리적 접근을 넘어 필요한 정보와 서비스 등에 대한 접근으로까지 확대하여 디자인함으로써 모든 사용자들에 대한 보편적 접근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수용 가능한 디자인은 불특정 다수 사람들의 요구에 대하여 획일적인 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다양한 요구와 상황에 따라 수용하여 충족할 수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특히 산업화를 거치면서 획일화된 사회 환경이 다양한 요구와 상황에 있는 사람들에게 불편한 점으로 나타나면서 다양한 요구와 상황을 수용하여야 한다. 이때 적응 가능한 디자인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접근 가능한 환경의 바탕위에서 구조적 변경이나 마감재의 변화 없이 사용자의 요구가 손쉽게 이루어져야 하며 짧은 시간 안에 즉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포괄적인 디자인은 가능한 한 모든 사람들의 요구를 포함하여 특정 요구에 대한 소외 없이 모두가 사용가능하게 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포괄적인 디자인은 제품, 환경, 서비스 등을 디자인할 때 그동안 배제되어왔던 장애인과 노인 등을 위한 특별한 디자인을 하는 대신에, 이들을 '포용(inclusive)'하는 디자인을 통해 사회의 주류에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포용성은 우리 사회를 통해 다양한 요구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을 공존하며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

생애주기 디자인은 인간의 연령에 따른 요구에 관계없이 생애주기 전체를 수용하여 누구나 이용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태어나 죽을 때까지 연령에 따라 신체적으로 다양한 능력의 차이를 경험하며, 각 연령에 따른 동시대에도 해당 연령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령을 가지고 있는 인간이 공존하며 사회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연령에 따른 신체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인간이 공존하는 사회에서 보편성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인간의 생애주기를 수용하지 않을 수 없다.

마지막으로 무장애 디자인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비장애인들과 동등하게 일상생활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장애를 제거하여 불편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무장애 디자인과 유니버설 디자인의 구분은 '장애'요소의 여부에 따른 것이다. 무장애 디자인에서는 장애인들의 '장애'를 인정하고 장애를 보완하기 위한 특별한 배려를 요구하지만, 유니버설 디자인은 개인의 다양성을 포용하는 보편적인 디자인 개념이다.

이처럼 유니버설 디자인과 유사한 개념들은 결국 다양한 요구에 대한 보편성이라는 측면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에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2. 유니버설 디자인의 발달과 필요성
2.1. 인구학적 변화

20세기 초반에는 노인과 장애자들의 수가 매우 적었다. 즉, 인간의 평균수명은 47세였으며 상해를 입은 사람들이 살아 있을 확률은 단지 10%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노인과 장애자의 수가 전체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졌다. 즉, 인간의 평균수명이 76세로 증가하였고, 거의 80%가 65세 이상을 살고 있다. 미국의 경우 인구센서스 국에서는 2010년경에는 65세 이상의 인구가 4천만명에 이를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지난해, 미국에서 4백만이 85세 이상이었으며, 약 6만 명이 100세를 넘었다고 한다. 게다가, 많은 사람들이 장애를 지니고서 살아가고 있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이 사고나 치명적인 질병에서 살아날 수 있게 되어, 1994년 말경 6세 이상의 인구 중에 860만 명의 사람들이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일상생활활동 장애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인구학적 변화는 노인 및 장애자 인구가 더욱 많아질 것이며, 앞으로 이러한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임을 암시하고 있다.


2.2. 유니버설 디자인 관련 법제화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은 30년 전인 1970년 전후에 이미 '표준화(Normalization)' 및 무장애 혹은 장애자라는 용어와 함께 유럽, 혹은 일본에 존재하고 있었다. 이러한 유니버설 디자인이 오늘날과 같은 효력을 갖추기까지의 과정은 21세기인 지금까지 계속 진행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1973년 노스캐롤라이나주에서 건물의 접근성 관련 법률의 초안을 만드는 데 관여했는데, 이는 미국에서 최초였다. 또한 로널드 메이스는 1988년 공정주택정안(Fair Housing Amendments Act of 1988)과 1990년 장애인법(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of 1990)의 건축지침(Architectural Guidelines) 등을 제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처럼 유니버설 디자인은 오랜 시간 동안 법적 기반을 마련하며 발전해왔으며, 현재는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2.3. 무장애 디자인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으로의 전환

일찍이 무장애 디자인과 건축적인 접근성을 주장했던 이들은 장애가 있는 사람이건 없는 사람이건 간에 공통적인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합법적이고 경제적이며 사회적 힘을 발휘할 수 있는 개념에 주목하고 있었다. 건축가들이 법적 장치를 마련하고자 노력할 당시 접근성을 가진 디자인의 특성들은 특별하고 비싸며 대부분 아름답지 않았다. 또한 장애인들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환경적 변화를 필요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특성들이 많은 사람들의 호응을 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까지도 거부감을 가지게 되면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덜 비싸며, 특수한 라벨이 붙지 않고, 매력적이며, 잘 팔릴 수 있는 디자인 특성을 부여할 필요성이 강하게 대두되었다. 이것이 바로 유니버설 디자인 운동의 근간이 되었다. 즉, 무장애 디자인이 장애인들을 위한 특별한 디자인이었다면, 유니버설 디자인은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보편적인 디자인을 지향하게 된 것이다. 무장애 디자인에서는 장애 요소를 인정하고 이를 제거하는 데 주력했지만, 유니버설 디자인은 개인의 다양성을 수용하고자 하는 관점에서 출발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무장애 디자인이 특별한 배려가 필요한 소수를 대상으로 했다면, 유니버설 디자인은 다양성을 가진 모든 사람을 포용하고자 한다. 이렇듯 무장애 디자인에서 유니버설 디자인으로의 전환은 소수에서 다수로, 특별함에서 보편성으로의 변화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2.4. 경제적 변화

1980년대의 경제침체로 인해 제품 제조업체들은 융통성을 지닌 제품들(accommodation products)의 잠재성을 발견하고 이것들의 시장력을 넓혀야 할 것을 인식하기 시작하였다. 최근의 경제상황으로는 시장의 세계화(Globalization)가 지배적인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즉, 다양한 언어, 문화, 관습, 경험, 역사 등의 배경을 가진 개인이나 사회에 적합한 디자인을 개발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경제상황에서 합리적인 가격이 디자인이나 제조과정에서 근본적인 문제가 되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시장성 있는 접근법으로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를 반영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가치를 인정하게 되었다. 1988년 뉴욕시의 모던아트 박물관에서 '독립된 주거공간을 위한 디자인'이란 전시회가 열렸는데 노령자나 장애인들에게 필요한 요구를 채울 뿐 아니라 미적 디자인까지도 겸한 상품들이 선을 보였다. 그로부터 여러 나라들은 잠재적인 고객들로서 노령자나 장애인들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1990년에 옥소 인터내셔널 회사는 자신의 부엌 용품인 '굿 그립'이라는 상품을 관절염으로 인해 불편을 겪는 사람들을 위해 내놓았다. 이렇게 한 차원 높은 상품인 큰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는 재활보조장비 판매회사들을 통하여 판매되면서 예쁘다는 이유가 더 크게 작용하기도 했지만 어쨌튼 주부들로부터 큰 인기를 끌게 되었다. 옥소 인터내셔널 회사는 90년에서 95년까지 매년 40 - 50%의 성장을 보였고 2천만 달러를 벌어들이게 되었다. 이로 인해 다른 회사들도 재빨리 그 방법을 따르기 시작했다. 또 다른 경제적인 추세는 가속화되는 시장의 세계화이다. 다가오는 시대에 성공하고자 하는 기업은 세계경쟁 시대의 기회와 도전에 잘 대처해야만 한다. 잠재적 시장의 규모는 계속 확대되어 가고 반면에 동시에 각 시장은 더욱 다양해지고 서로 상이한 점들이 많이 가지게 된다. 즉, 언어, 문화, 소비, 경험, 전통적 디자인 등에 대한 소비자의 유형은 더욱 다양해지는 것이다. 이렇게 날로 증가하는 새로운 디자인에 대한 요구는 각 지역의 성향과 개인의 신체능력, 그리고 취향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디자인이나 제작 과정에서 적절한 가격결정이 가장 근본적인 과제이기 때문에 유니버설디자인은 많은 부...


참고 자료

서울시 정보소통광장, [문화시설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PDF파일), p.63
https://opengov.seoul.go.kr/anspruch/16856750, (2020.12.09.)
충북복지넷, [Universal Design이란?]
https://www.043w.or.kr/www/contents.do?key=151, (2020.12.09.)
[두산백과] 유니버설 디자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64598&cid=40942&categoryId=32335, (2020.12.09.)
문화체험관광부, [유니버설디자인 실태분석 및 문화적 적용방안 연구], p.47, 96
https://www.043w.or.kr/www/downloadBbsFile.do?atchmnflNo=20601, (2020.12.09.)
네이버 디자인, 네이버 블로그, [시각 장애인을 위한 특별한 미술 전시회]
https://m.blog.naver.com/designpress2016/222017002832, (2020.12.09.)
네이버지식백과:https://ko.wikipedia.org/wiki/%EC%9C%A0%EB%8B%88%EB%B2%84%EC%84%A4_%EB%94%94%EC%9E%90%EC%9D%B8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song_t_k/140062710296
https://blog.naver.com/brave1979/222536620470
환경부홈페이지:http://www.me.go.kr/home/web/board/read.do?menuId=10392&boardMasterId=713&boardCategoryId=&boardId=1376630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한국디자인포럼 59권0호
유니버셜디자인역대수장작:http://www.udcontest.com/bbs/board.php?bo_table=award&wr_id=15
BRIQUE:https://magazine.brique.co/article/%EB%B2%84%EB%A0%A4%EC%A7%84-%EB%A7%88%EC%8A%A4%ED%81%AC-%EC%9D%98%EC%9E%90%EB%A1%9C-%EB%8B%A4%EC%8B%9C-%ED%83%9C%EC%96%B4%EB%82%98%EB%8B%A4/
https://magazine.brique.co/article/%ed%8f%90%ea%b8%b0%eb%ac%bc%ec%9d%98-%ed%83%90%ea%b5%ac-%ec%98%a4%eb%b8%8c%ec%a0%9c%ec%9d%98-%ed%83%84%ec%83%9d/
플리츠마마홈페이지:https://pleatsmama.com/story
팩커플코홈페이지:https://etcseoul.com/category/packableco/757/
https://blog.naver.com/brave1979/222536620470
https://www.red-dot.org/ko
https://magazine.brique.co/article/%EB%B2%84%EB%A0%A4%EC%A7%84-%EB%A7%88%EC%8A%A4%ED%81%AC-%EC%9D%98%EC%9E%90%EB%A1%9C-%EB%8B%A4%EC%8B%9C-%ED%83%9C%EC%96%B4%EB%82%98%EB%8B%A4/
http://www.udcontest.com/bbs/board.php?bo_table=award&wr_id=15
https://magazine.brique.co/article/%ed%8f%90%ea%b8%b0%eb%ac%bc%ec%9d%98-%ed%83%90%ea%b5%ac-%ec%98%a4%eb%b8%8c%ec%a0%9c%ec%9d%98-%ed%83%84%ec%83%9d/
https://storage.googleapis.com/brique/2021/05/15c15487-%EC%9C%84%EC%BC%84%EB%93%9C%EB%9E%A9-wknd-lab-13-1536x1024.jpg
https://storage.googleapis.com/brique/2021/05/c4b4a981-%EC%9C%84%EC%BC%84%EB%93%9C%EB%9E%A9-wknd-lab-10-1536x864.jpg
https://pleatsmama.com/shop-knitpleatsbag-all
https://etcseoul.com/category/packableco/757/
강병근, 장애인과 노인을 배려한 건축, 자유공간, 1998.
고영준, 사용자 중심의 유니버설디자인 방법과 사례, 예담, 2011.
김경희, 통합교육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6.
문선정, 노인 및 장애 여성을 위한 유니버설 패션 디자인 개발, 중앙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6.
안소미, 유니버설 디자인의 적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논문, 1998.
오세철. 지체부자유학생의 물리적 환경과 교육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重複ㆍ肢體不自由兒敎育》45호, 2005.
왕해봉, 유니버설 디자인 측면에서 중국 도시버스 인테리어 디자인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논문, 2013.
이승범,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에 따른 고령자를 위한 웹 사이트 개선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논문, 2006.
이연숙 교수연구실, 유니버설 디자인, 태림문화사, 1999.
이연숙, 유니버설 디자인과 노인복지, 2001년도 춘계정기학술 대회 및 총회, 한국노인학회, 2001.
이지언, 공공시설에서의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성 평가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0.
정소연,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적용한 주거공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1.
정화숙, 노인 재택근무를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논문, 2001.
하미경·구아현, 오피스 환경에서의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성 평가 연구, 한국퍼실리티매니지먼트학회지, 2000.
하스미 다카시, 유니버설디자인연구센터 역, 유니버설디자인, 세종출판사, 2005.
한은숙, 환경디자인개념으로서 유니버설 디자인의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원 대학원 논문, 1999.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