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응급실 실습일지"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응급실 실습의 이해
1.2. 실습 목적과 필요성
1.3. 실습 기관 소개
2. 본론
2.1. 실습 기간 별 주요 활동
2.1.1. 1일차 - 응급실 환경 및 업무 관찰
2.1.2. 2일차 - 인공심박동기 환자 및 외상 환자 처치 관찰
2.1.3. 3일차 - 상처 드레싱 및 뇌졸중 환자 관찰
2.1.4. 4일차 - 호흡기 관련 처치 관찰
2.1.5. 5일차 - 패혈증 쇼크 환자와 중심정맥관 삽입 관찰
2.1.6. 6일차 - 호흡 기능 평가 실습
2.1.7. 7일차 - 인공 호흡기 모니터링 관찰
2.1.8. 8일차 - 뇌신경 사정 실습
2.1.9. 9일차 - 호기말 이산화탄소 모니터링 이해
2.1.10. 10일차 - 응급 처치 술기 실습 및 평가
3. 결론
3.1. 실습 소감 및 학습 성과
3.2. 응급실 간호의 중요성과 역할
3.3. 향후 전망과 발전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응급실 실습의 이해
응급실 실습의 이해는 응급실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의 간호 실습을 의미한다. 응급실은 상시 다양한 증상과 질병을 가진 환자들이 내원하는 곳으로, 응급 환자에 신속하고 전문적인 처치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응급실 실습을 통해 학생들은 응급환자 간호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익힐 수 있으며, 실제 임상 상황에서의 대응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과 업무를 직접 관찰하고 참여함으로써 응급 간호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응급실 실습은 전공 교육과정에서 필수적인 부분으로, 학생들에게 임상 실무 경험을 제공하고 전문 역량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한다.
1.2. 실습 목적과 필요성
실습의 목적은 응급실 간호사의 다양한 역할과 기능을 직접 관찰하고 경험하여 향후 자신의 진로 설계와 실무 적응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실습을 통해 위급한 상황에서의 신속한 대응과 정확한 판단력, 응급 처치 기술을 익힐 수 있다. 또한 응급실 간호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갖추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다. 응급실 실습은 앞으로의 간호 실무와 연구, 교육 등에서 필수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응급실 간호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환자 중심의 질적인 간호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번 실습이 필요하다. 다양한 응급 상황에서의 대처 능력과 전문성을 함양하여 전인적인 간호 제공을 목표로 한다. 실습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은 추후 응급실 간호사로서 활약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1.3. 실습 기관 소개
00병원 응급실은 A구역부터 F구역까지 총 5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 구역은 중증도에 따라 환자를 배치하고 있으며, 중증 응급 환자일수록 A구역에 배치되어 관리된다. 응급실은 위급한 상황이 대부분이므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따라서 각 구역별로 전문화된 의료진이 배치되어 있어 신속한 초기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전산화된 환자 기록 시스템과 최첨단 의료 장비가 구비되어 있어 체계적인 진료와 검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응급실 내에는 처치실, 검사실, 병실 등 다양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환자 상태에 따른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중증도가 높은 환자의 경우 신속한 처치를 위해 응급실에서 바로 수술실로 이송되기도 한다. 전반적으로 00병원 응급실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응급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 본론
2.1. 실습 기간 별 주요 활동
2.1.1. 1일차 - 응급실 환경 및 업무 관찰
응급실 환경 및 업무 관찰이다. 응급실은 처음 실습을 하는 곳으로 일반 병동과는 많은 차이가 있었다. 이전 실습에서는 환자의 질환을 미리 알고 있어 증상과 간호 문제를 파악하기 쉬웠지만, 응급실에서는 매번 새로운 환자들이 내원하기 때문에 환자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웠다.
응급실에서는 EKG 모니터링과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병동보다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병동에서는 간호사 라운딩 시 간헐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달리, 응급실에서는 대부분의 환자에게 지속적으로 적용하고 있었다. 환자의 이름보다는 병상 번호로 환자를 구분하는 것이 인상깊었다. 응급실은 환자의 중증도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환자의 이름을 일일이 외우기 어려웠다.
응급실에 다양한 환자들이 내원하였는데, 그중 자상 환자를 처음 보았다. 상처 부위를 깨끗이 소독하고 드레싱을 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객혈 환자, 편두통 환자, 이석증 환자 등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많은 증례들을 볼 수 있었다.
2.1.2. 2일차 - 인공심박동기 환자 및 외상 환자 처치 관찰
오전 진료 시간부터 인공심박동기 장착 후 과량의 알코올을 섭취하여 구토와 의식저하 증상을 보이는 환자가 구급차로 내원하였다. 의식이 불분명한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구토하여 위험한 상황인 것으로 판단되어 EKG 모니터링과 SpO2 측정을 실시하였다. 환자는 누워 있는 상태에서 2회 구토하였으며, 이전에도 유사한 과거력이 있었으나 수액 투여 후 자연스럽게 회복되어 모니터링만 지속해본 결과 눈을 뜨고 반응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교통사고로 추정되는 외상 환자가 내원하였는데, 경추 손상 의심 소견으로 목 보호대를 착용한 채 들어왔다. 호흡과 운동 기능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였으나 큰 이상은 없었으며, 움직임이 어려워하여 기저귀를 착용하도록 도와드렸다.
오후에는 오토바이 사고로 인한 외상 환자가 내원하였는데, 심각한 출혈 소견을 보여 ...
참고 자료
서울아산병원 교육수련부. 아산 인턴진료지침서(2015).
서울의과학연구소, http://www.scllab.co.kr/
Hayek S, El Khatib A, Atiyeh B. Burn wound cleansing – a myth or a scientific practice. Ann Burns Fire Disasters 2010;23:19–24.
대한뇌졸중학회, http://www.stroke.or.kr/index.html
대한의학회 ,인턴 수련교육 및 진료 지침서
패혈증,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naisna&logNo=220722770510&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Sample Skill, https://www.elsevierclinicalskills.co.uk/SampleSkill/tabid/112/sid/1720/Default.aspx#&&index=7
Endtidal CO2(Et CO2) mocitoring,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wlsruddl0628&logNo=120057053000&proxyReferer=https:%2F%2Fwww.google.com%2F
“How to do the Cranial Nerve Examination | Merck Manual Professional Version”, https://www.youtube.com/watch?v=0vvpBd6SRuE
Jacqueline Rhoads, “건강사정”, 포널스출판사, 2013
정담 편집부,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내과학 10 : 신경”, 도서출판 정담, 2013
김지수, “어지러움증”,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017, p351
https://labtestsonline.kr/tests/bloodgasanalysis
lsevier, https://www.elsevier.com/education/health-faculty-hub/covid-19
CDC, https://korean.cdc.gov/coronavirus/2019-ncov/prevent-getting-sick/social-distancing.html
서울대 의학사전
서울아산병원 질병백과
현문사 성인간호학 상권
네이버 의약품사전
https://blog.naver.com/923raw/221478144689
간호과정 실무지침
https://blog.naver.com/nxnx1004/221518488507
https://blog.naver.com/lhc930102/221308261989
네이버 간호학 대사전
대한 의약품 협회
https://blog.naver.com/tornado28/60152737322
서울대학교 병원 응급처치 가이드 – 부식제 응급처치
https://blog.naver.com/sorj1222/60203253933
서울 아산 병원 질환백과 - 경골과 비골 골절(Fracture of tibia & fibula)
https://blog.naver.com/lhc930102/221228336460
https://www.youtube.com/watch?v=_gENIso_B2M
KMLE 약품/의약품 정보 – Actilyse, tabaxin
강남 세브란스 병원 질환정보 - 편마비
http://www.kmle.co.kr/search.php?Search=%BE%C6%C5%E4&SpecialSearch=DictDrug&Page=4
KMLE 의약품 검색엔진 – 온단세트론, 데노간, 아트로핀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 심장막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