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뇌졸중은 기능적 장애를 동반하는 주요 의료 문제이며, 작업치료는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핵심적인 중재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실태와 치료 방법의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작업치료 중재 전략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뇌졸중 환자의 사례 연구와 SOAP Note 분석을 통해 클라이언트의 특성과 치료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다양한 작업치료 중재 유형과 전략, 도구 활용 현황을 살펴볼 것이다. 또한 선행 연구 분석과 최신 연구 동향 파악을 통해 뇌졸중 재활을 위한 작업치료의 실효성과 개선점을 도출할 것이다.
이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작업치료 접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작업치료사들이 환자 중심의 치료 실천을 강화하고, 기능적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2. 뇌졸중 작업치료
2.1. 사례 연구
2.1.1. 클라이언트 프로필
본 사례 연구의 대상인 고객은 81세의 여성이며 2013년 1월 10일부터 1월 16일까지 평가를 받았다. 고객은 2012년 10월 29일에 발생한 우측 급성 섬뇌경색으로 인한 좌측 반마비 증상을 겪고 있다. 고객은 과거력상 대구 OO병원, 목동 OOOO병원, OO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으며 입원 및 수술 경력이 있다. 과거 직업은 농부였으며 우측 손잡이였다. 가족력과 종교적 배경에는 특이사항이 없었다. 고객의 희망 목표는 빨리 회복하여 농사일을 통해 돈을 버는 것이다. 전반적인 인상으로는 보행 시 독립적이지만 불완전한 균형과 안전 문제로 감독이 필요하며, 앉아 있을 때 엉덩이가 점점 내려가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손바닥이 건조하여 물을 묻히는 등 사물 잡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고객은 농사일을 좋아하며 이로 인해 손 관절이 굵어진 상태였다. []
2.1.2. 주관적 정보
박 O O 씨는 뇌졸중으로 인한 좌측 편마비로 어려움을 겪고 계신다. 발병 이후 대구 OO병원, 목동 OOOO병원, OO병원 등을 거쳐 치료를 받아왔다. 박 O O 씨는 오랜 농부 생활로 인해 손마디가 굵은 편이며, 건조한 손바닥 때문에 사물을 잡을 때 미끄러워 물을 묻히고 계신다. 하루 빨리 건강을 회복하여 농사일을 하며 돈을 벌고 싶어 하는 것이 희망 목표이다. 병실로 갈 때는 보행이 독립적이지만 균형과 안전의 문제로 감독이 필요하며, 앉아 있을 때 점점 엉덩이가 내려가는 모습을 보인다.
2.1.3. 객관적 정보
클라이언트의 연령은 81세이고 성별은 여성이다. 평가 기간은 2013년 1월 10일부터 2013년 1월 16일까지이다. 클라이언트는 2012년 10월 29일에 발생한 우측 급성 가쪽 핵 경색으로 인한 좌측 편마비 증상을 보인다. 클라이언트의 지배 손은 오른손이며 가족력과 종교는 없다. 클라이언트의 신체 상태를 살펴보면, 현재 좌측 어깨 통증이 있으며 어깨 관절낙하가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