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평생교육은 개인과 사회의 발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현장실습은 이론적 지식을 실제 현장에 적용해 보고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는 기회이기에 평생교육사 양성 과정에서 필수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평생교육현장 실습을 위한 적절한 기관을 선정하고자 한다. 평생교육법에 근거한 기관과 다른 법령에 의해 설립된 기관들을 조사하여 실습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실습생들이 평생교육기관의 운영과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실질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2. 평생교육현장 실습 가능 기관 조사
2.1. 평생교육현장 실습 가능 기관 판단시 확인 사항
평생교육현장 실습 가능 기관 판단은 기본적으로 현장실습 가능기관 여부 확인과 실습생 배치여건 확인의 두 가지 절차에 의해 판단할 수 있다.
먼저, 현장실습 가능기관 여부 확인은 기관 설립 법령 근거를 통해 평생교육법 상에 근거한 기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평생교육법 상의 평생교육기관일 경우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평생교육법 상이 아닌 다른 법령상에 근거하여 설치된 경우에는 평생교육 관련 사업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다음으로, 실습생 배치여건 확인은 평생교육기관의 특성을 반영한 사업 및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지, 실습생의 보건·위생 및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지, 실습생의 현장교육 및 실습지도가 가능한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처럼 평생교육현장 실습 가능 기관 판단을 위해서는 기관 설립 법령 근거와 실습생 배치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2.2. 조사대상 지역의 범위
실습 가능 기관의 조사대상 지역은 거주지역을 고려하여 서울지역으로 한다. 서울지역에 위치한 기관을 중심으로 실습 가능성을 사전에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실습생의 실습 출퇴근이 가능한 지역에서 적절한 실습기관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실습생의 거주지와 가까운 지역의 평생교육기관을 파악함으로써 실질적인 현장실습이 가능할 것이다. 실습기관의 지리적 접근성은 실습생의 실습 수행 여건을 개선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실습 가능 기관의 조사대상 지역을 서울 지역으로 한정하는 것은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할 수 있다.
2.3. 실습 여부 사전조사
실습 여부에 대한 사전조사를 진행하였다. 인터넷(평생교육진흥원, 각 평생교육원 등) 및 전화조사 방법을 통해 실습 시기 및 모집인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정보를 확인하였다. 조사 결과, 서초여성가족플라자 서초센터, 서울특별시동부여성발전센터, 목동풀잎문화센터, 이화요양보호사교육원 등이 평생교육 현장실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거주지와 실습 출퇴근을 고려하여 서초여성가족플라자 서초센터를 현장실습기관으로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2.4. 평생교육 현장실습 기관의 선정 및 소개
거주지와 실습 출퇴근을 고려하여 평생교육기관 지역과 기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관심있고 경험을 쌓기를 원하는 '서초여성가족플라자 서초센터'를 현장실습기관으로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초여성가족플라자 서초센터는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21세기형 역량을 갖춘 여성 인재를 양성하고 서초 여성 인적자원 개발과 사회참여 지원의 허브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하는 기관이다. 1998년 4월 개관한 서초구립여성회관을 시작으로 잠원동 서초여성가족플라자를 거쳐, 2019년 6월 개청한 '서초여성가족플라자 서초센터'는 여성 역량개발교육과 평생교육, 경력개발 지원 등 여성의 사회참여 지원을 위한 교육 및 지원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서초살롱, 동아리 등 다양한 지역사회 네트워크 사업을 통해 서초 여성과 가족들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장'을 만들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