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2025년 근현대일본정치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근대 동아시아 정치사 개관(1840-1945)
1.1. 서양 열강의 동아시아 진출과 청조의 위기
1.2. 일본의 근대화와 지역 패권 추구
1.3. 중국과 한반도의 서구 문물 수용과 독립운동
2. 근대 동아시아 정치사 연표 작성
2.1. 서양 주요 사건
2.2. 중국 주요 사건
2.3. 일본 주요 사건
2.4. 한반도 주요 사건
3. 일본 근현대정치사의 특징
3.1. 메이지유신과 서구 문물 수용
3.2.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통한 지역 패권 확립
3.3. 만주사변과 태평양전쟁의 발발
4. 중국과 한반도의 근대 독립운동
4.1. 중국의 신해혁명과 국공내전
4.2. 한반도의 3.1운동과 광복운동
5. 근대 동아시아 정치사의 교훈
5.1. 근대화와 제국주의의 역학관계
5.2. 민족자결주의와 주권 회복 운동
5.3. 동아시아 지역 질서의 전개와 변화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근대 동아시아 정치사 개관(1840-1945)
1.1. 서양 열강의 동아시아 진출과 청조의 위기
19세기 중반 이후 서양 열강들은 자국의 이익 확보를 위해 동아시아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1840년 영국의 개입으로 시작된 제1차 아편전쟁은 청나라의 제도와 정치체제에 큰 위협이 되었다. 난징조약으로 홍콩이 영국에 할양되었고, 이후 황푸조약, 텐진조약 등이 체결되면서 청나라는 서구 열강의 경제적, 정치적 압력에 시달리게 되었다.
1856년 발발한 제2차 아편전쟁에서도 청나라는 패배하여, 베이징조약을 통해 관세 자주권과 영토 할양 등을 서구 열강에게 빼앗기게 되었다. 이로써 청나라는 심각한 내부 위기에 봉착하게 되었고, 1860년대 태평천국운동 등 대규모 반란이 발생하는 등 제국 체제의 붕괴 조짐이 나타났다.
한편 동아시아 국가들은 서구 열강의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개혁과 근대화에 나섰다. 일본은 메이지유신을 통해 서구식 근대국가 체제를 구축하였고, 중국과 조선 역시 양무운동, 갑오개혁 등을 통해 개혁에 나섰다. 그러나 청나라의 개혁이 실패하고 조선이 일본에 종속되면서 동아시아 전체는 서구 열강의 식민지 질서에 편입되어 갔다.
결국 19세기 중반 이후 동아시아는 서양 열강의 본격적인 개입과 진출로 인해 기존의 전통적 국제질서가 붕괴되고 새로운 지역 질서가 형성되는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청나라와 조선은 자신들의 주권을 지키지 못하고 제국주의 세력에 예속되었다.
1.2. 일본의 근대화와 지역 패권 추구
도쿠가와 막부는 1853년 미국 페리 제독의 개항 요구에 따라 200년 동안 견지해온 쇄국정책을 포기하고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기 시작하였다. 이는 일본이 동아시아의 전통적 맹주인 청을 굴복시키고, 이후 2차 세계대전 당시에는 동남아 지역까지 세력을 확장하며 식민지를 거느리고 서양의 열강들과 경쟁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다.
일본은 미일화친조약 체결 이후 서양의 과학기술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근대화를 추진하였다. 메이지 유신을 통해 중앙집권적 국가체제를 강화하고 군사력을 증강하였으며,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에서의 승리로 지역 패권국으로 부상하였다. 일본은 이러한 군사적 성과를 바탕으로 한반도와 만주에 대한 지배권을 확보하고 식민지 경영에 들어갔다.
특히 청일전쟁 이후 일본은 시모노세키 조약으로 랴오둥 반도와 타이완을 할양받고, 조선에 대한 보호국화를 이끌어냈다. 이후 러일전쟁에서 승리하며 한반도와 만주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였다. 이로써 일본은 서양 열강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제국주의 국가로 부상하게 되었다.
한편 중국과 한반도는 서구 문물에 대해 체제 유지를 위한 소극적 대응을 보였던 반면, 일본은 보다 적극적으로 서양의 과학과 기술을 받아들여 군사력을 강화함으로써 동아시아에서 유일한 제국주의 국가로 발돋움하였다. 이에 따라 중국과 한반도는 일본을 비롯한 서양 제국주의 국가들에 의해 유린당하며 치열한 독립전쟁을 벌이게 되었다.
1.3. 중국과 한반도의 서구 문물 수용과 독립운동
중국과 한반도는 서양 열강의 진출에 따라 전통적 체제를 유지하며 소극적으로 대응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서구 문물을 수용하고 독립을 위한 노력을 전개하게 된다.
청나라 말기 중국은 위기에 처했다. 태평천국운동, 의화단 사건 등을 겪으며 체제가 동요했고, 결국 1911년 신해혁명으로 청 왕조가 붕괴되었다. 이후 국공내전 속에서 혼란의 시기를 겪게 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5.4운동 등을 통해 서구 문물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자주독립을 위한 노력을 전개했다. 특히 중국 공산당이 1921년에 창당되면서 중국의 근대화와 독립운동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게 된다.
조선은 서양 열강의 내정 간섭과 일본의 침략에 시달렸다. 하지만 개화운동, 동학농민운동, 3.1운동 등을 통해 서구 문물을 받아들이고 자주독립을 위해 노력했다. 특히 3.1운동은 광범위한 민중 저항운동으로서,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으로 이어져 무장독립운동을 전개하게 된다.
이처럼 중국과 한반도는 위기에 봉착했지만, 서구 문물 수용과 독립운동을 통해 근대화와 자주성 회복을 위해 ...
참고 자료
강상규, 김세걸. (2023). 근현대 일본정치사. 방송대 출판문화원.
박노자. (2007).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한겨레출판.
임춘택. (2015). 동아시아 국제정치사: 19세기부터 현재까지. 법문사.
유용태. (2008). 한일 근대사의 재인식. 역사비평사.
민병돈. (2003). 동아시아 근현대 전쟁사. 육군사관학교출판부.
강상규, 김세걸, <근현대 일본정치사>(방송대 출판문화원, 2023).
강상규, <동아시아 역사학 선언> (에피스테메, 2021).
일본사학회(2011). 아틀라스 일본사. 사계절.
가와이 아쓰시(2020). 하룻밤에 읽는 일본사. 알에이치코리아.
출처 : (근현대일본정치사) 강의안
“출처 : 18~19세기 조선 중화론과 일본 국체론 비교연구. 사회사상과 문화, 19(1), 165-190. 이미림. 2016”
“출처 : 18세기 말~19세기 전반 일본의 대외관 연구. 동북아역사논총, 30, 159-165. 박훈.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