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십대 임신의 심각성과 사회적 관심 증대
십대 임신은 임부는 물론, 그 파트너에게도 심각한 신체적, 사회경제적 결과를 초래하므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십대의 임신은 쉽고 명쾌한 해결책이 없으며, 복합적이고 다면성을 지닌 문제이다. 통계청 인구총조사 자료에 의하면 지난 4년간 십대 미혼모가 전체 미혼모 중 1.4%-1.8% 수준으로 매년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일본 자혜병원의 경우 2020년 3월 이후 휴교령이 내려진 즈음부터 중고생의 임신상담이 급증했고, 필리핀에서는 지난 20년간 10대 초반의 출산율이 63% 증가했다. 이처럼 십대 임신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마찬가지의 상황이다. 십대 미혼모는 혼전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큰 정신적 고통을 겪고, 사회적 편견과 지지 부족으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는 등 많은 어려움에 놓이게 된다. 십대 임신은 단순한 생물학적 문제를 넘어 복잡한 사회문화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심각한 사회문제라고 할 수 있다.
1.2. 십대 임신의 복합적이고 다면적인 문제
십대 임신의 복합적이고 다면적인 문제이다. 십대의 임신은 쉽고 명쾌한 해결책이 없으며, 복합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십대 미혼모는 혼전 임신과 출산 과정을 통해 자신의 몸이 더럽혀져서 남들에게 창피한 일인 것으로 생각하게 되고, 자신의 임신 사실을 은폐하고자 애를 쓰며 커다란 정신적 갈등과 괴로운 임신 과정을 겪는다. 미혼모가 된다는 것은 임신으로 인한 고통뿐만 아니라 여성의 삶에 커다란 오점을 남기고 일생을 죄의식이나 죄악감 속에서 살아가야 하는 커다란 심적 고통을 겪으며, 사회적 편견 때문에 미혼 부, 가족, 사회로부터의 적절한 지지를 받지 못하고 학업을 중단하는 등 기존의 생활양식에서 이탈하여 정신적으로 극히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아기를 양육하는 경우에도 양육지식과 문제해결 능력의 부족, 경제적 문제 등으로 육아의 어려움과 안정된 가정을 갖기 어려워지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1.3. 십대 임신의 실태와 현황
2018년 통계청 인구총조사 연령별 미혼모, 미혼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4년간 십대 미혼모는 2015년 350명, 2016년 435명, 2017년 377명, 2018년 317명으로 전체 미혼모의 1.4%, 1.8%, 1.7%, 1.5%를 차지하며 매년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일본의 자혜병원은 2007년부터 사정상 자녀를 키울 수 없는 이들이 양육권을 포기하고 자녀를 맡기는 '베이비 박스'를 운영 중이며, 중고생의 임신상담이 2020년 3월부터 증가했다. 필리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0년 동안 10대 초반(10~14세)의 출산율이 63% 증가했으며, 10대 후반(15~19세)도 14%가 출산 경험이 있다. 필리핀 정부는 2019년 8월, 10대들의 임신을 막기 위해 '국가 사회적 비상사태'로 선언하였으나 팬데믹으로 상황은 더욱 악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십대 임신은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십대 임신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다. 십대 미혼모는 혼전 임신과 출산 과정을 통해 자신의 몸이 더럽혀져서 남들에게 창피한 일인 것으로 생각하게 되며, 자신의 임신 사실을 은폐하고자 애를 쓰며 커다란 정신적 갈등과 괴로운 임신 과정을 겪는다.
2. 십대 임신의 발생요인
2.1. 다양한 성 파트너와 피임기구 미사용
십대 미혼부모는 다양한 성 파트너와의 관계로 인해 임신을 경험하게 된다. 이들은 피임기구의 미사용으로 인해 원치 않는 임신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여러 성 파트너를 가지는 경우 피임 지식과 실천의 부족으로 임신을 예방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충동적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