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쌀의 수분 흡수율"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쌀의 수분 흡수율
1.1. 실험 재료 및 기구
1.2. 실험 방법
1.3. 실험 결과
2. 전분의 호화 및 노화 원리
2.1. 전분의 호화 원리
2.2. 전분의 노화 원리
3. 실험 결과 분석
3.1. 쌀의 수분 흡수율 변화
3.2. 현미와 콩의 수분 흡수율 변화
3.3. 버섯과 해조류의 수분 흡수율 변화
4. 수분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4.1. 침지 시간과 온도의 영향
4.2. 식품의 조직 구조와 성분 특성
5. 불린 식품의 활용
5.1. 수분 흡수율에 따른 조리 분량 산정
5.2. 수분 흡수 특성에 따른 식품 선택
6. 결론
6.1. 실험 결과 요약
6.2. 수분 흡수 특성의 실용적 활용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쌀의 수분 흡수율
1.1. 실험 재료 및 기구
실험 재료 및 기구는 다음과 같다. 재료로는 쌀 60g, 현미 60g, 콩 60g, 목이버섯 30g, 미역 30g, 무말랭이 30g이 사용된다. 기구로는 100ml 비커 18개, 300ml 비커 6개, 500ml 비커 12개, 전자저울, 키친타올, 라벨이 사용된다. 각각의 시료를 정확히 측정하여 준비한다. 쌀은 10g씩 6개의 비커에 담아 물 50mL씩 넣어 불리며, 현미, 콩, 목이버섯, 미역, 무말랭이도 동일한 방식으로 준비한다. 각 시료의 수분 흡수율을 측정하기 위해 비커에서 정기적으로 시료를 꺼내 표면수를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한다. 실험 과정에서 쌀알이 키친타월에 붙거나 체에 걸려 균일한 수분 흡수율 측정이 어려운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1.2. 실험 방법
각각의 시료를 쌀 60g(10g*6), 현미 60g(10g*6), 미역 30g(5g*6), 콩 60g(10g*6), 목이버섯 30g(5g*6), 무말랭이 30g(5g*6)으로 정확히 측정한다. 쌀을 10g씩 계량하여 6개의 비커에 담고 각각 물 50mL 정도를 넣어 불린다. 10분이 되면 비커 1개의 수분을 제거하고, 체와 키친타월로 쌀의 표면수를 완전히 제거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아래의 식을 사용하여 치수 전과 후의 무게 차이에서 흡수율(%)을 계산한다. 다른 시료도 10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침수 60분까지 측정한다.
1.3. 실험 결과
쌀은 30분에 29%, 40분에 28%, 50분에 29%의 흡수율을 보였다. 쌀의 표면 수분 제거 과정에서 쌀알이 키친타월에 붙어 일부가 손실되거나 체에 걸려 증량 측정 시 탈락되어 오차가 발생했다. 그러나 오차가 없는 10분, 20분, 60분의 실험 결과와 교재 정보를 비교해보면 무게 증가율과 근접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미는 30분에 16%, 40분에 9%, 50분에 11.3%의 흡수율을 보였다. 현미의 표면 수분 제거 과정에서 실험자의 힘이 균일하지 않았으며, 체에 현미가 으깨지고 걸려 일부가 손실되었다. 그러나 오차가 없는 20분(18%)과 60분(20%)의 흡수율 차이가 크지 않아, 현미의 단단한 외피로 인해 수분 흡수율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콩은 10분에 최고 흡수율을 보였으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흡수율이 꾸준히 증가했다. 그러나 실험 최대 시간인 1시간은 콩의 적정 침수 시간인 8~12시간과 차이가 있어 2~3배의 무게 증가율을 보이지 않았다.
목이버섯은 10분, 20분, 30분에 최고 흡수율을 보였으며,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미역은 20분에 최고 흡수율을 보인 후 30분 1194%, 40분 1188%, 50분 1204%, 60분 1158%의 흡수율을 보였다. 실험자들의 개인차로 인해 미역의 수분 제거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했다.
무말랭이는 10분과 60분에 최고 흡수율을 보이며 꾸준히 증가했다. 대부분의 건조식품이 0~10분 사이에 최고 흡수율을 보였다.
미역, 목이버섯, 무말랭이, 콩, 쌀, 현미 순으로 불린 후 무게 증가율이 높았다. 이는 식품 간 분자 구조와 수분 침투 정도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건조식품일수록 흡수 속도가 빨랐으며, 침수 시간과 수온이 높을수록 흡수량이 증가했다.
2. 전분의 호화 및 노화 원리
2.1. 전분의 호화 원리
전분은 주로 식물에서 찾을 수 있는 다당류 중 하나로, 포도당 분자들이 α-글리코시드 결합을 통해 형성된 다량 연결체이다. 전분의 호화는 뜨거운 물에 전분을 녹이거나 식물 조직이나 전분이 풍부한 식품을 조리하면 일어나는 현상이다.
먼저, 전분이 물에 녹이면 전분 분자들이 물 분자와 상호 작용하면서 수분을 흡수하여 분자 간 수소 결합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전분 분자들이 물에 분산되고 산란하게 된다.
다음으로, 온도가 상승하면서 분자 운동이 활발해져 ...
참고 자료
[실험조리] 변진원 외 3인 지구문화사
[조리원리] 변진원 외 4인 파워북
[식품학] 김정숙 외 8인 지구문화
공용, 2017, 식생활과문화, 우리나라 떡의어원 역사 종류 외식산업의 발전과정과 현황
김기영, 2015,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전분의 호화(糊化)와 노화(老化)
이효지 『조선시대의 떡문화 연구』<한국조리과학회 정기총회 및 추계학숙발표회>, 한국조리과학회 2008
이종미 『한국의 떡문화 형성기원과 발달과정에 관한 소고』<한국 식생활에서의 쌀문화> 한국식문화협회 농업협동조합중앙회, 2005.
정재홍, 한국의 떡, 형설출판사, 2003.
장미경, 2005, 종촌진흥청, 말랑말랑한 떡을 꽁꽁 얼리는 이유 급속 냉동해야 수분 유지된다
최해춘. 1996. 쌀을 알자. 신구문화사
[에듀윌 떡제조기능사] 문혜사 외 2인, 에듀월, 2020
[조리응용을 위한 식품과 조리과학] 배영희 외5인, 교문사, 2003
[메뉴개발을 위한 실험조리] 변진원 외 3인, 지구문화, 2017
[조리원리] 변진원 외 4인, 파워북,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