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카트로닉스 공학 및 설계

  • 1
  • 2
  • 3
  • 4
  • 5
  • 6
>

상세정보

소개글

"메카트로닉스 공학 및 설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메카트로닉스 공학 및 설계
1.1. 메카트로닉스의 정의 및 개념
1.2. 메카트로닉스의 분야
1.2.1. 인공지능
1.2.2. 지능형 로봇
1.3. 메카트로닉스의 전망

2. 기계공학과 자동차공학 업계에서의 직업 변화
2.1. 기계공학과 자동차공학 산업분야에서의 직업
2.2. 인공지능 기술
2.3. 기계공학과 자동차공학의 직업과 인공지능 기술

3. 자동차공학과 소개
3.1. 자동차공학과의 정의 및 개요
3.2. 자동차공학과의 교육목표
3.3. 자동차공학과의 교육체제
3.4. 졸업 후 진로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메카트로닉스 공학 및 설계
1.1. 메카트로닉스의 정의 및 개념

메카트로닉스(Mechatronics)는 기계(Mechanics)공학과 전기(Electronics)공학의 합성어이다. 메카(Mecha)는 기구나 기계요소 등의 기계기술을 의미하고, 트로닉스(Tronics)는 제어 알고리즘이나 제어요소 등의 전자기술을 나타낸다. 즉, 기계와 전자 그리고 전기를 복합적으로 적용한 새로운 개념의 공학이며 기계 제어 등에 전자기술을 응용하여 자동화 생산 시스템 뿐만 아니라, 정밀가공, 지능형 로봇, 반도체, 지능형 설비, 인공지능,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메카트로닉스를 통해 인간보다 더욱 정확하고 신속한 로봇이 인간을 대체하여 실수가 적고 안전하게 여러 현장에 투입 가능하다. 메카트로닉스 엔지니어링은 컴퓨터 제어 전자 공학 시스템의 설계이며 기계적 시스템 설계는 전체 시스템으로 구성된 전기/전자파 및 컴퓨터 제어 측면에서 기계적 시스템 설계를 수행해야 한다는 점에서 '현대 기계 공학'으로 간주될 수 있다.


1.2. 메카트로닉스의 분야
1.2.1. 인공지능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은 1955년 University of New Hampshire의 John McCarthy가 처음 제안한 개념이다. 그는 당시 콘퍼런스에서 '인공 지능'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하였으며, 이를 계기로 인공지능 연구 분야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인공지능은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언어 이해능력 등 인간이 수행할 수 있는 지적 기능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유사하게 또는 그 이상으로 실현한 기술이다. 인공지능은 크게 규칙기반 인공지능, 연결주의 인공지능, 통계기반 인공지능의 세 가지 계열로 구분된다.

규칙기반 인공지능은 계산주의를 기반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계산을 위해 사용되는 기호와 기호 간의 연산에 대한 규칙을 정의하는 방식으로 초창기 인공지능이 발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실제 세계의 사물과 사상을 기호화하는 데 한계가 있었고, 성능과 범용성 부족의 문제점이 있었다.

연결주의 인공지능은 사람의 두뇌를 구성하고 있는 신경 간의 연결 구조와 학습 메커니즘을 모방하여 개발되었다. 기호 처리가 아닌 신경망 모델을 활용하여 방대한 데이터로부터 스스로 학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간의 지능이 발현되는 과정을 보다 잘 모방할 수 있게 되었다.

통계기반 인공지능은 인간의 두뇌 구조와 지능보다는 인공지능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자체에 초점을 맞추어 통계적 접근을 수행한다. 실제 세계 문제 해결을 위한 특징 설계, 평가, 최적화 과정...


참고 자료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73030&cid=58468&categoryId=58468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473029&cid=58468&categoryId=58468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4302347
http://www.hankookilbo.com/v_print.aspx?id=efdce876091c4dd1ad55d5e2d7650a96
http://www.ebn.co.kr/news/view/859597
http://dhghtjrdl.blog.me/220563470810
러셀, 스튜어트. 인공지능. 경기도: 제이펍, 2016.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인공지능(AI)시대의 직업 환경과 직업교육.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