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임신성 당뇨는 임신 전에는 당뇨병의 과거력이 없었다가 임신 후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이다. 임산부의 2~7%에서 나타날 수 있는데, 임신을 하면 자궁 내 태반에서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이 임산부의 몸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액 속의 당이 세포 내로 이동되지 못하기 때문에 혈당이 상승하게 된다. 즉, 임신을 하면 태아로 인해 증가하는 에너지의 필요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모체는 더 많은 인슐린을 만들어내야 하지만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인슐린의 생산을 방해하므로 혈당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임신성 당뇨병은 대부분 태반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는 임신 후반기에 시작되며 출산 시 태반이 배출됨에 따라 임신성 당뇨병이 사라지게 되지만, 다음 임신 시 재발하거나 제2형 당뇨병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출산 후에도 당뇨병 예방에 힘써야 한다.
2. 임신성 당뇨의 개념
2.1. 정의
임신성 당뇨는 임신 전에는 당뇨병의 과거력이 없었다가 임신 후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이다.
임신을 하게 되면 임산부의 자궁 내 태반에서 호르몬이 분비되는데 이 호르몬은 임산부의 몸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의 작용을 억제하여, 혈액 속의 당이 세포 내로 이동되지 못하기 때문에 혈당이 상승하게 된다. 즉, 임신을 하게 되면 태아로 인해 증가하는 에너지의 필요량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모체는 더 많은 인슐린을 만들어내야 하는데 태반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인슐린의 생산을 방해하므로 혈당이 증가하는 것이다. 임신성 당뇨병은 대부분 태반 호르몬이 많이 분비되는 임신 후반기에 시작 되며 출산 시 태반이 배출됨에 따라 임신성 당뇨병이 사라지게 된다. 하지만 다음 임신 시 재발하거나 제2형 당뇨병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출산 후에도 당뇨병 예방에 힘써야 한다.
임신성 당뇨병의 원인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태반락토젠, 난포호르몬, 황체호르몬 등의 태반 호르몬이 인슐린의 분비를 억제하는 작용과, 태반 인슐린 분해 효소의 작용이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 의해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면, 정상 임산부는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한다. 하지만 임신성 당뇨병이 있는 임산부는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할 만큼 인슐린이 충분히 분비되지 못하기 때문에 임신성 당뇨병의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이 외에도 비만한 여성, 거대아 출산력이 있거나 당뇨 가족력이 있는 경우를 위험요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 [1,2,3]
2.2. 원인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 의해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 즉,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현상이 생기기 때문이다. 정상 임산부는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하기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지만, 임신성 당뇨병에 걸린 임산부에게는 인슐린 저항성을 극복할 만한 인슐린 분비가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인슐린 저항성과 분비장애 모두 중요한 원인이 된다. 일부에서는 췌장 베타 세포를 항원으로 인식하는 자가항체가 발견되기도 한다.
30세 이상의 임부, 비만, 유형Ⅱ당뇨병의 가족력, 4kg 이상의 비만한 신생아출산, 양수과다증, 원인모를 사산, 유산, 선천성 이상을 지닌 신생아의 분만 경험이 있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요인이 된다.
2.3. 증상
대부분의 임신성 당뇨병 환자는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종종 피로감과 쇠약감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며, 임신성 고혈압을 동반하기도 한다.
임신성 당뇨병이 산모에게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신 중독증, 감염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