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미숙아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
1.1. 미숙아의 정의와 원인
WHO의 정의에 따르면, 미숙아 또는 조산아는 출생체중과 관계없이 재태기간 37주 이전에 출생한 신생아를 의미한다. 저출생 체중아의 2/3가 미숙아이며, 미숙아는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 환아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또한 미숙아는 가장 심각한 신생아 합병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미숙아의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모가 이전에 유산이나 미숙아 출산 경험이 있는 경우 미숙아가 될 가능성이 높다. 둘째, 산모의 두 번 이상 유산 경험은 미숙아 출산 가능성을 높인다. 셋째, 산모가 태반 조기 박리, 전치 태반, 양수과다증, 양수과소증, 자궁내 섬유양질환, 임신중독증, 양막 파열 등의 질병이 있는 경우 미숙아가 될 수 있다. 넷째, 산모가 복부 수술을 받은 경우에도 조기 진통이 유발될 수 있다. 다섯째, 자궁의 모양이 비정상적인 경우에도 미숙아 출산 위험이 높다. 여섯째, 산모의 나이가 너무 어리거나 너무 많은 경우에도 미숙아가 태어날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임신 중 약물 복용 또한 미숙아 출산의 원인이 될 수 있다.
1.2. 미숙아의 신체적 특징
미숙아는 만삭아에 비해 다양한 신체적 특징을 보인다. 피부는 붉고 투명하며, 복부 정맥이 눈에 잘 띈다. 발바닥에는 얕은 주름만 있고, 등과 팔다리에 많은 솜털이 분포한다. 남아의 경우 음낭이 잘 발달되지 않았고 고환이 내려오지 않은 경우가 많다. 여아는 음핵이 돌출되어 있다. 귀 연골이 단단하지 않고 탄력성이 없으며, 얼굴이나 몸통에 비해 머리가 상대적으로 크다. 자세는 이완되어 있고, 손과 발의 반사작용이 약하거나 미약하다. 체온 조절 능력이 떨어져 저체온이나 고체온에 쉽게 노출된다. 호흡은 불규칙하고 얕으며, 부속근을 사용하여 숨을 쉰다. []
1.3. 미숙아의 주요 합병증
미숙아는 만삭아에 비해 각종 신체적, 생리적 기능이 미성숙하여 많은 합병증에 노출된다. 이러한 미숙아의 주요 합병증에는 체온조절 실패, 호흡기계 문제, 뇌실 내 출혈, 고빌리루빈 혈증, 감염, 영양 부족 등이 있다.
첫째, 미숙아는 상대적으로 큰 체표면적, 열 생산 부족, 피하지방 부족, 영양 및 산소 부족 등의 이유로 체온을 조절하기 어려워 저체온과 고체온의 위험이 크다. 발한 기능 또한 미숙하여 열 발산이 원활하지 않다.
둘째, 미숙아의 늑골과 늑골 근육, 횡격막의 힘이 약하여 폐포 확장이 어렵고 계면활성물질 부족으로 유리질막증이 잘 발생한다. 또한 심부전이 일어나 폐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셋째, 미숙아는 뇌혈관-뇌 장벽이 미성숙하여 비교적 낮은 빌리루빈 수치에서도 핵황달이 나타날 수 있다.
넷째, 미숙아의 면역체계가 미숙하고 모체항체 전달이 늦어 출생 전후로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의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