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지상세포 백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수지상세포의 개념과 특성
1.2. 백신의 개념과 중요성
1.3. 백신 개발의 역사적 배경
2. 본론
2.1. 면역반응과 백신요법
2.1.1. 면역반응의 분류
2.1.2. 백신요법의 원리
2.2. 전통적인 백신과 RNA 백신 비교
2.2.1. 전통적인 백신의 특징
2.2.2. RNA 백신의 특징 및 장단점
3. 결론
3.1. 백신요법의 중요성 및 필요성
3.2. 미래 백신 기술의 전망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수지상세포의 개념과 특성
수지상세포는 항원을 포획하고 항원을 제시하는 기능을 하는 전문적인 면역세포이다. 수지상세포는 그 모양이 신경세포의 가지와 유사하여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수지상세포는 피부를 포함한 말초 조직에 존재하며, 병원균 침입을 항상 감시하고 있다. 감염 등에 의해 외부에서 유래된 항원을 포획한 수지상세포는 T 세포에 항원을 제시하기 위해 말초 조직을 벗어나 림프기관으로 이동하게 된다. 수지상세포는 항원을 포획하기 위해 탐식작용, 수용체 매개 세포내 이입, 그리고 음세포작용의 3가지 방법을 사용한다. 수지상세포는 성숙 과정을 거치면서 항원 포획 기능은 줄어들고 T 세포에 항원을 제시하는 기능이 증가하게 된다. 성숙한 수지상세포는 반드시 필요한 MHC class Ⅱ 분자 및 공동자극분자들의 발현이 증가하고, T 세포를 활성화시킨다. 이처럼 수지상세포는 선천면역과 적응면역을 연결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한다. 수지상세포는 다양한 종류와 기능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활용한 면역치료법이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1.2. 백신의 개념과 중요성
백신은 어떤 감염증에 대한 면역을 얻기 위해 인위적으로 약화하거나 죽인 미생물 또는 병원미생물이 생산한 독소에 필요한 조작을 가해 만든 것이다. 백신 접종을 통해 신체의 면역체계가 자극되어 특정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생성된 항체는 사람이 다시 그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노출되면 자동적으로 이를 제거하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질병을 막을 수 있다.
역사적으로 인류에게 있어 가장 큰 위협은 전염병이었으며, 기아와 전쟁에 비해 눈에 보이지 않는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역병이 더 큰 공포를 야기했다. 전염병은 불안을 조장하여 정치체제 및 사회제도를 붕괴시키고 경제에도 타격을 주었다. 따라서 백신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백신은 인류에게 있어 전염병에 대한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이 되고 있다.
1.3. 백신 개발의 역사적 배경
역사적으로 인류에게 있어 대재앙은 기아, 전쟁, 역병이었다. 기아와 전쟁은 눈에 보이는 요인에 의해 초래되었지만, 이와 비교해 역병은 눈에 보이지 않는 요인에 의해 발생하여 인류에게 더 큰 공포가 다가왔다. 병의 직접적인 영향 외에도 불안을 조장하여 정치체제 및 사회제도를 붕괴시켰고, 경제에도 타격을 주었다. 따라서 백신의 중요성은 더...
참고 자료
https://www.ajunews.com/view/20200705141333449, 코로나 사태 극복 위한 백신 개발은 어디까지 왔는가?, 박상철, 아주경제, 2020.07.08.
https://www.doopedia.co.kr, 면역, 두산백과
https://www.doopedia.co.kr, 백신, 두산백과
https://www.msdmanuals.com, 예방접종의 개요, Margot L. Savoy, MD, MPH, Lewis Katz School of Medicine at Temple University, 2024.04.15.
ttps://www.yna.co.kr/view/AKR20240906144500017?input=1195m, [이지 사이언스] 백신을 100일 안에 만드는 방법, 김현수, 연합뉴스, 2024.09.07.
http://www.pmg.co.kr, DNA백신,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김원근(2019), mRNA 백신 – 백신학의 새로운 시대, BRIC View 2019-R11
https://www.bioin.or.kr/board.do?num=304893&cmd=view&bid=issue,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mRNA 기반 혁신기술, 초고속 백신 개발 가속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20.02.23.
미생물 면역분과학회, 최신면역학. 라이프 사이언스, 2011
서설, 임상면역학. 고려의학, 2009
그림 1 : http://study.zum.com/book/11971
그림 3 : http://www.bioibank.com/html/sub01_02.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