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수산화나트륨 탄산나트륨 혼합물의 정량"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실험 이론 및 원리
2.1. 실험 요약
2.2. 적정
2.3. 중화적정
2.4. 역적정
2.5. 당량점
2.6. 종말점
2.7. 지시약
3. 재료 및 방법
3.1. 재료
3.1.1. 실험기구
3.1.2. 시약
3.2. 방법
3.2.1. 총 알칼리의 정량
3.2.2. 탄산수소나트륨의 정량
4. 결과
4.1. 결과 분석
5. 고찰
5.1. 실험 과정에서 발생했을 오차 요인 파악
5.2. 탄산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 혼합물의 또 다른 정량 방법
6. 참고문헌
7. 사사
8. 과제
9.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수산화나트륨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정량하는 실험은 산-염기 반응과 침전 반응을 이용하여 각 성분의 함량을 구하는 것이다. 이 실험에는 직접적정법과 역적정법이 사용되는데, 총 알칼리의 양을 구하기 위해 염산 표준용액으로 직접적정하고, 탄산수소나트륨의 양을 구하기 위해 수산화나트륨 표준용액을 먼저 가하여 반응시키고 남은 수산화나트륨을 염산 표준용액으로 역적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또한 탄산염 침전반응을 이용하여 탄산나트륨의 양을 간접적으로 구하는 방법도 활용된다. 이 실험을 통해 수산화나트륨과 탄산나트륨의 혼합물 중 각 성분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2. 실험 이론 및 원리
2.1. 실험 요약
혼합물의 정량
혼합물에 존재하는 각 성분의 양을 정확히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다양한 정량 분석 방법이 활용된다. 본 실험에서는 수산화나트륨(NaOH)과 탄산나트륨(Na₂CO₃) 혼합물의 정량을 수행하였다.
수산화나트륨과 탄산나트륨 혼합물의 정량을 위해 Warder법을 활용하였다. Warder법은 두 종류의 지시약을 사용하는 연속적정법으로, 오차가 크지만 간편한 것이 특징이다. 먼저 페놀프탈레인을 지시약으로 사용하여 HCl로 적정하면 NaOH가 모두 중화되고 Na₂CO₃가 NaHCO₃까지 중화된다. 이어서 메틸오렌지를 지시약으로 사용하여 적정을 계속하면 NaHCO₃가 중화된다. 이때 적정에 소모된 HCl의 양을 통해 NaOH와 Na₂CO₃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혼합물 25mL 중 시료 25mL를 취해 페놀프탈레인을 지시약으로 사용하여 HCl로 적정하였다. 그 결과 x mL의 HCl이 소모되었다. 이어서 메틸오렌지를 지시약으로 사용하여 적정을 계속하였고, y mL의 HCl이 추가로 소모되었다. 따라서 혼합물 중 NaOH의 양은 (x-y) mL, Na₂CO₃의 양은 2y mL에 해당한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혼합물 중 NaOH와 Na₂CO₃의 양을 정량적으로 구할 수 있다. 결과를 바탕으로 각 성분의 함량을 계산하고, 혼합비율을 파악할 수 있다.
2.2. 적정
적정은 일정한 부피의 시료 용액 내에 존재하는 알고자 하는 물질의 전량을, 이것과 반응하는 기지 농도의 시약의 부피를 측정하여 그 양으로부터 알고자 하는 물질의 양을 구하는 방법이다. 반응 용액의 한쪽을 뷰렛에 취하고, 다른 한쪽을 비커에 담아 뷰렛에서 조금씩 떨어뜨려 반응의 종말점을 결정한다.
중화적정은 중화반응을 이용한 적정으로, 산 또는 염기의 표준용액을 사용하여 농도를 알 수 없는 염기 또는 산을 적정함으로써 정량분석하는 방법이다. 화학반응 중에서 중화반응은 매우 신속하게 진행되고, 산염기 지시약에 의해서 중화점을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에 산 또는 염기를 정량할 수 있다. 산의 표준용액으로는 염산 또는 황산을, 염기의 표준용액으로는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바륨 등을 사용한다.
역적정은 간접적으로 적정을 행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농도를 모르는 수산화칼륨 10mL와 농도 1M의 염산 20mL를 가하여 혼합액이 산성을 띠게 한 후, 이 혼합액 속의 과잉의 산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1M의 수산화나트륨용액을 중화될 때까지 적정을 행한다. 이 중화점에 이르기까지에 소요된 수산화나트륨의 부피가 10mL였다면 원래의 수산화칼륨 10mL 속의 염기 총량에 해당하게 되므로, 수산화칼륨의 농도를 알 수 있다. 이처럼 역적정은 산과 염기의 중화, 산화·환원, 침전의 생성·소거 등을 이용하는 경우와 공업상 원유의 비누화값을 산출할 때 등에도 사용된다.
당량점은 용량 분석에 있어서 시료에 대해 이것과 완전히 당량 표준액이 첨가된 점을 말한다. 여기에 대하여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 어떤 한 가지 결정된 조건하에서의 분석법에 따른 경우의 종말점밖에 없다. 따라서 구하는 종말점이 당량점과 완전히 일치하는 것이 용량 분석에 있어서 이상적이다.
종말점은 적정의 종말점을 말하며, 정량해야 할 물질에 대해 당량의 적정제가 첨가되는 것이 지시되어야 할 점을 의미한다. 지시약의 색이 급격히 변하는 점, 적정 곡선의 변곡점, 적정 곡선에서 두 직선의 교점 등에 의해 주어진다. 종말점은 당량점과 일치해야 하지만, 두...
참고 자료
분석화학 8판(Daniel C. Harris 저, 김강진 외 7인 공역 자유아카데미)
기본분석화학실험 도해(김문식 외 2인 공저, 형설출판사, 1996)
기본분석화학, 박기채, 탐구당, 2006
“탄산수소나트륨”,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50931&cid=40942&categoryId=32099
“탄산나트륨”,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52172&cid=40942&categoryId=32251
“역적정”,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6299&cid=40942&categoryId=32256
“침전 적정”, 네이버 지식백과(화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310502&cid=60227&categoryId=60227
“염화바륨”, 네이버 지식백과(두산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27019&cid=40942&categoryId=32263
“브로모페놀 블루”, 네이버 지식백과(화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90813&cid=60227&categoryId=60227
“탄산나트륨의 분석법”, 네이버 지식백과(화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313579&cid=60227&categoryId=60227
“와르더법”, 네이버 지식백과(화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303728&ref=y&cid=60227&categoryId=60227
“빈클러법”, 네이버 지식백과(화학대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292101&ref=y&cid=60227&categoryId=6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