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베트남산후조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베트남 소개
2.1. 위치 및 면적
2.2. 종교
2.3. 언어
2.4. 관습 및 풍습
3. 임신과 출산
3.1. 출산
3.2. 임신
3.3. 태교
3.4. 임신 중 금기 사항
3.5. 태아 성별 감별법
4. 산후조리
4.1. 산후조리 방법
4.2. 산후조리 음식과 특징
4.3. 산후조리에 대한 통설
4.4. 과거와 현재의 산후조리 풍습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베트남은 동남아시아에 위치한 국가로 최근 한국으로의 국제결혼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베트남 여성의 문화와 전통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특히 출산과 산후조리 등 모성보건 관련 관습은 베트남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이 보고서에서는 베트남의 임신과 출산, 그리고 산후조리에 대한 전통과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2. 베트남 소개
2.1. 위치 및 면적
베트남은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 반도의 동부에 위치하고 있다. 베트남은 동경 102°09 ~ 109°30, 북위 8°10 ~ 23°24의 범위에 있으며, 중국, 라오스, 캄보디아와 접경하고 있다. 베트남의 면적은 33만 1,210㎢로 한반도의 약 1.5배이며, 최북단과 최남단 간의 거리는 1,750km이다.
2.2. 종교
불교는 2세기에 베트남에 처음 들어와 11세기 리 왕조(Ly dynasty)때 전성기를 이룬 뒤 조정의 대소사에 관여하는 공식적인 종교로 간주되었다. 불교는 대중들에게 널리 전파되어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전통문학과 건축물에서도 불교의 영향이 다양한 형태로 남아있다. 14세기 말 불교는 쇠퇴의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지만, 불교의 이념은 베트남 사회와 문화에 매우 강하게 남아있다. 현재 베트남 인구의 70퍼센트 이상이 불교도이거나 불교적 관습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다.
가톨릭은 17세기에 베트남에 처음 소개되었고, 현재 가톨릭 신자가 가장 많은 지역은 닌빙(Ninh Binh)의 북쪽지역에 있는 부이 쭈 팟 디엠(Bui Chu-Phat Diem)과 동나이 성(Dong Nai Province) 남쪽에 있는 호 나이-비엔 호아(Ho Nai-Bien Hoa)지역이다. 베트남 인구의 약 10퍼센트가 가톨릭신자로 추정된다.
신교는 구교와 거의 같은 시기에 베트남에 소개되었지만 널리 퍼지지는 못했다. 현재 대부분의 신교도 신자는 중부 산악지대에 거주하고 있는 소수종족들이며, 베트남의 신교도 수는 약40만 명으로 추정된다.
이슬람교는 주로 중부해안 지방의 중심지에 살고 있는 짬(Cham) 소수종족이 믿고 있으며, 베트남의 무슬림은 약 5만 명이다.
까오다이교는 1926년에 베트남에 처음 소개되었고, 남부 베트남 까오다이교도의 본거지는 떠이 닌(Tay Ninh)에 자리한 교회의 인근지역이다. 까오다이교의 신자 수는 약200만 명으로 추정된다.
호아하오교는 1939년 처음 베트남에 도입되었고, 100만 명 이상이 호아하오교를 믿으며, 주로 베트남 남서지방에 거주한다.
2.3. 언어
공용어인 베트남어(ti?ng Vi?t)는 베트남의 총 인구 중 약 87%를 차지하는 킨족의 모국어이다. 베트남의 소수 민족 사이에서도 공용어로 쓰이며 중국이나 이웃 나라의 킨족과, 미국, 프랑스 등지에 사는 재외 베트남인들이 사용한다. 캄보디아에서는 소수 언어로, 주로 국경 지역에서 쓰이는 편이다. 캄보디아의 크메르어와 사촌 관계를 가진 언어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예전에 월남어(越南語)라고도 불렸다.
2.4. 관습 및 풍습
베트남 인들은 조상숭배 관습을 따르며, 모든 가정에서는 가장 신성한 장소에 조상을 모시는 제단을 차린다. 또한 구장잎(Betel)/빈랑열매(Areca Nut) 씹기와 투옥라오(thuoc lao, 물담배) 피기 풍습이 전해지고 있는...
참고 자료
두산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01552&cid=40942&categoryId=34043, (2017. 5. 10)
주연진(2014),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출산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학위논문
전체 이주여성 128,683명 중 중국 50,502(한국계 19,116 포함), 베트남 39,525명(출입국·외국인 정책본부 www.immigration.go.kr 출입국 외국인 정책 통계월보 2013년 8월호 참고)
김현재(2007), 『베트남 여성의 한국으로의 결혼이민: 그 배경과 원인에 대한 고찰』, 동아연구52, p220
부썬투이(2002), 『베트남 베트남 사람들』, 배양수 옮김, 대원사, p105-106
조재현 외(2003), 『베트남 들여다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p317
클레어 엘리스(2005), 『베트남』, 김양희 옮김, 휘슬러, p82
Toun Anh, 『Tim hieu phong tuc Viet Nam qua nep cu gia dinh』, Nha xuat ban van nghe Thanh pho Ho Chi Minh, 2000, pp39-40, 재인용, 김현재, 「베트남의 전통혼인관념」, 베트남연구4, 2003, p140
조재현 외(2003), 『베트남 들여다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p317
권영은(2017),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산후조리 경험』, 고신대학교 학위논문
강혜영(2013), 『문화와 건강-우리나라 다문화사회의 이해-』, 현문사, p254-255
정정순 (2011).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과 문화적응. 인제대학교 대학원
주연진 (2014).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출산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배경미, 조혜숙, 이인선 (2009). 문화별 산후조리의 전통과 실재에 대한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제22권 제1호, pp.231-242.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출산에 관한 연구, 김종대,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정정순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과 문화적응」.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1
주연진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출산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배경미, 조혜숙, 이인선 . 문화별 산후조리의 전통과 실재에 대한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제22권 제1호, 2009 p231-242.
대한 한방부인과 학회지 - 「문화별 산후조리의 전통과 실재에 대한 고찰」 2009
[네이버 지식백과] 베트남 [Vietnam] (두산백과)
CIAFACTBOOK http://www.kma18.com/tour/information/Vietnam.html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B%B2%A0%ED%8A%B8%EB%82%A8%EC%96%B4
비나한인 http://www.vinahan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