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창업 캡스톤 디자인의 개념과 내용
1.1. Capstone Design의 개념
Capstone Design의 개념이란 공학 교육에서 학생들이 졸업 전에 실무 현장에서 해결해야 할 실제 문제들을 자신의 공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해결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Capstone은 이집트 피라미드의 꼭대기에 올려지는 돌로 작품을 모두 만든 후 맨 위에 올리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최고의 성취를 이루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이름처럼 캡스톤 디자인은 공대생들이 현장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자신의 공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이론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인해 산업현장과 동떨어진 엔지니어가 양산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공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창의성, 실무능력, 팀워크 등 다양한 역량을 갖춘 문제해결형 엔지니어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1.2.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목표
캡스톤 디자인 수업의 목표는 학생들이 아이디어를 내서 아이템을 설계하고 제작 및 조립을 자신이 직접 수행함으로써 제품의 개발단계에서부터 제조하여 완성 단계까지의 모든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현장에서 마주치는 여러 문제들을 자신의 전공 지식을 이용해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다. 또한 본 수업에서는 사업에 대한 꿈이 있지만 경험이 없는 학생들을 위해 직접 사업계획서를 작성해보고 자신의 생각을 다른 사람 앞에서 발표하는 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을 설득하는 방법을 배우고 사업계획에 대한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사업에 대한 실무 능력, 창의성, 팀워크 등 다양한 경험과 능력을 보유한 문제해결 능력을 갖출 수 있다.
1.3. 아이디어 산출 기법
브레인스토밍(brain storming)은 집단토의의 일종으로 특정한 문제나 주제에 대하여 두뇌에서 폭풍이 몰아치듯 생각나는 아이디어를 가능한 많이 산출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다른 사람이 낸 아이디어에 대해 비판하거나 섣부른 결론을 내리기보다는 여러 사람이 자유롭게 제시한 아이디어들을 종합하여 합리적인 해결책을 만드는 것이다.
전자 브레인스토밍(electronic brainstorming)은 꼭 만나서 집단토의를 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이용해 브레인스토밍을 하는 것이다. 이 방법의 경우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을 필요 없이 언제든지 아이디어를 낼 수 있고 익명성이 보장되어 타인의 아이디어를 마음껏 참고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아이디어의 타인의 평가에 대한 두려움 없이 매끄러운 상호작용으로 자주 활용되고 있다.
브레인라이팅(brain writing)은 주로 많은 구성원들로 이루어진 조직에서 활용되는 아이디어 창출기법으로, 브레인스토밍과 비슷하지만 자신의 의견을 말로 내세우는 것이 아니라 글로 내세우는 것이기 때문에 소극적인 사람들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고 영향력이 큰 개인의 집단에 대한 영향력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인드맵(Mind Map)은 "생각의 지도"라는 뜻으로, 자신의 생각을 지도를 그리듯 이미지화 하여 사고력, 창의력, 기억력을 한층 더 높인다. 마인드맵은 우리 주변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생각 도출 방법이지만, 실제로 마인드맵을 그린다고 아무리 생각해봐도 새로운 아이템이 잘 생기지 않는다. 집단으로 브레인스토밍을 하는 것이 마인드맵보다 훨씬 효과적으로 아이템을 도출할 수 있다.
1.4. 비즈니스 모델 구체화
비즈니스 모델은 사업의 지속적인 수익 창출을 위한 계획서이다.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에 걸쳐 전 세계적으로 벤처 붐이 일면서 수많은 기업들이 만들어졌고 없어지게 되었는데, 이때 기업들이 성공적인 투자 유치를 위해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개념을 만들어 사업에 접근하였다.
비즈니스 모델이라는 용어는 유행처럼 생겨났기 때문에 그 정의도 모호하였고 정확히 이해하려는 시도도 부족하였다. 그러던 중 알렉산더 오스터왈더라는 사람이 비즈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