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Benign neoplasm of o 문헌고찰"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난소(Ovary)의 구조와 기능
2.2. 양성난소종양(Benign Neoplasm of Ovary)
2.2.1. 정의(Definition)
2.2.2. 원인(Etiology)
2.2.3. 임상적 특성(Clinical Manifestation)
2.2.4. 진단검사(Diagnostic Measure)
2.2.5. 치료(Treatment)
2.2.6. 간호(Nursing Care)
3. 대상자 관찰기간 및 자료수집 방법
4. 사례연구
4.1. 자료수집
4.1.1. 일반적 사항
4.1.2. 월경력(Menstrual History)
4.1.3. 건강력(Health History)
4.1.4. 과거병력(Past Health History)
4.1.5. 가족병력(Family Health History)
4.1.6. 질병과 관련된 사회 · 심리적 정보
4.1.7. 입원 시 상태
4.1.8. 진단검사
4.1.9. 치료계획과 치료방법
4.1.10. 수술 후 상태 및 간호
4.2. 간호과정 적용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여성의 생식기에서 발생하는 부인과 질환은 조기증상이 드물고 발견이 쉽지 않아 조기발견 시 충분히 완치될 수 있는 질병임에도 불구하고 때를 놓쳐 더 큰 질환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무엇보다도 젊은 사람들은 부인과 질환으로 인해 불임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고 생식기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자신의 질병으로 인해 올 수 있는 차후의 문제에 대해 모르는 경우가 많으며 부인과 질환으로 수술을 하게 되면 모두 불임이 되는 줄 알고 있기도 하다. 이에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올바른 지식을 제공하여 불안을 감소시키고 환자가 퇴원 후에도 자가간호를 올바르게 행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생각에서 부인과 질환 중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는 양성난소종양 대상자를 사례 대상자로 선정하게 되었다. 이번 사례 보고서를 통해 양성난소종양이라는 질환의 원인과 임상적 특성, 진단검사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여 간호 및 치료에 대한 지식을 함양하고 나아가 대상자에게 최선의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빠른 회복과 올바른 자가간호를 수행하는 데 도모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2.1. 난소(Ovary)의 구조와 기능
난소는 일반적으로 자궁의 뒤쪽, 난관의 아랫부분의 좌우에 하나씩 위치한다. 난소의 표면은 난소간막이라는 복막에 둘러싸여 있고, 엉치엉덩관절의 앞에 있으며, 앞으로는 체동맥 및 바깥엉덩동맥과 뒤로는 속엉덩동맥 및 요관과 맞닿아 있다. 정상 난소의 길이는 약 3~5cm이고 무게는 7~10gm 정도이나 크기가 다양하고 호르몬 생성, 월경주기,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다. 신생아 및 소아기에는 작고 긴 모양이며 사춘기에 이르러 점차 커져 아몬드 모양의 형태를 보이다가 폐경 후에는 다시 작아진다. 난소의 조직은 피질과 수질로 구성되는데, 수질에는 많은 혈관, 림프관, 신경섬유가 분포되어 있고 피질에는 원시난포, 성숙난포, 황체, 백체가 존재한다. 난소의 기능은 난자의 보관 및 난포의 성숙과 황체 형성하는 것과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과 같은 여성 호르몬 및 테스토스테론 등의 남성 호르몬을 분비하는 것이다. 이들 호르몬의 분비는 시상하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자극 호르몬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조절된다. 또한 경구피임약,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GnRH), 배란 유도제 등의 약제, 스트레스, 영양상태 등 외부 영향에 따라 이러한 난소의 기능이 촉진 혹은 억제될 수 있고 난소의 크기도 영향을 받는다. 이처럼 난소는 여성의 생식과 관련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그 구조와 기능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2.2. 양성난소종양(Benign Neoplasm of Ovary)
2.2.1. 정의(Definition)
양성난소종양(Benign Neoplasm of Ovary)이란 난소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종류의 종양 중 암이 아닌 종양을 의미한다. 크게 암에 해당하는 악성 종양과 암이 아닌 양성 종양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즉, 난소의 양성 종양이란 암이 아닌 형태의 종양을 말한다. 종양은 난소 내에서 발생하는 조직의 종류에 따라 다시 구분되며 이들 중 난소 표피에서 기원하는 상피종양이 가장 흔하다.
2.2.2. 원인(Etiology)
난소의 양성 종양이 발생하는 원인은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지속적인 배란이나 외부의 자극이 낭종의 발생을 유발한다는 가설이 유력하다. 이 가설은 지속적인 배란으로 난소 표면에 상처가 생기면 난소 상피세포가 난소 내부로 함몰되어 들어간다. 그러면 이 속에 액체가 고이고 유출되지 않아 점차 커지면서 낭종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2.2.3. 임상적 특성(Clinical Manifestation)
난소의 양성종양으로 인한 증상은 다음과 같다. 복부의 팽만감, 압박감, 둔한 통증이 있으며, 꼭꼭 찌르는 듯한 아랫배의 통증이 있다. 성교시의 통증이 있고, 생리통, 월경불순, 월경주기의 지연이 있다. 단단하지만 통증이 없는 하복부의 부종이 관찰되며, 복부의 갑작스럽고 예리한 통증이 있다. 배변장애로 잦은 소변감 등이 나타나고, 소화장애가 있다. 심한 경우에는 낭종의 파열로 인한 내부에서의 출혈로 혼수상태의 증상이나, 대량의 자궁출혈이 있을 수 있다. 급작스럽게 매우 심한 복부 통증과 열이 동반되는 통증 및 구토 증상은 즉각적인 진찰이 필요하다.
이처럼 난소의 양성종양은 복부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며, 증상의 정도에 따라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인 검진과 면밀한 관찰이 필요하다.
2.2.4. 진단검사(Diagnostic Measure)
난소의 양성종양은...
참고 자료
박영주 외. 여성건강간호학1(제5판). 서울: 현문사; 2021.
윤은자 외. 성인간호학1(9판). 파주: 수문사; 2019.
성미혜 외.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서울: 정문각: 2020
서울아산병원의료정보 -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body/bodySubmain.do
서울대학교병원 - http://www.snuh.org/health/compreDis/FS01.do
약학정보원 - https://www.health.kr
드럭인포 - https://www.druginfo.co.kr/index.aspx
인체해부학(2012) 제5판 / 이성호 저 / 현문사
병리학 / 김정폐, 박혜숙 공저 / 정담미디어
여성건강간호학1 제4판/ 박영주 외 공저 / 현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난소 [ovary, 卵巢] (서울대학교병원 신체기관정보, 서울대학교병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2013) / 차영남 외 저 / 현문사
여성건강간호 실습지침서
보건복지부,"난소양성종양“,http://www.mohw.go.kr/react/index.jsp,(2018,6,6)
난소낭종,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26846&cid=51007&categoryId=51007
난소낭종,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mobile/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24
난소낭종, 비에비스 나무병원 질환정보
https://www.vievisnamuh.com/user/hti/dsi/selectDSIDetail.do?nttId=6464
신풍겐타마이신주,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take.asp?drug_cd=A11A0030A0215
세포졸주,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0051800006
유니페낙주,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A3823
트롤주,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KP08G0453
하트만액,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2779
대한포도당주사액5%(1000mL/백),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2770
대한멸균생리식염수(100mL/백), 약학정보원 의약품 상세정보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2741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여성건강간호학ⅠⅡ』, 수문사,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