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폐암 A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최초 생성일 2025.04.05
10,000원
AI자료를 구입 시 아래 자료도 다운로드 가능 합니다.
다운로드

상세정보

소개글

"폐암 A"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폐암의 병태생리
1.1. 종양의 정의
1.2. 악성 종양세포의 특징
1.3. 악성종양의 전이
1.3.1. 파종성 전이
1.3.2. 림프성 전이
1.3.3. 혈행성 전이
1.4. 악성종양의 분류
1.4.1. 암종
1.4.2. 육종
1.4.3. 종합종양
1.5. 폐암의 병태생리

2. 폐암의 원인
2.1. 폐암의 원인

3. 폐암의 분류
3.1. 폐암의 분류
3.1.1. 비소세포암
3.1.2. 소세포암
3.1.3. 전이성 폐암

4. 폐암의 진단검사
4.1. 폐암의 진단과 정도를 알기 위해
4.1.1. 객담 세포 검사
4.1.2. 흉부 단순 X선 촬영
4.1.3. 저선량 나선식 전산화단층촬영
4.1.4. 기관지 내시경 검사
4.1.5.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
4.2. 폐암의 병기 결정을 위해
4.2.1. 종격동 내시경
4.2.2. 개흉술
4.3. 폐암의 확진을 위해
4.3.1. 경피적 미세침 흡인술
4.3.2. 초음파 기관지 내시경
4.4. 폐암의 전이 확인을 위해
4.4.1. 방사선 동위원소 촬영
4.5. 폐암의 TNM 분류

5. 폐암의 증상
5.1. 일반적인 증상
5.1.1. 객담을 동반하는 지속적 기침
5.1.2. 호흡 곤란
5.1.3. 호흡음
5.1.4. 흉통
5.1.5. 쉰 목소리
5.1.6. 상대정맥증후군
5.1.7. 후기 증상 (전신 증상)
5.2. 종양의 종류, 위치에 따른 증상
5.2.1. 말초부 폐종양
5.2.2. Pancoast' tumor

6. 폐암의 치료와 간호
6.1. 내과 관리
6.1.1. 방사선요법
6.1.2. 항암화학요법
6.2. 외과 관리
6.2.1. 폐절제술
6.3. 증상 완화를 위한 중재
6.3.1. 흉강천자
6.3.2. 레이저요법
6.3.3. 기도 내 스텐트 삽입술
6.3.4. 산소요법
6.3.5. 통증관리
6.4. 호스피스 간호

7. 출처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폐암의 병태생리
1.1. 종양의 정의

종양이란 개체를 구성하는 세포가 어떤 자극에 의하여 유전자의 형질 변환을 일으켜 형태학적 · 생물학적 · 물리학적 · 면역학적으로 무절제한 증식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양세포는 정상 조직과 경계 구분이 되지 않고 피막이 존재하지 않으며, 불규칙한 침윤 테두리가 있고 무균질의 절단면이 나타난다. 또한 각 세포마다 크기, 모양 등이 다르고 정상 조직과는 다른 미분화된 세포로 구성되어 분화도가 낮다. 종양세포는 태아 세포의 특성을 갖고 있으며 세포질 내에 글리코겐이 축적된다. 또한 침윤성과 전이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1.2. 악성 종양세포의 특징

악성 종양세포의 특징이다. 정상 조직과 경계 구분이 되지 않고 피막이 존재하지 않는다. 불규칙한 침윤 테두리가 있으며 무균질의 절단면이 나타난다. 각 세포마다 크기, 모양 등이 다르다. 정상 조직과는 다른 미분화된 세포로 구성되어 분화도가 낮다. 태아 세포의 특성(AFP, CEA)을 갖는다. 세포질 내에 글리코겐이 축적된다. 침윤성(침습성)과 전이를 보인다. 자율적(autonomous)으로 정상적인 성장 및 세포분열의 규칙을 따르지 않고 자체적으로 증식한다. 과도하게(excessive) 정상적인 조절 기전을 따르지 않고 세포분열을 계속한다. 비조직적(disorganized)으로 정상적인 조직·기관 형성을 위한 규칙에서 벗어났다.


1.3. 악성종양의 전이
1.3.1. 파종성 전이

악성종양이 체내의 자연적인 공간 부위를 관통했을 때 발생하는 파종성 전이는 몸 안 표면에 씨를 뿌려 놓은 것 같이 암이 퍼져 있는 것처럼 나타난다. 악성종양세포가 증식하여 주변 조직을 침범하고 혈관과 림프관을 통해 몸 전체로 퍼져나가기 때문에 전신 전이가 빠르게 진행된다. 악성종양이 공간 부위를 통과하면서 혈관과 림프계를 따라 전이되어 전신 각 장기로 번지게 되며, 특히 뼈, 간, 뇌 등 다른 조직과 장기로 전이되기 쉽다. 악성종양의 파종성 전이는 조직학적 구조의 손상과 더불어 장기와 조직의 기능 마비를 초래하여 생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다.


1.3.2. 림프성 전이

암종은 대부분 림프관을 따라 전이되는데, 이는 흔한 전이 경로이다. 림프관과 혈관 사이에 많은 연결통로가 있어 일부 육종의 경로가 되기도 한다. 암세포가 림프동에서 증식을 시작하여 색전을 일으키며 림프형성을 통해 전이된다. 따라서 림프절 전이 여부에 따라 폐암의 병기를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암세포는 림프관을 따라 이동하여 인접한 림프절로 전이되며, 점차 더 원위부의 림프절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인다. 림프성 전이의 속도와 범위는 암세포의 전이능력, 림프관 및 림프절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에 따라 다르다. 종양이 진행함에 따라 주변 림프절로의 침윤과 전이가 증가하며, 궁극적으로는 전신 전이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림프절 전이 정도에 따른 암의 병기 결정이 치료 방향 및 예후 예측에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3.3. 혈행성 전이

악성종양이 혈관을 따라 이동한 암세포가 허파나 간에서 심한 색전증을 일으키거나 그곳에 침윤하여 다시 성장하는 것이다. 암세포가 벽이 얇은 정맥을 쉽게 통화하기에 주로 정맥혈을 따라서 전파된다. 육종들이 주요 경로이지만 일부 암종의 경로로도 이용된다. 혈행성 전이는 육종이 주로 이용하는 경로이나 일부 암종에서도 나타난다. 암세포가 혈관을 통해 이동하여 다른 장기로 원격전이를 일으킬 수 있다. 허파와 간은 암세포가 가장 호발하는 장기로, 암세포의 색전이나 침윤으로 인해 병변이 발생한다. 암세포는 혈관 내벽을 통과하여 주변 간질조직이나 장기 실질에 침투, 증식하여 전이된 병소를 형성한다. 혈행성 전이는 암종에서 뿐만 아니라 육종에서도 빈번히 나타나는 전이경로이다. 혈관을 따라 암세포가 이동하여 폐나 간 등 다른 장기로 전이되는 것이 특징이다.


1.4. 악성종양의 분류
1.4.1. 암종

암종(carcinoma)은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종양이다. 주위 조직을 침범하고 신체의 먼 곳까지 전이되는 악성 상피세포종양이다. 침윤성이 있어 혈행성이나 림프행성으로 전이한다. 실질과 기질의 구별이 정확하게 된다.

편평세포암종은 표피의 중간층을 차지하는 가시층을 구성하는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이며, 폐암 중 가장 빈도가 흔한 형태이다. 피부의 표피를 닮은 조직 소견을 보이고 성장이 느리며 오랫동안 한 곳에 국한되어 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발생률도 증가한다. 방사선 감수성이 샘암종보다 높다.

이행세포암종은 대부분 방광이나 요관, 요도, 신우에서 발생하며, 같은 장소의 편평세포암종보다 예후가 좋다.

샘암종은 샘 조직의 악성 상피세포종양의 커다란 집합체로 위, 창자, 기관, 자궁경부, 쓸개 등의 점막과 전립샘, 고환, 난소, 갑상샘, 이자의 샘 조직, 배설관에서 발생한다.

미분화암종은 샘상피나 편평상피로의 분화경향이 나타나지 않고 형태학적·기능학적으로 세포의 기원 파악이 전혀 안 되지만, 탈분화는 뚜렷하다. 세포질과 핵 염색질이 풍부한 종양세포이다. 다른 암과 달리 매우 빨리 진행하여 수개월 내에 환자가 사망하는 예후가 나쁜 암이다.

따라서 암종은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편평세포암종, 이행세포암종, 샘암종, 미분화암종 등의 세부 유형이 있다. 이 중 편평세포암종은 가장 빈도가 높고 성장이 느려 오랫동안 국소에 머물며, 미분화암종은 가장 예후가 좋지 않은 유형이다. 이들 암종은 주위 조직을 침범하고 전신으로 전이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4.2. 육종

육종은 비상피성 결합조직에서 발생한다. 실질과 기질이 밀접하게 혼합되어 있어 구분이 어렵다. 육종은 암종처럼 흔하지 않지만, 소아에게 많이 발생한다. 육종은 림프행성으로 잘 전이하지 않지만, 혈관분포가 좋아 처음부터 혈행성 전이를 한다. 뼈 종양과 연조직 종양 중 뼈 종양이 더 흔하다. 원발성인 경우 10 ~ 20대에, 속발성인 경우 연령이 높은 경우에 많이 발생한다.


1.4.3. 종합종양

한편, 혼합 종양(mixed tumor)은 한 배엽에서 유래한 두 종류 이상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어서, 다른 두 종류 이상의 조직 성분으로 분화하여 여러 가지 종양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상피세포와 비상피세포가 섞여 있는 경우도 있다. 혼합 종양은 양성 혼합 종양과 악성 혼합 종양으로 분류된다. 이는 암종과 육종이 동시에 발생한 종양으로, 다양한 조직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양세포의 활성화가 심하여 빠르게 성장하고 타장기로 전이되는 등 예후가 불량한 편이다. 혼합 종양은 상피세포와 비상피세포가 혼합되어 있어 암종과 육종이 동시에 발생한 것으로, 다양한 조직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혼합 종양은 종양세포의 활성화가 심하여 빠르게 성장하고 타장기로 전이되는 등 예후가 불량한 편이다. [1,3]


1.5. 폐암의 병태생리

모든 원발성 폐암의 90% 이상은 기관지 상피조직에서 발생한다. 원래 발생한 장소를 떠나 다른 장기로 퍼져나가는 전이가 폐암의 특징적인 특성이다. 폐암 세포는 뼈, 뇌, 간, 부신, 콩팥, 심장 등으로 잘 전이된다. 초기 발견이 어려워 전이가 진행된 후에 발견되는 경우가 많아 수술적 절제가 어려워 예후가 좋지 않다.

폐암의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변 조직이나 림프절 등에 폐암 세포가 침윤된다. 둘째, 한쪽 폐에서 시작하여 폐 내의 다른 조직으로 전이된다. 셋째, 양쪽 폐로 확산된다. 넷째, 림프절이나 혈액을 통해 몸 전체로 확산된다. 다섯째, 전이된 조직이나 장기의 기능이 마비된다. 마지막으로 환자의 생명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2. 폐암의 원인
2.1. 폐암의 원인

흡연은 폐암의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이다. 담배 속 다량의 유해 물질 속에는 60여종의 발암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그렇기에 흡연환자의 폐암 발생률은 흡연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걸릴 위험이 11배 가량 증가한다. 흡연과 폐암의 상관관계는 흡연 기간(년), 1일 흡연량, 흡입의 깊이, 타르와 니코틴의 함량에 따라서 위험도가 달라진다.

간접 흡연도 폐암의 위험요인이다. 흡연자와 함께 생활하거나 그 주위에 있게 되면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담배 연기를 흡입하게 된다. 잘 알려진 몇 종의 발암물질은 주류연보다 부류연에서 훨씬 짙은 농도로 존재하기에, 간접 흡연자는 대체로 주류연보다 부류연에 많이 노출된다.

석면과 관련된 직업적 요인 또한 폐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석면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10~35년 정도의 잠복기를 거쳐 폐암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흡연자인 경우에는 폐암 발생 위험이 더 높아진다.

석면 외의 물질과 관련된 직업적 요인도 폐암 발생과 관련이 있다. 결정형 유리규산 분진에 노출된 경우, 중금속에 노출되는 경우, 화기물질에 노출되는 경우, 알루미늄이나 코크스(cokes) 생산, 주물업, 도장공과 같이 특정 작업에 종사하는 경우 폐암 위험이 증가한다.

모든 종류의 방사성 동위원소는 발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우라늄은 소세포폐암의 발생과 밀접한 연관을 보이며, 흡연자의 경우 발생 빈도가 현저히 증가한다. 라돈은 대개 지표면을 통해 건물 내부 등으로 들어오는데 공기보다 무겁기에 실내에 축적되기 쉬우며, 인체로 흡수되는 경우 흡연보다 폐암 발생 위험률이 높다.

환경적 요인 중에서는 디젤 연소물, 대기오염 먼지 속 발암 물질에 장기간 다량의 노출이 있는 경우, 미세먼지가 높은 지역에서 거주하는 경우 폐암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가족력이 있는 폐암 환자의 직계가족의 경우, 폐암이나 다른 암의 발생 위험률이 2~3배 정도 높다. 하지만 폐암은 대부분 후천적인 유전자 이상 때문에 발생하기에 선천적인 유전자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기타 요인으로는 세포분열 조절에 관여하는 비타민 A의 섭취가 부족한 경우, 타르 함량이 높은 마리화나 흡입하는 경우, 연령의 증가, 호흡기질환 등이 폐암의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된다. []


3. 폐암의 분류
3.1. 폐암의 분류
3.1.1. 비소세포암

비소세포암은 폐암의 주요 유형 중 하나이다. 비소세포암은 전체 폐암의 약 80~85%를 차지한다. ...


참고 자료

Joyce M. Black 외 1명, 『성인간호학 제8판-Ⅱ』, 정담미디어, 이영휘 외 9명 공역, 2017, p.1292-1306
조경국 외 9명 , 『성인간호학 제6판-상권』, 현문사, 2014, p.200-213, 501-502, 599–611
김양호 외 편저, 『병리학 제5판』, 현문사, 2016, p.144–169, 248–249
양선희 외 9명, 『기본간호학 수정판-Ⅱ』, 현문사, 2014, P. 269-270, 453-456
국가 암 정보센터, 폐암 https://www.cancer.go.kr/lay5/program/S1T211C223/cancer/view.do?cancer_seq=5237&menu_seq=5244 (접속날짜 : 2021. 10. 01.)
서울대학교암병원, 폐암 http://cancer.snuh.org/info/classification/list23.do?searchType=&tab=3&seq_no=12 (접속날짜 : 2021. 10. 01.)
서울아산병원, 개흉술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481 (접속날짜 : 2021. 10. 02.)
서울아산병원, 내시경초음파검사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257 (접속날짜 : 2021. 10. 02.)
박순옥 외(2019), 「성인간호학 I」, p812-818, 퍼시픽북스
윤은자 외(2019), 「성인간호학 I(9판)」, p643-648, p275-313, 수문사
손정태 외(2018), 「기본간호학Ⅱ」, p367-400, 현문사
보건복지부, 국립암센터, 대한의학회, 폐암의 종류 사진
서울 아산병원 의료정보, 폐암, 소세포성 폐암, 폐절제술,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Submain.do
원자력병원 폐암센터, 폐암 조직검사,
https://www.kcch.re.kr/dept/main/index.do?DP_CODE=C012&MENU_ID=009035018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항암화학요법,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biz/health/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gnrlzHealthInfoView.do?cntnts_sn=5545
삼성서울병원 암교육센터, 폐암의 방사선 치료,
http://www.samsunghospital.com/dept/medical/healthSub02View.do?content_id=1792&DP_CODE=RT
대한민국 의약품정보의 표준, 약품정보원, https://www.health.kr/searchDrug/search_detail.asp
황목남 et al. (1989). 성인간호학(상) (7판). 서울: 현문사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