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지역사회간호학3 산업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상세정보

소개글

"지역사회간호학3 산업"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지역사회간호사업을 위한 4가지 우선순위 기법
1.1. PATCH 기법
1.2. Bryant 기법
1.3. BPRS 기법
1.4. PEARL 기법
1.5. 4가지 우선순위 기법의 비교

2. 지역사회간호사업과 밀접한 전문간호사
2.1. 보건전문간호사
2.1.1. 주요 역할
2.1.2. 활동 현황
2.1.3. 향후 방향 및 전망
2.2. 가정전문간호사
2.2.1. 주요 역할
2.2.2. 활동 현황
2.2.3. 향후 방향 및 전망
2.3. 산업전문간호사
2.3.1. 주요 역할
2.3.2. 활동 현황
2.3.3. 향후 방향 및 전망

3. 학교간호사업
3.1. 보건교사의 자격과 직무
3.2. 현재 활동 현황과 변화양상
3.3. 향후 학교간호사업의 발전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지역사회간호사업을 위한 4가지 우선순위 기법
1.1. PATCH 기법

PATCH 기법은 지역사회의 동기화, 자료수집 및 조직화, 건강순위 선정, 포괄적 중재계획 개발, PATCH의 평가의 5단계로 진행된다. PATCH를 적용할 때 고려할 두 요소는 중요성 평가와 변화 가능성이다. 첫째, 중요성 평가는 문제의 크기가 얼마나 흔한 건강문제인지 파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유병률이나 발생률의 절대적 크기가 상대적 크기를 전국이나 지역의 자료와 비교해 본다. 또한 건강문제의 위중도로서 지역건강수준에 얼마나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질병사망률이나 장애율, 치명률을 비교해 본다. 둘째, 변화가능성은 건강문제가 얼마나 쉽게 변화할 수 있는지 보는 것인데, 예를 들어 문헌이나 다른 지역사회보건사업 경험을 참고할 수 있다. 질병이 아니라 건강행태인 경우 고착된 경우보다 고착되지 않은 경우 변화 가능성이 높다.


1.2. Bryant 기법

Bryant 기법은 PATCH 기법에 지역사회 주민의 관심도가 추가된다. Bryant 기법은 문제의 크기, 문제의 심각도, 사업의 기술적 해결 가능성, 주민의 관심도로 구성된다. PATCH 기법과 달리 Bryant 기법은 주민의 관심도도 고려하여 건강문제의 우선순위를 선정한다. 즉, Bryant 기법은 PATCH 기법에 지역사회 주민의 관심도라는 요소가 추가되어 건강문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활용된다.

사업 및 보건 계획 수립 시 단순히 건강문제의 심각도나 규모만이 아닌 주민들의 관심사와 수용도 또한 고려하여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Bryant 기법은 이러한 요소를 반영하여 지역사회 간호사업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다. 주민들의 관심도가 높은 문제일수록 주민들의 참여와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어 사업 성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Bryant 기법은 주민 중심적인 접근방식을 취한다고 볼 수 있다.

지역사회 간호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주민들의 요구와 관심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Bryant 기법은 이러한 관점에서 PATCH 기법을 보완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지역사회 간호사들은 Bryant 기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의 건강문제를 체계적이고 주민 친화적으로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1.3. BPRS 기법

BPRS 기법은 지역사회보건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 먼저 의사결정집단을 구성하고 지역 내 보건문제 목록을 작성한다. BPRS 구성요인은 A: 문제의 크기(size), B: 문제의 심각성(seriousness), C: 예방효과(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이다. BPRS 계산공식은 BPRS = (A+2B)×C이다.

문제의 크기(A)는 빈도가 가장 높은 문제에 10점, 빈도가 가장 낮은 문제에 0점이나 1점을 부여한다. 상대적으로 다른 문제에 점수를 부여한다. 문제의 심각성(B)은 긴급성, 심각성(조기사망률), 경제적 손실(지역사회 입장), 파급효과(타 집단에 대한 영향) 등을 고려하여 심각성 수준을 정한다. 심각성이 큰 경우 2배를 곱한다. 예방효과(C)는 정확한 측정이 어려우므로 효과성의 상한과 하한을 설정하고 상대적으로 평가한다.

이 기법을 사용하면 사망순위나 질병발생순위 등 크기에만 의존하지 않고 우선순위가 변경될 가능성이 높다. 문제의 심각성과 보건사업의 효과를 모두 고려하기 때문에 예산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객관적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 사업효과가 클 경우 공식의 타당성을 저해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1.4. PEARL 기법

PEARL 기법은 BPRS 기법을 보완한 것으로, 장기계획이나 사업의 우선순위가 쉽게 드러나지 않을 때 활용된다. PEARL 기법에서는 BPRS 공식을 활용하여 건강문제 우선순위를 정한 뒤, 사업의 실행가능성을 추가적으로 판단하는 기준을 적용한다. PEARL 산출작업 시 P(Propriety, 적절성), E(Economic Feasibility, 경제적 타당성), A(Acceptability, 수용성), R(Resources, 자원), L(Legality, 적법성) 각 항목에 0(아니요) 또는 1(예)을 부여한 후 각각의 점수를 곱하여 사업 실행 여부를 결정한다.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건강문제 순으로 PEARL 기준에 따라 사업에 적용한다. PEARL 기법은 BPRS의 공식에 실행 가능성을 판단하는 기준을 추가함으로써, 장기계획이나 사업 우선순위 결정이 어려운 경우에도 보다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한 방안 마련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제한된 자원으로도 효과적인 지역사회간호사업을 수행할 수 있다.


1.5. 4가지 우선순위 기법의 비교

PATCH 기법은 건강문제의 중요성과 변화 가능성을 중심으로 건강문제에 대한 접근을 하며, 지역사회의 동기화, 자료수집 및 조직화, 건강순위 선정, 포괄적 중재계획 개발, PATCH의 평가의 5단계로 진행된다. 중요성 평가는 문제의 크기와 지역건강수준에 미치는 심각성을, 변화 가능성은 문헌이나 다른 지역사회보건사업 경험을 참고하여 평가한다.

Bryant 기법은 PATCH 기법에 주민의 관심도가 추가된 것으로, 문제의 크기, 문...


참고 자료

권진옥,오진아,김은하,한대동(2015)「초등학교 보건교사의 직업정체성」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김민영,최수정,전미경,김정혜,김희영,임초선(2020)「한국 전문간호사의 분야 체계화 관련 연구」임상간호연구 26(2)
김영임,정혜선,이복임(2019)「지역사회간호학」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김영임,김화중,정혜선(2014)「지역사회간호학」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설미이,신용애,임경춘,임초선,최정화,정재심(2017)「한국 전문간호사제도의 현황과 활성화 전략」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세바간(2018)「국민건강증진 대안으로서의 전문간호사 미국」
“코로나19에도 병원 간호사 늘었지만…간호인력 중 차지하는 비중은↓”, 포널스, 2020.06.09.
"보건교사의 역할과 현실", 영남일보, 2017.10.13.
“전문간호사 아세요? 법 바뀌어 활성화 '기대'”, 헬스조선, 2018.04.19.
대한간호협회 홈페이지
대한간호협회 가정간호사회 홈페이지
정규숙, [코로나19] 대구지역 선별진료센터 검체 체취 간호사 모집, 간호사 신문 참고
김영임, 정혜선, 이복임(2019). 「지역사회간호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조유향 외 11인, 제7판 지역사회간호학 총론, 현문사, p. 66~67/ p. 161~168, 201110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보건전문 간호사,
https://www.work.go.kr/consltJobCarpa/srch/jobDic/jobDicDtlInfo.do?pageType=jobDicSrchByJobCl&jobCode=2430&jobSeq=9, 201110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청 건강보험통계 : 종별인력현황(간호사 및 기타인원),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01110
임수민 기자, 간호사 정책 실패, '지역공공간호사' 도입 시급,
http://www.dailymedi.com/detail.php?number=862588&thread=22r10, 201111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워크넷, 가정전문 간호사,
https://www.work.go.kr/consltJobCarpa/srch/jobDic/jobDicDtlInfo.do?pageType=jobDicSrchByJobCl&jobCode=2430&jobSeq=9, 201111
한국전문간호사 협회, 2019 전문간호사 현황 통계, http://www.kaapn.or.kr/, 201111
SS직업문제연구소 편집부, 자격증사전 ; 보건교사,
https://www.moe.go.kr/newsearch/searchTst.jsp, 201112
교육부, 통계청 특수교육 실태조사 통계 : 학교에서 의료적 처치 또는 지원을 주로 담당하는 사람, http://kostat.go.kr/wnsearch/search.jsp, 201112
김예람 기자, “모든 학교에 보건교사 배치”,
http://www.hangyo.com/news/article.html?no=92630, 201112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