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나노바이오실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나노바이오 소재 실험 개요
1.2. 실험 목적 및 의의
2. 나노바이오 소재 실험 이론
2.1. 나노바이오 기술의 특징
2.2. 나노입자의 생물학적 응용
2.3. 자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치료법
2.4. 촉매 활성 나노입자와 저산소증 치료
2.5. 비활성 나노바이오 소재의 활용
3. Au Nanosphere 합성 및 분석
3.1. Au Nanosphere 합성 방법
3.2. UV/Vis 분광분석을 통한 특성 분석
3.3. TEM 이미징을 통한 입자 크기 확인
3.4. DLS 측정과 TEM 결과 비교
4. 나노입자 안정화와 표면 기능화
4.1. PEG를 이용한 Au Nanosphere 안정화
4.2. 안정화 여부 확인 방법
5.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 합성
5.1. Stober silica와 Porous Silica의 구분
5.2. MSN 합성 과정 및 원리
6. 기기 분석 결과 종합 및 고찰
6.1. 나노입자 크기와 광학적 특성의 관계
6.2. 표면 처리에 따른 나노입자 안정화
6.3. 기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구조 분석
6.4. 바이오 응용을 위한 나노바이오 소재 설계
7. 결론
7.1. 실험 결과 요약
7.2. 나노바이오 기술의 발전 방향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나노바이오 소재 실험 개요
나노바이오 소재 실험 개요는 의학이나 생물학에 이용할 수 있는 나노입자를 연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첫 주에 구형의 nanoparticle을 만들고, 두 번째 주에는 실리카가 중심원소가 되는 구형의 스피어의 nanoparticle을 만들게 된다. 이를 통해 나노바이오 소재의 화학적 특성,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현상, 합성 프로토콜, 나노입자 안정화와 표면기능화, 기공성 실리카 나노입자 합성과 구조 등을 학습할 수 있다. 이러한 나노바이오 소재 실험을 통해 의학이나 생물학에 활용할 수 있는 나노입자의 특성과 응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다.
1.2. 실험 목적 및 의의
나노바이오 소재 실험의 목적 및 의의
의학이나 생물학에 이용할 수 있는 나노입자를 연구하는 것이 본 실험의 목적이다. 첫째 주차에는 구형의 nanoparticle을 만들고, 둘째 주차에는 실리카가 중심원소가 되는 구형의 스피어의 nanoparticle을 만든다. 이를 통해 나노바이오 소재의 합성과 분석 기술을 습득할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의 화학적 특성과 광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안정화와 표면 기능화 기술을 학습할 수 있다. 더불어 기공성 실리카 나노입자의 합성과 구조 분석 방법을 배울 수 있다. 이러한 나노바이오 소재 실험은 생명과학 분야에서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나노기술의 기초와 응용을 다룸으로써, 미래 나노바이오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2. 나노바이오 소재 실험 이론
2.1. 나노바이오 기술의 특징
나노바이오 기술은 의료와 생명과학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되는 핵심적인 기술이다. 첫째, 나노입자는 매우 작은 크기로 인해 세포 내부로 쉽게 침투할 수 있어 약물전달, 진단, 치료 등에 활용된다. 둘째, 나노입자의 표면을 화학적으로 개질하여 목적에 맞게 기능화할 수 있다. 셋째, 나노입자는 높은 표면적 대 부피 비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넷째, 자성 나노입자는 외부 자기장에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어 암 치료에 응용된다. 다섯째, 촉매 활성 나노입자는 저산소증 치료에 사용되어 암세포 주변의 산소량을 증가시킨다. 여섯째, 비활성 나노입자인 금 나노입자는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바이오 센서, 영상 진단 등에 활용된다. 이처럼 나노바이오 기술은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생명과학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2.2. 나노입자의 생물학적 응용
나노입자는 의학 및 생물학 분야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우선, 나노입자는 치료 약물을 운반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나노입자 표면에 생체분자를 부착하여 특정 목표 세포나 조직으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나노입자는 생체 영상에도 활용될 수 있는데, 자성을 가진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시켜 향상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나노입자는 세포 및 분자를 인식하고 자극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분자 수준에서의 생물학적 활동을 관찰하거나 조절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나노입자는 암 등 질병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다. 자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온열치료나, 촉매 활성 나노입자를 통한 저산소증 치료 등이 그 예이다. 이처럼 다양한 생물학적 응용을 통해 나노입자는 의학과 생물학 분야에 혁신적인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2.3. 자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치료법
자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치료법이다. 자성 나노입자는 항암치료에 활용될 수 있다. 자성 나노입자에 자기장을 가하면 온도가 상승하는 자기열량 효과가 발생한다. 이를 이용하여 국부적으로 암세포에 열을 가해 세포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 자성 나노입자는 생체 내에서 표적 지향성이 우수하여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축적될 수 있다. 따라서 자성 나노입자를 이용한 국소 온열치료는 암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자성 나노입자 기반 온열치료는 기존의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와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어 암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자성 나노입자는 생체 내 이미징에도 활용될 수 있어 진단과 치료가 함께 이루어지는 theranostic 나노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다.
2.4. 촉매 활성 나노입자와 저산소증 치료
암세포는 무한증식을 위해 다량의 영양분과 산소를 필요로 한다. 이에 따라 암세포 주변에는 상대적으로 산소가 부족한 저산소 환경이 형성되며, 이러한 저산소증 상태의 암세포는 항암 치료제와 방사선 치료에 대한 내성을 가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망간 산화물(MnO2) 나노입자가 활용될 수 있다.
MnO2는 과산화수소(H2O2)를 분해하여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는 촉매 활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MnO2 나노입자를 투여하면 저산소 환경의 암세포 주변에서 산소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산소는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저산소증을 개선하여 암 치료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촉매 활성을 지닌 나노입자는 저산소증이라는 암세포의 특성을 타겟팅하여 치료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물리적 치료나 약물 치료만으로는 한계가 있었던 저산소 암세포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다. 따라서 MnO2와 같은 촉매 활성 나노입자는 저산소증 치료에 있어 큰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1,2]
2.5. 비활성 나노바이오 소재의 활용
비활성 나노바이오 소재의 활용이다. 화학적으로 비활성인 금(Au)은 나노 바이오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된다. 금 나노입자는 독성이 낮고 생체 적합성이 높아 다양한 생물학적 응용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금 나노입자는 독특한 광학적 특성으로 인해 생물 이미징, 유전자 및 약물 전달, 광열 치료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금 나노입자의 표면을 다양한 생체분자로 기능화하여 특정 타겟에 대한 선택성을 높일 수 있다. 이처럼 비활성 금 나노입자는 생물학적 응용 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3. Au Nanosphere 합성 및 분석
3.1. Au Nanosphere 합성 방법
HAuCl4(Gold(III) chloride hydrate)을 DI water에 녹인다. 이렇게 만든 HAuCl4 solution을 약 100...
참고 자료
Wang, Zhenming; Wang, Zhefeng; Lu, William Weijia; Zhen, Wanxin; Yang, Dazhi; Peng, Songlin (2017-10-06). "Novel biomaterial strategies for controlled growth factor delivery for biomedical applications"
Misner, Thorne and Wheeler (1973)와 Weinberg (1971) Physical space textbook
S. Meier - Plasmonic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Ying, Jackie (2001). Nanostructured Materials. New York: Academic Press. ISBN 0-12-744451-3. Retrieved 6 December 2016.
Brinker, C.J. & Scherer, G.W. (1990). Sol-Gel Science: The Physics and Chemistry of Sol-Gel Processing. Academic Press. ISBN 0-12-134970-5.
Hartley, G.S. (1936) Aqueous Solutions of Paraffin Chain Salts, A Study in Micelle Formation, Hermann et Cie, Paris
"Bubbles, Bubbles, Everywhere, But Not a Drop to Drink". The Lipid Chronicl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April 2012. Retrieved 1 August 2012.
McCrum, N. G.; Buckley, C. P.; Bucknall, C. B. (1997). Principles of polymer engineering. Oxford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1. ISBN 0-19-856526-7.
http://goldbook.iupac.org/M03667.html; accessed 7 October 2012. Per the IUPAC Gold Book and PAC sources referenced therein, "In many cases, especially for synthetic polymers, a molecule can be regarded as having a high relative molecular mass if the addition or removal of one or a few of the units has a negligible effect on the molecular properties." However, they note that the "statement fails in the case of certain macromolecules for which the properties may be critically dependent on fine details of the molecular structure."
Feynman, R. (1964). "The Brownian Movement". The Feynman Lectures of Physics, Volume I. pp. 41-1.
bioedit:https://bioedit.software.informer.com/7.2/
ORF :
https://ko.wikipedia.org/wiki/%EC%98%A4%ED%94%88_%EB%A6%AC%EB%94%A9_%ED%94%84%EB%A0%88%EC%9E%84
bioinformatics:
https://ko.wikipedia.org/wiki/%EC%83%9D%EB%AC%BC%EC%A0%95%EB%B3%B4%ED%9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