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급성충수염 정의
1.1. 급성충수염의 개념
급성충수염은 맹장에 붙어 있는 충수라는 작은 기관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충수의 입구가 막혀 충수가 부어오르면서 혈액순환이 차단되어 염증이 생기는 병이다. 이러한 급성충수염은 소아에서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가장 흔한 응급 질환 중 하나이다. 급성충수염의 증상은 복통, 발열, 오심, 구토 등이 나타나며, 특히 통증이 특징적으로 배꼽 주변에서 시작하여 우하복부 McBurney 점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인다. 무엇보다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며, 천공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충수 절제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1.2. 급성충수염의 분류
급성충수염은 진행된 정도에 따라 조기 충수염, 화농성 충수염, 괴저성 충수염, 천공된 충수염 등으로 분류된다. 조기 충수염은 충수가 부종 및 충혈된 상태이며, 화농성 충수염은 충수 내부에 농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괴저성 충수염은 충수 벽이 괴사된 상태이고, 천공된 충수염은 충수가 파열되어 복강 내로 내용물이 유출된 경우를 의미한다. 최근에는 항생제와 수액 치료가 발달함에 따라 만성 충수염도 발생하고 있다"."
2. 급성충수염의 증상 및 징후
2.1. 통증의 특징
급성충수염의 통증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증은 배꼽 주위에서 시작하여 우하복부로 이동한다. 급성 충수염 환자들은 처음에는 복부 전체에서 시작되는 통증을 호소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통증이 우하복부의 충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충수의 염증이 진행됨에 따라 수반되는 변화를 반영한다.
둘째, 가장 흔한 압통점은 McBurney's point이다. McBurney's point는 전상장골능과 배꼽 사이의 중간 지점에 해당하며, 정상적으로 충수가 위치해 있는 곳이다. 대부분의 급성 충수염 환자에게서 이 부위의 압통이 관찰된다. 다만 환자가 어린 소아인 경우에는 구체적인 통증 위치를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셋째, 환자들은 반동압통을 호소한다. 반동압통은 우하복부를 압박했다가 갑자기 손을 떼었을 때 통증이 유발되는 증상으로, 충수 주변의 염증성 변화를 시사한다.
이처럼 급성 충수염 환자의 통증 양상은 처음에는 복부 전체에서 시작되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우하복부로 국소화되며, 압통과 반동압통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통증 특징에 대한 이해는 급성 충수염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2.2. 기타 증상
급성충수염의 기타 증상으로는 열, 오심, 구토, 복부 강직, 웅크린 자세, 장음의 감소/소실, 변비/설사, 식욕부진, 빈맥, 빈호흡, 창백, 기면 등이 있다. 충수염 아동의 20~40%에서 통증 호소 후 약 48시간 내에 충수 천공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학령전기 아동의 경우 증상에 대한 표현이 어려워 천공의 위험이 가장 높다. 또한 소아의 충수는 성인에 비해 길고 얇아 조기에 천공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소아 충수염 환자의 경우 혈액검사 및 영상검사를 통해 신속하게 진단하고 천공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