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생명윤리의 개념
1.1. 생명윤리의 개념
생명윤리학(Bioethics)은 생물학과 의학 분야의 윤리적 문제를 다루는 학문이다. 인간 생명의 보존, 유지, 발전에 관한 도덕적 문제를 탐구하는 응용윤리의 일종이다. 현대에는 생명과학의 발달에 따른 과학기술 영역이나 개입의 정도, 이를 허용하는 범위 등을 규정하는 윤리적 판단기준에 관한 것을 지칭하기도 한다"".
생명윤리학은 1970년대 후반 과학, 의학, 보건위생학 등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탄생하였다. 사회적 요인으로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인간 대상 생체실험에 대한 인류의 반성으로 채택된 뉘른베르그 강령(Nurenberg Cide)과 페미니즘이나 소비자주의와 같은 사회적 운동에 의한 가치 변화가 있었다. 학문적 관점에서는 유전공학적 지식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생명 보존과 복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이에 따른 규제나 통제에 대한 요구가 사회적으로 크게 관심을 받게 되었다"".
1.2. 생명윤리학의 탄생
생명윤리학의 탄생은 1970년대 후반 과학, 의학, 보건위생학 등의 빠른 발전과 함께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는 제2차 세계대전 중 인간 대상 생체실험에 대한 인류의 반성으로 채택된 뉘른베르그 강령(Nurenberg Cide)과 페미니즘, 소비자주의와 같은 사회적 운동에 의한 가치 변화가 그 배경이 되었다"".
유전공학적 지식과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생명 보존과 복지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생명윤리학이 사회적 관심을 받게 되었다"". 이에 따라 생명윤리에 대한 규제나 통제에 대한 요구도 함께 생겨났다"". 따라서 생명윤리학은 전통적인 윤리이론에 과학, 의학, 보건위생학 등의 전문 분야 지식과 기술이 접목된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1.3. 생명윤리 분야
생명윤리 분야에는 다양한 주제들이 포함되어 있다"" 첫째, 생명의 시작과 관련된 주제로는 임신중절, 인공수정, 체외수정, 대리모, 기형이 심한 신생아에 대한 치료 등이 있다"" 둘째, 죽음과 관련된 주제로는 말기환자, 안락사, 조력자살, 심폐소생술금지(DNR), 치료의 중단과 보류, 뇌사, 심폐사 등이 있다"" 셋째, 의료자원의 분배와 관련된 주제로는 부족한 의료 예산 및 자원의 분배, 최첨단 치료나 시설의 사용 배정 등이 있다"" 넷째, 장기이식과 관련된 주제로는 공여자의 권리 보장, 수혜자 선정, 장기의 공급체계, 장기의 확보 등이 있다"" 다섯째, 생명공학과 관련된 주제로는 유전자 복제, 배아연구, 유전자조작연구, 착상 전 배아의 유전자 검사와 조작, 태아의 유전자 검사와 낙태, 성인의 유전자 검사 등이 있다"" 여섯째, 연구와 관련된 주제로는 인체실험과 관련된 연구자 윤리, 동물실험과 관련된 연구자 윤리, 출판과 관련된 연구자 윤리 등이 있다"".
2. 병원윤리위원회
2.1. 병원윤리위원회의 발족 계기
1970년대 초 미국 시에틀 워싱턴 대학병원의 의사 벨딩 스크리너가 '만성 신부전증 환자 중 누구에게 혈액투석을 제공할 것인가'라는 윤리적 문제에 직면하면서 병원윤리위원회가 발족되었다""
2.2. 병원윤리위원회의 구성 및 목적
병원윤리위원회의 구성은 의사, 간호사, 병원직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