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생명윤리와 동물실험
생명윤리는 생명과 관련하여 지켜야 할 윤리를 말한다. 과학적인 연구와 발전을 위해서 동물실험이 필요하지만, 동물의 권리와 생명을 존중하는 윤리적 고려도 중요하다.
동물실험은 과학계와 의학계에서 널리 활용되어 왔다. 실험동물로는 주로 마우스, 랫트, 기니피그, 햄스터, 토끼, 개, 고양이 등이 사용된다. 동물실험의 목적은 연구, 검정, 진단, 제조, 교육 등 다양하다. 최근 들어 반려동물 개체 수 증가와 동물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동물실험을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동물도 인격체이자 생명체이기 때문에 고통을 느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동물실험은 동물학대이며 비윤리적이라고 본다. 반면, 동물실험 찬성론자들은 일부 실험의 경우 동물을 대체할 수 없으며, 동물실험을 통해 인간의 건강과 과학이 발전해왔다고 주장한다. 또한 실험동물 관련 법규와 윤리위원회 제도를 통해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고 있다고 설명한다.
동물실험에 대한 절충안으로는 동물실험을 가능한 한 줄이고(reduction),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며(refinement), 동물 실험을 다른 대체 방법으로 대체(replacement)하는 3R 원칙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장기칩, 오가노이드, 컴퓨터 모델링 등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동물실험에 대한 윤리적 논란은 지속되겠지만, 인간의 건강과 과학 발전을 위해서는 일정 부분 동물실험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동물 복지를 최대한 보장하면서도 실험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균형있는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동물실험윤리위원회와 관련 법제도의 강화, 동물실험 대체 기술 개발, 연구자와 대중의 윤리의식 제고 등 다각도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1.2. 동물실험의 윤리적 문제제기
동물실험은 동물 그 자체의 인격을 존중하느냐 존중하지 않느냐가 많은 논제가 되고 있다. 동물실험의 윤리적 문제점을 지적하는 사람들은 동물실험이 인간만을 위하는 수단이자 전형적인 생명경시 풍조라고 생각한다. 실험동물들도 인간과 다를 것 없이 고통을 느낄 수 있고 이는 비명을 지르고 불안을 피하려는 감성을 지닌 또 다른 생명체인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생명체를 인간의 이기적인 욕심으로 인해 일회용품이나 실험실 시약처럼 함부로 다루어도 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점을 제시한다. 그들은 동물의 본성은 인간의 본성과 유사하기 때문에 우리는 동물에 대한 인간성을 발현하여 의무를 수행함으로써, 인류에 대한 우리의 의무를 간접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대거트(Herman Daggett)의 논문에서 동물은 인간에 의한 불필요한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는 특권을 지니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동물의 권리를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동물실험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동물실험이 비윤리적인 행위라고 주장한다.
1.3.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동물실험은 생명윤리에서도 중요하게 다뤄지는 요소들 중 하나이다. 반려동물의 개체 수가 늘어남에 따라 동물권 즉, 동물의 권리를 주장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으며 동물실험이 윤리적으로 많은 논란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주제 보고서를 통하여 동물실험이 어떤 논란이 있는지 자세하게 다루고자 하며, 동물실험에 대한 필자의 입장을 논제와 논점을 통해 분명하게 하고 윤리적 관점을 보다 명확하게 정당화시키고자 한다. 또한 반대되는 입장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수용하면서 생각을 발전시키며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자 한다.
2. 동물실험의 개념과 현황
2.1. 실험동물의 정의와 분류
실험동물이란 연구, 검정, 검사, 시험, 교육, 제조, 진단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동물을 말하는 것이다. 이러한 실험동물은 마우스, 랫츠, 기니피그, 햄스터, 토끼, 특정 종류의 개, 고양이 등이 포함된다. 가축이나 야생동물도 실험에 사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모든 동물을 통칭하여 실험용 동물이라고 부른다.
실험동물은 연구에 사용되기 위해 개발, 개량되어 육성, 번식, 생산된 동물이며, 연구용으로 사용되기 위한 통제가 이루어져 있다. 이에 비해 가축은 인간 사회에 필요한 고기, 알, 젖, 가죽, 털 등을 얻기 위해 개발, 개량되어 번식, 생산된 동물로, 연구용으로 사용되기 위한 통제가 이루어져 있지 않다. 또한 야생동물은 자연계에서 포획된 동물이며, 인위적인 번식, 생산을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