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급성 인두염의 정의 및 특성
급성 인두염은 인두 벽의 급성 감염 상태를 말한다. 주로 편도선염과 인두 편도선염을 포함하는 인두의 감염성 질환이며, 상기도 감염에 해당하는 질환이다. 흔히 코감기, 목감기라고 불린다.
인두는 공기와 음식물의 통로로 작용하므로 감염성 질환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부위이다. 급성 인두염은 피로, 과로, 열성질환, 일교차가 크고 건조한 계절, 체질허약과 면역저항성 감소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급성 인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나 세균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며, 그 중 바이러스성 인두염이 가장 흔하다. 바이러스성 인두염이 약 70%를 차지하며, 아데노바이러스, 엔테로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콕사키바이러스 등이 원인이 된다. 세균성 인두염은 약 10-20% 정도를 차지하며, 가장 흔한 원인균은 A군 연쇄상구균이다.
1.2. 연구의 목적
급성 인두염에 대한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급성 인두염(Acute Pharyngitis)은 인두 벽의 급성 감염 상태로 바이러스성 인두염이 70%를 차지하며, 증상으로 초기에 목에 이물감, 목마름, 가벼운 기침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고 증상이 심해지면 발열, 구토 및 음식을 삼킬 때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2019년)에서 발표한 '어린이 다빈도 질병 10가지' 중 상위 6개가 호흡기 질환에 해당하며 급성 인두염 또한 어린이 다빈도 질병 상위에 올랐다. 따라서 급성 인두염의 원인, 증상, 예후, 치료 및 간호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합병증을 예방하고 적절한 치료와 간호를 할 수 있다.
2. 문헌고찰
2.1. 인두의 구조 및 기능
인두는 비강과 후두를 연결하며 구강과 식도를 연결하는 근육성 관으로, 호흡과 소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두의 구조는 코인두, 입인두, 후두인두로 구분되며, 각 부위마다 기능이 다르다. 코인두는 공기만 통과할 수 있고 점액 생산을 통해 마찰을 줄이며, 입인두는 공기와 음식 모두 통과할 수 있는 호흡과 연하의 통로이다. 후두인두는 공기와 음식물이 모두 통과할 수 있으며 후두와 식도의 임상적 분기점이 된다. 인두의 기능으로는 소화기계에서 구강과 식도 사이에서 음식을 전달하는 통로 역할과 호흡기계에서 비강과 후두 사이의 공기 통로 역할, 그리고 유스타키오관을 통해 중이의 압력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다.
2.2. 급성 인두염의 정의
급성 인두염이란 편도선염과 인두 편도선염을 포함한 인두에 바이러스나 세균 등의 감염에 의해 염증이 생긴 것이다. 주로 감기, 목감기, 상기도 감염에 해당하는 질병이며, 흔히 목감기라고도 한다. 피로, 과로, 열성질환, 심한 온도 차이, 체질허약 및 면역저항성을 감소시키는 질환 등으로 인해 발병한다.
2.3. 급성 인두염의 원인
급성 인두염은 대부분 바이러스나 세균 또는 드물게 곰팡이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한다.[1,2] 그중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인두염이 가장 흔하며, 약 70%를 차지한다.[2] 주요 원인 바이러스로는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influenza virus), 콕사키 바이러스(coxsackie virus) 등이다.[2]
세균성 인두염의 경우 가장 흔한 원인균은 A군 연쇄상구균(group A streptococci, Streptococcus pyogenes)이며, 인두염 중 약 10-20%를 차지한다.[2] 세균성 인두염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