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청소년 성문제 정책제안"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청소년 문제와 보호
2.1.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2.2. 스마트폰 중독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2.3.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예방 및 해소 정책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청소년기는 흔히 미래의 삶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결정적 시기이다. 이 시기는 청소년들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신체적 발달에 있어서 학교교육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기간이기도 하다. 청소년들은 학교교육을 통해 보다 자신의 미래를 구체화 시키며, 꿈을 키워간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적잖은 청소년들이 진학을 포기하거나 설령 입학했다고 하더라도 중도에 학교를 떠나기도 한다. 이처럼 청소년들은 다양한 이유로 학교 밖 청소년이 되는데, 그 수가 2012학년도에만 68,188명에 달하였다. 청소년의 학업중단은 생애의 결정적 시기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지 못하게 되어 개인적·사회적으로 낙오의 원인이 된다. 또한 더 이상 돌봄을 받을 수 없어 생계 곤란으로 인해 비행이나 범죄에 쉽게 노출된다는 문제가 있다. 정서적 측면에서는 외부의 인식뿐만 아니라 심리내적으로도 사회적 낙오자라는 심리적 꼬리표가 붙게 되어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게다가 청소년 개인의 삶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 사회적·경제적 측면에서 심각한 위협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2. 청소년 문제와 보호
2.1.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기술문명의 급속한 발달로 최근 모바일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가진 스마트폰이 출시되고 사용자 또한 급증하고 있다. 스마트폰은 기존의 음성통화 중심의 통화수단에서 벗어나 정보검색, 교육, 게임, 교통, 금융 등 종합서비스가 가능하게 진화되면서 우리 생활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휴대의 간편성, 이동성, 온라인 접속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컴퓨터나 휴대폰보다 개인의 삶에서 차지하는 부분이 증가되었고 사용자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의 많은 긍정적인 부분이 있지만 이면에는 부정적인 측면도 같이 나타나 스마...
참고 자료
강진령, 노기호, 김범구, 윤소민. (2014). 학교 밖 청소년 욕구조사를 통한 정책개발 연구. 서울 : 여성가족부.
교육부. 2012학년도 초중고 학업중단 현황 조사 결과 발표. 2013. 9. 4 교육부 보도자료.
교육부, 여성가족부. ‘학업중단 예방 및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방안 자료집’. 2013. 11.
구본용. (2013). 학업중단숙려제 상담 안내서. 서울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구자경, 홍지영, 장유진. (2003). 청소년 자퇴욕구실태와 관련 특성 연구. 상담과지도, 38, 149-180.
금명자, 권해수, 이자영, 이수림, 김상수. (2004). 학교 밖 청소년 종합 지원체제 구축 운영 연구. 서울 : 한국청소년상담원.
금명자. (2008). 우리나라 학업중단청소년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4(1), 299-317.
김범구, 조아미. (2013). 잠재계층분석(LCA)을 이용한 학업중단 청소년의 유형과 특성, 한국청소년연구, 24(3), 5-31.
김찬호. (2004). 학업중단 청소년의 삶과 사회적 과제.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경기 : 한울
윤철경. (2013). 학업중단 청소년 현황 및 정책 과제. “학교 밖 청소년 문제 대책 마련 토론회” 자료집, pp. 1-32. 교육부, 여성가족부, 이화여자대학교 학교폭력예방연구소.
이시형, 박현선, 이세용. (2002). 청소년의 학업중퇴에 관한 연구. 서울 : 삼성생명공익재단 사회정신건강연구소.
전경숙. (2006). 10대 학업중단 청소년의 근로실태에 관한 실증적 고찰 연구 : 가출경험 학업 중단 청소년을 중심으로. 청소년상담연구, 14(1), 3-21.
최동선, 이상준. (2009). 학교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개발 지원 방안. 서울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2012). 교육통계연보.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한상철. (2011). 학교부적응과 중도탈락 : 현황 및 대처방안. 청소년행동연구, 16, 39-65.
여현주(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위험 관련 요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경원 ,김경신(2014).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대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박훈미(2013).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석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육아정책연구소(2013). 영유아 및 아동·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예방을 위한 정책. 학술행사자료. 2013.11.18. 78~80.
이준석기자ljs@joongboo.com. "정부,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 치료비 '최대 50만원' 지원". 중부일보. 2015. 4. 14. 경제.
한국교육신문, 영국의 안전한 스마트폰 사용 정책, 2013.10.7.
http://www.hangyo.com/app/news/article.asp?idx=42646
다음 백과사전
김희정, 가족도 '경영'이 필수, "9월엔 가족과 놀아요", 머니투데이뉴스, 201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