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성인간호학 아나필락시스 쇼크 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정의
1.3.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특징
2. 문헌고찰
2.1.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원인
2.2.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병태생리
2.3.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증상
2.4.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진단
2.5.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치료
2.6.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간호 중재
3. 간호과정
3.1. 간호 사정
3.2. 간호 진단
3.3. 간호 목표
3.4. 간호 계획 및 수행
3.5. 간호 평가
4. 응급 처치팀 구성 및 역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아나필락시스 쇼크는 급작스러운 전신반응이 나타나는 질병이며, 응급처치가 바로 시행되지 않으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매우 위험한 병이다.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중요한 이유는 흔한 질환은 아니나 종종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전신반응을 일으키고 때로는 사망에도 이를 수 있는 치명적인 질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나필락시스 쇼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적절한 치료를 알아보고자 한다.
아나필락시스 쇼크는 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급성 과민성 쇼크로, 특정 물질에 대해 몸에서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특정 물질을 극소량만 접촉하더라도 전신에 증상이 나타나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이다. 주로 즉각적인 반응이 나타나며, 즉시 치료하면 별다른 문제 없이 회복되지만,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면 치명적일 수도 있다.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원인은 IgE에 의한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라면 모두 해당될 수 있다.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페니실린 계열의 항생제, 해열진통제, 백신, 음식(밀가루, 메밀, 땅콩, 갑각류 등), 곤충 독소 등이 있다. 이외에도 운동, 혈액 투석 중 투석막 활성화, 특발성 등 다양한 원인이 존재한다.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우리 몸에서 알레르겐에 의해 면역 반응이 일어나면 IgE라는 항체가 생기게 된다. 이후 해당 알레르겐이 다시 우리 몸속에 들어오게 되면 IgE와 결합하면서 화학물질이 분비된다. 이 화학물질에 의해 쇼크 증세와 같은 심한 전신반응이 일어나는데, 보통 시간이 매우 짧아 아주 소량의 알레르겐에 다시 노출되더라도 수분 이내에 증상이 나타난다.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증상은 원인물질에 노출된 후 수분 내지 수시간 이내에 나타나며, 대부분 2가지 이상의 기관이 관여한다. 피부 증상(전신 두드러기, 가려움, 구강 부종 등)이 가장 흔하고, 호흡기(코막힘, 콧물, 호흡곤란, 천명, 기침 등), 위장관(복통, 오심, 구토, 설사 등), 심혈관(흉통, 혈압저하, 요실금, 쇼크, 심장마비 등), 신경계(어지러움, 의식저하, 실신 등) 증상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진단은 주로 임상양상으로 이루어진다. 원인물질에 노출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고, 자세한 병력 청취가 중요하다. 검사로는 혈청 tryptase, histamine 측정, 특이 IgE 검사, 피부 및 유발 검사 등이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검사 결과가 정상일지라도 임상 양상이 강력히 의심된다면 아나필락시스 쇼크로 진단할 수 있다.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치료는 즉각적인 처치가 매우 중요하다. 기도 확보, 산소 공급, 에피네프린 투여 등 1차 응급처치가 선행되어야 하며, 이후 항히스타민제, 스테로이드, 베타2 항진제 등 2차 약물 투여가 필요할 수 있다. 에피네프린은 기도 폐쇄와 부종을 완화하고 혈압 저하, 쇼크를 예방할 수 있는 유일한 약물로 아나필락시스 쇼크 치료의 핵심이다.
아나필락시스 쇼크 환자의 간호 중재는 다음과 같다. 호흡 양상과 의식수준, 활력징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필요 시 에피네프린을 투여한다. 기도를 유지하고 산소를 공급하며, 환자를 안정한 자세로 유지한다. 또한 원인 물질에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고, 증상 발생 시 즉시 대처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아나필락시스 쇼크는 응급 상황으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질환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체계적인 대응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원인, 병태생리, 증상, 진단 및 치료, 간호 중재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1.2.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정의
아나필락시스 쇼크는 특정 물질에 대한 과민반응의 결과로 나타나는 급성 전신 반응이다. 특정 물질에 대해 몸에서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하며, 특정 물질을 극소량만 접촉하더라도 전신에 증상이 나타나는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을 뜻한다. 주로 즉각적인 반응이 나타나게 되며, 즉시 치료하면 별다른 문제 없이 회복되지만,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면 치명적일 수도 있다. 아나필락시스 쇼크는 알레르기 쇼크라고도 하며, 원인 노출 후 급격하게 진행하는 전신적인 중증 알레르기반응으로 단시간 내에 여러 장기를 침범하여 초기에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중요한 질환이다.
1.3. 아나필락시스 쇼크의 특징
아나필락시스 쇼크는 급작스러운 전신 반응이 나타나는 질병이며, 응급 처치가 바로 시행되지 않으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매우 위험한 병이다.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중요한 이유는 흔한 질환은 아니나 종종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전신 반응을 일으키고 때로는 사망에도 이를 수 있는 치명적인 질환이기 때문이다. 아나필락시스 쇼크는 IgE에 의한 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이라면 모두 발생 ...
참고 자료
성미혜 외 3명(2018), “비판적 사고기반 간호과정의 적용”, 수문사
송경애 외 공저(2019), “최신 기본간호학1”, 수문사
송경애 외 공저(2019), “최신 기본간호학2”, 수문사
윤은자 외 공저(2019), “성인간호학1”, 수문사
신미자 외 공저(2019), “최신 알기쉬운 병리학”, 현문사
김금순 외 공저(2018),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수문사
송경애 외 공저(2019),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최일생(2013), “해부 병태생리로 이해하는 SIM 통합 내과학 10 : 신경”, 도서출판정담
이강이 외 공저(2018), “건강사정”, 현문사
한국의약통신, ‘알레르기, 항원 아닌 인체문제로 접근해야’, 2017.05.02 10:05,
http://m.kmp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647
Youtube, ‘식품 ‘알레르기 쇼크’ 심하면 뇌사까지’, 2013.05.13.,
https://youtube.com/watch?v=kzG_Hb58328&
서울아산병원, ‘아나필락틱 쇼크’,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17
서울대학교병원, ‘아나필릭시스’, http://www.snuh.org/health/nMedInfo/nView.do?category=DIS&medid=AA000538
황옥남 외(2018), 성인간호학 1,2, 현문사
원종순 외(2018),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아나필락시스의 진단, 치료 및 관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2015년 대한내과학회 춘계학술대회
수문사, 「성인간호학Ⅰ」, 김금순 외 저자
서울아산병원, 「아나필락시스(Anaphylactic shock)」,2019,11,30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17
내과전공의를 위한 진료지침, 「알레르기분과」,2019,11,30
https://www.kaim.or.kr/major/file/08.pdf
대한내과학회지, 「아나필락시스의 관리」, 남영희 외1, 2019,11,30
https://www.e-sciencecentral.org/upload/kjm/pdf/kjm-89-4-413.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