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조직수준에서의 교육훈련의 전이(transfer)와 전이의 유형, 그리고 교육훈련의 전이를 촉진할 때 고려할 사항에 대해 설명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교육훈련 전이의 중요성
1.2.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교육훈련 전이의 이해
2.1. 교육훈련 전이의 개념
2.2. 교육훈련 전이의 유형
3.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1. 학습자 특성
3.2.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성
3.3. 작업환경 특성
4. 교육훈련 전이 촉진 방안
4.1. 학습자 특성 관련 방안
4.2. 교육훈련 프로그램 설계 방안
4.3. 작업환경 조성 방안
5. 결론
5.1. 연구결과 요약
5.2. 시사점 및 제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교육훈련 전이의 중요성
글로벌 시대의 급변하는 경제, 경영 환경에 대응해야 하는 대부분의 기업들은 인적자원 개발을 통해 이러한 상황을 대처하고자 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교육훈련의 효과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그 가운에서도 교육훈련에 참여한 학습자가 학습한 내용을 본인의 업무에 적용하는 '교육훈련 전이'는 교육훈련 효율성 차원에서 특히 더 주목을 받고 있다. 기술진보의 속도가 눈부시게 빨라지는 오늘날 디지털 환경에서 개인과 조직의 미래역량을 키우기 위해서는 교육훈련은 강화되므로써 교육훈련 전이가 일어나면 교육훈련 참가자는 자신의 담당업무에 교육훈련 받은 내용을 적용하고 업무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전이(轉移)는 업무의 개선을 수반할 경우 긍정적 효과를 의미한다.
1.2.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교육훈련 전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에 대한 이해와 전이를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체계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조직 차원에서 교육훈련이 실질적인 성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훈련 전이의 개념과 유형,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촉진 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교육훈련의 투자 대비 효과성을 제고하고 조직의 인적자원 개발 및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 수준에서의 교육훈련 전이와 관련된 핵심 논의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전이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교육훈련의 현업 적용도를 높이고 조직의 성과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2. 교육훈련 전이의 이해
2.1. 교육훈련 전이의 개념
교육훈련 전이의 개념은 학습자가 교육훈련을 통해 습득한 지식, 기술, 태도 등을 실제 직무 상황에 적용하고 일반화하여 유지하는 과정이다.
Baldwin과 Ford는 전이를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되고 파지된 것을 일반화하고 유지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Ford와 Weissbein은 전이를 교육훈련 참여자가 교육훈련 상황에서 획득한 지식과 기술을 직무 상황에서 일정기간 동안 일반화하여 유지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즉, 학습전이란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자가 실제 근무하는 직무 현장에 적용, 일반화하고 유지하는 것으로, 변화된 행동으로 표현된다. 이처럼 교육훈련 전이는 교육훈련을 통해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적용하고자 하는 노력과 과정을 의미한다.
2.2. 교육훈련 전이의 유형
교육훈련 전이에는 무전이, 부정적 전이, 긍정적 전이 등 세 가지 유형이 존재한다. 무전이는 교육훈련 내용이 직무에 전혀 적용되지 않거나 직무성과에 연결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부정적 전이는 교육훈련에서 배운 내용이 오히려 직무수행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긍정적 전이는 직무행동에 교육훈련 내용이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적용되고 활용되는 것을 말한다.
한편 전이의 시간적 측면에서 단기 전이와 장기 전이로 구분할 수 있다. 단기 전이는 교육훈련 종료 후 단기간 내에 측정되는 것으로 2주나 1개월 정도의 기간 이후에 측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장기 전이는 교육훈련 종료 6개월, 1년 정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측정되는 전이를 의미한다.
또한 전이의 범위에 따라 근거리 전이와 원거리 전이로 구분할 수 있다. 근거리 전이는 학습이 발생했던 상황과 유사한 상황에서 학습을 적용하는 것을 말하며, 원거리 전이는 원래의 학습이 발생했던 상황과 유사하지 않은 상황에서 학습을 적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저도 전이와 고도 전이가 있는데, 저도 전이는 근거리 전이와, 고도 전이는 원거리 전이와 유사하다. 고도 전이는 다시 전진...
참고 자료
e그린 교안
HRD 실무교과서 이비락 최용범저
http://webcache.googleusercontent.com/search?q=cache:NS4tBkcC4EkJ:policy.nl.go.kr/cmmn/FileDown.do%3FatchFileId%3D159521%26fileSn%3D38718+&cd=2&hl=ko&ct=clnk&gl=kr
법률저널(http://www.lec.co.kr)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090
http://www.eeic.or.kr/files/report/KHKOCH_2009_v12n3_3.pdf
인적자원개발론 한올 노남섭, 박양근저
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924
장원섭, 『인적자원개발』, 학지사, 2021.
임세영, 『인적자원개발의 기초』, 박영사, 2020.
임철헌 외. 중소기업 인재가 희망이다. 삼성경제연구소, 2008.
황안숙. 인적자원 개발과 관리. 양서원, 1999.
박연희. 「기업 내 블렌디드 러닝에서 자기주도성과 교육훈련프로그램 특성이 훈련전이에 미박준서. 「중소기업 교육훈련전이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양지영. 「개인적 특성, 교육훈련 프로그램 및 조직환경 특성요인이 은행서비스 교육훈련 전이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정영애. 「기업교육훈련 전이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2006.
치는 영향」. 한국문명학회,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