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결혼이민자 한국어1 교재 특징 분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성과 요구
1.2. 교재 개발 배경 및 목적
2. 교재 분석
2.1. 일러두기
2.1.1. 언어 편
2.1.2. 문화 편
2.2. 머리말
2.3. 교수요목
2.4. 목차
3. 교재의 장단점 및 개선점
3.1. 교재의 장점
3.2. 교재의 단점
3.3. 개선 방안
4. 결론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성과 요구
여성결혼이민자는 일시적으로 한국에 머물러 있다가 그들이 이루고자하는 목표를 달성하면 한국을 떠나는 유학생이나 이주노동자와는 달리, 한국에서 안정적인 생활을 하며 가족의 구성원으로, 아내로, 어머니의 역할까지하며 한국에 정착하여 살아 갈 신분이다. 또한 이들의 자녀가 한국인으로서 성장해 나갈 것이라는 특성이 있다. 초급 수준의 여성결혼이민자의 언어적 특성으로는 한국어 학습경험이 없거나, 있더라도 대부분 독학으로 1-2개월 학습한 수준이거나 결혼회사에서 한국어를 배운 것으로 나타나, 한국사회에의 적응과 가족과의 언어 소통을 위해서는 언어 교육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언어와 문화적 배경의 차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고려없이 한국에 와서 결혼 생활을 시작하기 때문에 한국사회 안에서의 모국과의 문화적 마찰을 피할 수 없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는 언어와 문화 이 두가지를 연계한 한국어교육이 필요한 대상이다.
여성결혼이민자의 평생 교육 요구에 대한 우선순위를 보면, 취업 교육>자녀교육· 임신· 출산· 건강생활 >한국어교육> 한국생활 예의·적응>부부관계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사회구성원으로서의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성이 그대로 반영된 조사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또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학습에 대한 요구를 분석한 결과, 한국인 가족과 대화하고 한국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 한국어를 배우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에서의 생활이 길어질수록 일상생활에서의 의사소통은 물론, 구직, 자녀 교육 등 고급 수준의 현실적인 주제와 기능을 익히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성결혼이민자의 특수성을 고려하고 그들의 복합적인 목적과 요구에 대응할 수 있는 한국어 교재개발과 한국어교육 및 한국 적응을 위한 다양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1.2. 교재 개발 배경 및 목적
한국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결혼이민자의 급격한 증가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였다. 따라서 정부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법을 제정하여 다문화가족에 대한 복지 정책을 시행하게 되었고, 여성결혼이민자가 가장 많이 겪는 의사소통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설치를 통해 한국어교육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게 되었다. 이러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교육에 필요한 교재가 국립국어원을 중심으로 편찬되게 되었고, 그것이 바로 「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2010)이다. 이 교재의 개발 목표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한국의 일상생활과 사회생활에 적응하고 한국 사회의 구성원들과 원활하게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다. 또한 개발 방향은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화 교육이 연계될 수 있도록 '언어 편', '문화 편'을 제시하고, 교육 기간 및 교육 시간을 현실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2. 교재 분석
2.1. 일...
...
참고 자료
김소정, 이창식(2012)「여성결혼이민자의 평생교육 요구에 관한 연구」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3 pp. 1084-1090
홍희종(2012),「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 분석 및 개선 방안-<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1,2>를 대상으로-」,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조선경(2007), 「특수목적 한국어 교육 연구:이주노동자, 이주여성 및 그 자녀에 대한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다문화가족지원 포털 다누리 https://www.liveinkorea.kr/portal/main/intro.do
여성가족부(2005)『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교재 초급』여성가족부
국립국어원(2010)『여성결혼이민자와 함께하는 한국어1』한글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