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아동 케이스 GDM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상세정보

소개글

"아동 케이스 GDM"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문헌고찰

2. 본론
2.1. 임신성 당뇨병(GDM)
2.1.1. 정의
2.1.2. 원인
2.1.3. 병태생리
2.1.4. 증상
2.1.5. 진단
2.1.6. 치료
2.2. 신생아 저혈당증
2.2.1. 정의
2.2.2. 원인
2.2.3. 증상
2.2.4. 관리
2.3. 부당경량아(SGA)
2.3.1. 정의
2.3.2. 원인
2.3.3. 위험인자
2.3.4. 증상
2.3.5. 진단
2.3.6. 치료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일반적 사항
3.1.2. 신체사정
3.1.3. 진단명
3.1.4. 검사결과
3.2. 간호진단
3.2.1. 우선순위 선정
3.2.2. 간호진단 진술
3.3.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4. 투약
4.1. 약물 종류 및 용량
4.2. 투약 기록

5. 특수치료
5.1. 광선요법
5.2. 산소요법
5.3. 인공환기요법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임신성 당뇨병(GDM)의 발생률이 매년 1~2%씩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임신성 당뇨병 환자는 다음 임신 시 재발의 위험이 50% 정도이며, 국내에서는 2011년 기준 10.5%의 유병률을 보이고 있다. 임신성 당뇨병은 산모뿐만 아니라 태아에게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갈수록 임신성 당뇨병의 유병률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로 인해 태아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어떤 위험성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출생 직후 신생아의 수유 행동이 달라지는 것을 관찰하게 되면서,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산모로부터 태어난 환아에게 어떤 간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은 탄수화물 대사장애로, 임신 동안에 발생하며 임신 전 당내성을 경험하지 못한 임부가 임신 중에 과혈당으로 나타날 때 진단된다. 임신 중에는 태반으로부터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사람태반유선자극호르몬(human placental lactogen) 등의 호르몬 분비가 증가하며, 이러한 호르몬은 모체에서 혈당을 높이게 되고 모체는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를 보인다. 하지만 정상 혈당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슐린 양이 비임신 시에 비해 2배 이상 증가되어야 하며, 이와 같이 생리적 변화가 그 범위를 넘어 이상을 보일 때 임신 당뇨병이 유발된다. 임신성 당뇨병을 일으키는 명확한 위험요인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비만한 여성, 거대아 출산력이 있거나 당뇨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위험요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 임신 중 대부분의 임부는 인슐린 저항에 대처하고 정상혈당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인슐린을 충분히 생산할 수 있지만, 췌장이 보상기전으로써 충분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거나 인슐린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면 GDM이 발생한다. 임신성 당뇨병은 대개 임신말기에 나타나며 경한 당내성, 식후 고혈당이 특징이다. 임신 중 당뇨를 조기 진단하고 예측하는 것은 임산부뿐만 아니라 신생아의 예후에 매우 중요하며, 임신 24-28주에 경구부하검사를 시행하여 진단한다. 혈당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 혈당을 매 1-2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초속효성 인슐린을 자주 주사하거나 수액에 섞어서 정맥지속주사법을 사용한다. 인슐린 펌프는 분만 중에도 계속 사용할 수 있으나, 정맥 주사로 포도당, 칼륨, 인슐린을 혼합하여 지속적으로 주입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된다. 분만 직후에는 인슐린을 주사하지 않아도 혈당이 정상 범위를 유지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상승한다. 간호사들은 치료적 의사소통과 지지를 통해 임부와 가족이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고, 당뇨 조절과 자가간호에 필요한 교육을 제공한다. GDM은 운동과 식이조절을 통해 혈당이 조절될 수 있으며 임신 종료 후 사라질 수 있으나, 제 II형 당뇨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GDM의 90% 정도는 대개 분만 후에 혈당수치가 정상으로 회복되므로, 분만 4~6주 후에 당뇨 유무를 확인하는 검사를 시행한다.

혈당이 높아지면 더 많은 양의 포도당이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되어, 태아는 스스로 인슐린을 생성하여 높은 혈당을 낮추려고 한다. 이렇게 추가로 생성된 인슐린의 작용으로 태아는 체중이 늘고, 더 빨리 자라게 된다. 임신 중 혈당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조산이나 양수과다증, 난산이나 제왕절개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임신부와 자녀 모두 추후에 제2형 당뇨병 발생위험이 증가한다. 임신부에게는 임신성 고혈압의 빈도 증가, 감염 발생 빈도 증가, 케톤산혈증, 산후출혈 빈도 증가 등의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다.

신생아 저혈당증은 당뇨병 임산부의 태아의 10-40%에서 관찰되는 가장 흔한 합병증이다. 정상적으로 신생아는 출생 이후 혈당이 급격히 감소하는데, 만삭 신생아의 경우 혈장 포도당 농도 30-40mg/dL 미만, 조산아에서는 20-30mg/dL 미만으로 정의된다. 태반을 통한 지속적인 포도당 공급의 상실과 함께 정상 출생 신생아에서 혈중포도당 농도는 출생 후 첫 2시간 동안 떨어져 바닥농도에 도달하고 4~6시간 후에는 안정화된다. 하지만 당뇨병 산모의 신생아는 혈중 인슐린 농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해 저혈당이 생길 수 있다. 신생아 저혈당증을 보이는 징후로는 신경과민 증세, 근긴장 저하, 의식수준 변화, 무호흡증, 서맥, 청색증, 저체온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증상이 발현되기 전에 주기적인 혈당 모니터링을 통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혈당증 위험이 높은 영아는 생후 1시간 이내에 수유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며, 수유 후 혈당을 측정해야 한다. 비경구적으로 포도당을 주입하거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글루카곤 투여 등으로 치료한다.

부당경량아(SGA)는 재태연령에 비해 체중이 적은 것을 말하며, 표준 자궁 내 성장곡선에서 신생아의 체중(신장, 머리둘레도 해당될 수 있음)이 10 백분위 수 미만인 경우에 해당된다. 대칭형 성장 제한의 원인은 임신 초기에 발생한 것일 수 있고, 비대칭형 성장 제한은 임신 후기에 발생한 것일 수 있다. 부당경량아의 위험요인으로는 산모의 고혈압, 당뇨, 만성 신장 질환, 심장 질환, 루푸스 등의 내과적 병력과 다태아, 자궁의 이상, 임신 중 알코올이나 약물 사용 등이 있다. 부당경량아는 출생 시 비슷한 재태연령의 정상 크기 신생아와 유사한 외관을 보이지만, 근육량 및 지방이 더 적고 푹 꺼진 얼굴 특징이 있을 수 있다. 즉각적인 합병증으로는 출생전후 질식, 태변 흡인, 저혈당, 과도한 적혈구 증가증, 체온 조절 곤란, 감염 위험 증가 등이 있으며, 장기적인 합병증으로는 심장질환, 고혈압, 뇌졸중 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부당경량아에 대한 특정한 치료는 없지만, 기저질환 및 합병증을 치료하고 성장 호르몬 투여 등을 고려할 수 있다.


1.2. 연구의 목적

다음은 연구의 목적에 해당하는 내용만을 작성한 것이다.

다른 신생아들은 출생 직후 6시간 정도 금식을 하고 수유를 시작하게 되는데, 이 연구 대상자는 출생 직후 1시간 내에 수유를 시작하는 것을 관찰하게 되었다. 그 이유가 산모가 임신성 당뇨병이 있기 때문이었다. 다른 신생아들과 달리 수유를 빨리 시작하는 것에 관심이 가게 되었고,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환아에게는 어떤 간호중재를 수행해야 할지 궁금증이 생기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임신성 당뇨병을 가진 산모로부터 태어난 환아에게 일어날 수 있는 간호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대상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기 위해 사례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1.3. 문헌고찰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은 탄수화물 대사장애로, 임신 동안에 발생하며 임신전 당내성(glucose intolerance)을 경험하지 못한 임부가 임신 중에 과혈당으로 나타날 때 진단된다. 임신 중에는 태반으로부터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사람태반유선자극호르몬(human placental lactogen) 등의 호르몬 분비가 증가하며, 이러한 호르몬은 모체에서 혈당을 높이게 되고 모체는 인슐린 저항성의 증가를 보이는데 정상 혈당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슐린 양이 비임신 시에 비해 2배 이상 증가되며 이와 같이 생리적 변화가 그 범위를 넘어 이상을 보일 때 임신 당뇨병이 유발된다. 임신성 당뇨를 일으키는 위험요인은 명확하게 알려진 바 없으나 비만한 여성, 거대아 출산력이 있거나 당뇨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위험요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 대부분의 임부는 인슐린 저항에 대처하고 정상혈당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인슐린을 충분히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췌장이 보상기전으로써 충분한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거나 인슐린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면 GDM이 발생한다. 임신성 당뇨병은 대개 임신말기에 나타나며 경한 당내성, 식후 고혈당이 특징이다. 임신 중 당뇨를 조기 진단하고 예측하는 것은 임산부뿐만 아니라 신생아의 예후에 매우 중요하며, 산과에서는 임신성 당뇨를 조기 진단하기 위한 선별검사로 대한산부인과학회에서 권장하는 지침에 따라 임신 24-28주에 경구부하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임신성 당뇨병 진단법에는 1단계(one-step)접근법과 2단계(two-step)접근법 등 2가지 방법이 있다. 1단계 접근법인 75g 경구당부하검사는 공복상태에서 공복혈당이 92mg/dL이상, 75g 포도당 용액을 마시고 1시간 후 혈당 180mg/dL이상, 2시간 혈당153mg/dL 이상 중 하나 이상 해당할 경우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2단계 접근법은 식사 여부와 관계없이 50g 의 포도당 용액을 마신 후 1시간 후 혈당이 140 mg/dL 이상이면 재검을 하게 된다. 재검은 검사 전날 저녁 식사 후 금식을 한 상태에서 100g 포도당 용액을 마신 후 혈당 검사를 한다. 100g 경구 당부하검사에서 검사기준 중 두 가지 이상 초과할 경우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된다. 분만 중 목표는 임신부의 혈당을 정상범위로 유지하는 것이다. 임신부의 혈당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 혈당을 매 1-2시간 간격으로 측정하고 초속효성 인슐린을 자주 피하주사하거나 수액에 섞어서 정맥지속주사법을 사용한다. 혈당을 정상범위로 유지하면 태아 고인슐린혈증을 예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신생아 저혈당증을 예방할 수 있다. 간호사들은 치료적 ...


참고 자료

조윤영(내분비-대사내과 의사). 임신 중 혈당 변화와 당뇨병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삼성서울병원 삼성당뇨소식지 Vol.256
2000. 백승남, 홍혜성, 성미혜, 조결자, 위현주. 미숙아의 머리 및 발 보온이 출생초기 체중에 미치는 영향. 아동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6 no.3 , 2000년, pp.397 – 410
2007.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김은영. 신생아에서의 포도당 대사와 저혈당증의 평가.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Vol. 50, No. 3
2014. 김동섭, 윤세훈, 이승현, 유승택, 이창우, 오연균. 당뇨 임산부의 HbA1c 농도에 따른 신생아의 예후 Neonatal Medicine 2014년 21권 2호 p.122 ~ 128
2015. 손성은, 윤현옥 경상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경상대학교 약학연구소신생아. 저혈당증 (Neonatal Hypoglycemia) 병원약사회지(2015). 제 32 권 제 3 호 Vol. 32, No. 3, 191 ~ 200
2017. 국민건강보험공단.건강관리실 건강지원부. 바로 알고 준비하면 걱정없는 '임신성 당뇨병' 임신성 당뇨병 바로 알기. 일반행정 발간물
2021.01.13.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건강정보 임신성 당뇨병
2019.02.20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이은희, 김유정, 안지원, 최예숙, 고영지, 고정미, 김향동, 김현정, 조미희, 주영주. 고문사
2021.02.25 아동간호학 3판. 심인옥, 구정아, 김선영, 석정원, 정지혜, 주애란, 지은아. 학지사메디컬
2020.03.02. 여성건강간호학Ⅱ. 박영주, 심미정, 김혜자, 전나미, 김혜원, 이은숙. 현문사
2021.04.08. MSD 매뉴얼 일반인용 부당 경량아(SGA)
차병원 건강칼럼 임신성 당뇨병 이미지
박영주 외5명. ⌜여성건강간호학(Ⅱ)⌟, 현문사, 2017
국제간호진단협회,⌜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2015-2017⌟, 정담미디어, 2016
박은숙 외9명.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상)⌟, 현문사, 2014
박은숙 외9명. ⌜근거기반실무 중심의 아동간호학(하)⌟, 현문사, 2014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h.org/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994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신생아 중환자간호 (5판), 저자 M. Terese Verklan & Marlene Walden, Elsevier
신생아 호흡관리 (스텝업), 저자 훗카이도대학병원 주산기 모자센터 쵸 카즈토시, 손동우 편역
정담미디어, 성인간호학 Ⅱ, 이영희 외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