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가족선정
우리 가족을 선정한 이유는 오랜 시간 제일 가까운 위치에서 가족을 접하고 가족과 생활하였기 때문에 누구보다 가족을 자세히 알고 있어 가족 간호 과정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나에게 있는 건강적 문제가 우리 가족의 생활습관과 연관되어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가족 자료 수집은 전화통화와 카카오톡 영상통화를 기반으로 비 대면으로 진행하였다.
1.2. 간호사정
1.2.1. 영역별 자료수집
가족영역에 대한 자료수집은 가족구조와 발달주기, 가족체계 유지, 상호작용 및 교류, 지지, 대처와 작용, 건강관리, 주거환경 등을 포함한다.
먼저 가족구조와 발달주기를 살펴보면, 이 가족은 핵가족으로 부모와 자녀 3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진수기 가족 단계에 해당한다. 가족체계 유지를 위한 재정은 부모의 자영업과 큰딸의 퇴직금 및 육아수당으로 충당되고 있다. 가족의 여가활동으로는 가족 전체가 카페에 가는 것, 아빠의 낚시, 큰딸의 헬스, 둘째딸의 주짓수, 막내딸의 요가 등이 있다.
가족구성원의 교육수준은 부모님이 고졸, 자녀들은 대졸 및 대학 재학 중이다. 가족 구성원의 관심사를 살펴보면, 아빠는 낚시와 건강관리, 엄마는 손녀와 건강관리, 큰딸은 육아와 건강관리, 둘째딸은 연애와 대학생활, 막내딸은 건강관리와 취업 등이다. 자아존중감의 정도는 대체로 중간 수준이다.
가족 간 상호작용과 교류를 보면, 하루 한 번씩 전화 통화로 안부를 묻고 일상생활을 공유한다. 의사결정은 주로 부모와 큰딸이 하고 있으며, 역할은 부모가 집안의 결정자, 큰딸이 훈육 담당, 둘째딸과 막내딸은 집안일을 담당하고 있다.
가족의 사회참여와 교류를 살펴보면, 부모는 자영업을 하며 손님들, 주변 상가 사람들과 교류하고, 큰딸은 헬스장과 맘카페 활동을 하며, 둘째딸은 주짓수와 대학 생활에서 교류하고, 막내딸은 요가원,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의학과, 대학에서 사회적 지지와 교류를 하고 있다.
가족의 지지체계를 보면, 정서적·영적 지지는 아빠가 엄마와 의논하고 결정하며, 엄마는 큰딸과 의지하며, 큰딸은 엄마와 남편을 의지한다. 둘째딸은 큰딸을 의지하며, 막내딸은 부모님과 우호적이나 큰딸을 무서워한다. 경제적 협동으로는 분식집을 가족 구성원들이 돕고 있다.
가족의 건강력을 살펴보면, 딸들의 친아버지가 자살로 사망하여 엄마와 딸들이 우울을 다소 겪고 있다. 아빠는 만성질환인 고지혈증을, 엄마는 골다공증을, 막내딸은 우울증을 앓고 있다. 주거환경은 아파트로 양호하나 아파트 앞 물류창고로 인해 교통사고 위험이 있다.
이 가족의 강점은 엄마의 노력으로 경제적 지위가 향상된 점, 자녀들이 큰딸의 도움을 받으며 어려움을 잘 극복하는 점, 큰딸이 가족을 잘 돌보고 지지하는 점, 가족 간 단합력이 좋은 점,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