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등장과 발전
1.1.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정의와 특징
지식 공유 커뮤니티는 웹상의 가상 공간에서 사용자들이 서로 질문하고 답변하며 지식을 공유하는 온라인 커뮤니티이다. 이러한 지식 공유 커뮤니티는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첫째, 사용자들이 서로 궁금해하는 질문에 직접 답변을 올리는 방식으로 운영된다는 점이다. 기존의 검색 엔진이 단순히 등록된 웹페이지를 검색하여 결과를 보여주는 것과 달리, 지식 공유 커뮤니티는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을 생산하고 공유한다. 둘째, 한번 질문-답변한 내용이 지속적으로 남아있어 시간이 지날수록 지식이 축적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커뮤니티 내에서 방대한 지식베이스가 구축된다. 셋째, 가장 좋은 답변을 한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하는 등의 인센티브 제도를 통해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지식을 공유하도록 하는 동기부여 요인이 된다. 결국 지식 공유 커뮤니티는 사용자 간 상호작용과 지속적인 지식 축적, 그리고 참여 동기 부여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2. 국내 최초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등장
국내 최초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등장은 2000년에 만들어진 한겨레의 "디비딕"이다. "'묻고 답하는 지식 커뮤니티'란 모토로 개설한 한겨레 디비딕은 개설 직후 사용자들의 폭발적인 참여로 100여개의 카테고리에 하루 수천 건의 질문과 답변이 올라오면서 급신장하였고, 이후 네이버의 "지식IN", 엠파스의 "지식거래소" 등 잇달은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붐을 이끌어내었다"이다.
지식 공유 커뮤니티의 특징은 기존 검색 엔진처럼 등록된 웹페이지를 뒤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네티즌들이 서로 궁금해하는 질문에 일일이 답변의 글을 적어놓는 방식이다. 지식 공유 커뮤니티는 한번 질문-답변한 것이 이후에도 계속 남아있고 지속적으로 검색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지식이 축적된다는 점, 그리고 모든 참여자들이 그 자료를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가장 좋은 답변을 한 사람에 대해서 이익을 준다는 점이 이 지식 서비스가 크게 인기를 끈 요소라고 할 수 있다.
1.3. 검색엔진에서 지식 공유 커뮤니티로의 변화
최근 들어 인터넷 상에서 지식을 주고받는 지식 공유 커뮤니티가 크게 유행하게 되었다. 이전에는 검색엔진이 단순히 사용자들에게 사이버 공간 내의 지식들을 찾아서 보여주는 역할에 그쳤다. 그러나 현재는 사용자들을 이어주어 이들 간에 지식을 주고받게 하는 형식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지식 공유 커뮤니티에서는 우수한 답변을 한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지급하여 메일 용량 확대나 복권 구매 등의 혜택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단순한 질문-답변 방식을 넘어서 관련 분야의 전문지식 교환이 이루어지고,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될 수 있는 획기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지식 공유 커뮤니티를 이용하면 웬만한 문제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으며, 질문을 하면 빠르게 답변을 받을 수 있다. 이렇게 누적된 질문과 답변들은 사라지지 않고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오랜 역사와 많은 회원을 보유한 지식 공유 커뮤니티는 살아 있는 지식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초적인 지식 공유 커뮤니티가 더욱 발전하면, 단순한 포인트 교환이 아닌 실제 화폐 거래가 이루어지는 '지식거래소'로 발전할 수 있다. 지식거래소에서는 전문적이고 학문적인 지식이 거래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기존 지식 공유 커뮤니티와 차별화된다.
2. 지식거래소의 등장과 특성
2.1. 해피캠퍼스의 소개
해피캠퍼스(http://www.happycampus.com)는 지난 2000년, 에이전트소프트의 김정태 사장이 만든 지식거래소이다. 해피캠퍼스와 다른 지식 공유 커뮤니티와의 결정적인 차이는 해피캠퍼스는 대학생 이상의 고급인력이 주요 회원이라는 점과, 회원들 간의 지식 공유가 유료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해피캠퍼스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는 것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리포트이다. 소비자는 우선 해피캠퍼스 내에서 자신이 원하는 주제에 대하여 검색을 한다. 예를 들어, 해피캠퍼스를 정했다고 치자. 검색을 해서 나온 리포트들 중에서 다른 이들이 올린 평가와 가격 등을 종합하여 무엇을 구입할 지를 판단하고 구입을 한다. 만일 자신이 원하는 자료가 없다고 해도 타 지식 공유 커뮤니티와 동일한 방식으로 "리처의 맥도날드화 논의를 기초로 한 해피캠퍼스 분석이 필요합니다. 기한은 X일까지, 자료는 A4로 X장 이상, 올려주신 분께는 포인트 XX점{) 포인트는 리포트 구입 시 돈 대신 쓸 수 있다."라는 식의 질문을 한다면 며칠 내로 반드시 자료가 도착한다. 이러한 방식은 마치 패스트푸드 음식을 주문하는 것을 연상케 한다. 소비자는 해피캠퍼스에 주문을 해서 빠른 시일 안에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아니, 무한정에 가까운 메뉴와 맞춤형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는 오히려 패스트푸드 점 이상으로 더욱 매력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2.2. 해피캠퍼스의 특징과 운영 원리
해피캠퍼스의 특징과 운영 원리는 다음과 같다.
해피캠퍼스는 지식 공유 커뮤니티 중에서도 특히 대학생 이상의 고급 인력이 주요 회원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회원 간 지식 공유가 유료로 이루어진다는 것이 기존의 무료 지식 공유 커뮤니티와의 차이점이다.
해피캠퍼스에서 가장 많이 거래되는 것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리포트이다. 소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