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장중첩증"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장중첩증 개요
1.1. 정의
1.2. 병태생리
1.3. 원인 및 호발연령
2. 임상증상
3. 진단
3.1. 단순 복부 촬영
3.2. 복부 초음파
3.3. 기타 진단적 검사
4. 치료
4.1. 보존적 치료
4.1.1. 공기 관장법
4.1.2. 수압 관장법
4.2. 수술적 치료
5. 간호중재
5.1. 진단 후 간호
5.2. 보존적 치료 후 간호
5.3. 수술 후 간호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장중첩증 개요
1.1. 정의
장중첩증(intussusception)이란 장의 원위부가 근위부 속으로 밀려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질환이다. 장중첩이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데, 가장 흔하게 발병하는 부위는 소장 말단과 막창자(맹장, cecum) 사이의 회맹부(ileocecal valve)로, 소장에서 대장으로 넘어갈 때 장의 너비가 갑자기 증가하기 때문에 발생하기 쉽다. 이 외에도 회회부위에서 발생하는 소장형 장중첩증(ileoileal intussusception), 결절부위에서 발생하는 대장형 장중첩증(colocolic intussusception)이 있으며, 간결장곡이나 비결장곡 등에서도 발생한다."
1.2. 병태생리
장중첩증의 병태생리는 다음과 같다. 장의 원위부가 근위부 속으로 밀려들어가면서 발생하는 질환으로, 장중첩이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소장에서 대장으로 넘어갈 때의 회맹부(ileocecal valve), 회회부위의 소장형 장중첩증, 결장부위의 대장형 장중첩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장의 원위부가 근위부로 밀려들어가면 장간막이 접히면서 압력을 받게 되어 림프조직과 주변정맥의 폐쇄가 나타난다. 이로 인해 혈액공급에 방해를 받게 되면 부종이 나타나고, 장중첩 부위가 점차 확대되며 진행된다. 이때 폐쇄부위의 압력이 동맥압과 같아지면 동맥혈의 흐름이 멈추면서 장점막의 괴사가 나타나게 된다.""
1.3. 원인 및 호발연령
장중첩증은 성인보다는 주로 2세 이하의 아동에서 호발되며, 남아가 여아보다 흔하다"" 성인보다 아동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아동의 장관 구조가 성인과 다르기 때문이다. 장중첩증의 약 90%는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며, 연령이 높을수록 기질적인 원인을 갖는 빈도가 증가한다"" 특발성 장중첩증에는 용종, 림프종, 맥켈 게실과 같은 병리조직학적 선행병변이 없으며, 주로 바이러스성 감염 후 회장 말단부의 림프조직 비대가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아동은 특별한 장관병소를 가지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생후 3개월에서 6세 미만의 아동에서 장중첩증은 장 폐쇄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된다"".
2. 임상증상
장중첩증의 임상증상은 다음과 같다.
장중첩증의 가장 큰 특징은 갑작스럽고 간헐적인 급성 복부통증이다. 평상시 건강한 아동이 약 1~2분간 갑자기 심한 통증으로 자지러지듯이 울며, 다리를 차거나 복부 위로 끌어당겨 올리는 자세를 취하다가, 약 5~15분간의 통증과 통증 사이의 기간에는 정상적이고 편안해 보이는 양상을 보인다. 이 때, 무증상 시기에 아동의 RUQ 부위에서 소시지 모양의 덩어리를 촉지할 수 있다.
장중첩으로 인한 폐쇄가 진행되면 담즙성 구토를 동반하며 ...
참고 자료
김영혜 외(2021),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538-550p
김영혜 외(2022), 최신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227-228p
정명자 외(2008), 소아와 성인의 소장형 장중첩증의 비교 및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의 영상의학적 소견, 대한영상의학회지, 59, 21-27p
김재건 외(2002), 소아 장중첩증에서 바륨관장법과 공기 주입 정복술의 비교 분석, 방사선사협회지, Vol. 28, No.1, 59-54p
서울아산병원 질환백과, 「장중첩증, 소장, 대장」, www.amc.seoul.kr (문헌고찰, 그림)
손일태 외(2010), 공기 정복술을 시행 받은 소아 장중첩증 환자들의 치료 결과 및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외과, Vol 16, No 2, 108-116p
박은영 외,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38~41p, 176~180p, 256~261p
약학정보원 www.health.kr
홍경자 외(2016),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p.354~356
박미란 외 7명(2010), “소아에서 소장형 장중첩증; 자연정복과 수술적 치료의 비교”,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지 13권 2호, p.128~133
박성태(2001), “성인 장중첩증의 초음파 소견”, 대한초음파의학회 http://www.ultrasound.or.kr/workshop/2001s/abstract/files/32p00024.p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