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한국 간호사 의료인력 수급의 구조적 문제에 대한 연구 논문 만들어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주제 선정 배경 및 목적
2. 본론
2.1. 국내 간호 인력 현황
2.2. 국내 간호사의 근무환경 및 대우
2.2.1. 간호사의 근무환경
2.2.2. 간호사의 소득수준
2.2.3. 부당 처우 및 간호업무에 대한 인식 부족
3. 결론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주제 선정 배경 및 목적
최근 발생한 코로나19 사태는 전 세계적으로 큰 혼란을 야기했다. 특히 의료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이 와중에 한국의 의료진들이 보여준 노력과 성과는 많은 이들에게 자랑스러움과 감사를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관련 뉴스들을 살펴보면 의료진, 특히 간호사들에 대한 대우와 보상이 적절하지 않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 코로나19 사태 이전에도 간호사들의 태움, 과중한 업무와 근무 시스템, 전문 인력 양성의 부족 등의 문제점들이 제기되었다. 이에 국내 간호사의 근무환경과 대우가 다른 OECD 국가들과 비교하여 어떤 실태인지 확인하고, 발전적인 논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2. 본론
2.1. 국내 간호 인력 현황
매년 국내에는 약 5만 명이 넘는 수의 간호대 졸업생이 배출되고 있다. 그리고 현재 대한민국에서 간호사 면허를 가지고 있는 인원은 2018년 기준, 약 39만 명이 넘는다. 간호대 졸업자수는 OECD국가 중 2위이다. 그러나 보건복지부에서 발표하는 'OECD 보건통계 2019'에 따르면 한국은 인구 1000명 대비 간호사의 수가 6.9명으로 OECD 평균인 9명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면허 소지자 대비 임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인원은 약 17만 여명으로 전체의 약 44%정도에 지나지 않는다. 의원 및 조산원, 보건소, 보건지소 및 건강생활지원센터 등을 합쳐야 50%를 조금 넘는다. 간호대 졸업생 OECD 국가 중 2위임에도 불구하고 전체 면허소지자 대비 실제 활동 인력이 적어 전국 각급의 병원들은 항상 인력난을 겪고 있다. 반면, OECD 국가 중 독일은 1000명 대비 간호사 수가 12.9, 노르웨이는 17.7에 이르는 등 총인구대비 간호사의 수가 우리나라보다 현저히 많다. 그리고 면허 간호사 대비 임상 간호사의 비율은 68.2%로 우리나라의 비율을 훨씬 상회한다.
2.2. 국내 간호사의 근무환경 및 대우
2.2.1. 간호사의 근무환경
간호사의 근무환경은 열악하다. 간호사의 절반 이상인 54.8%가 3교대 근무를 하고 있으며, 평균 주 38.6시간을 근무하고, 월 평균 4회의 야간근무를 한다. 또한 근무 외 업무시간으로 여겨지는 인수인계에만 주당 6시간을 사용하고 있다. 3교대 근무로 인한 생활 불균형과 부족한 휴식은 간호사의 주된 이직 요인이다. 외래의 경우 간호사 1인당 1...
참고 자료
정경만(2010),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사업운영 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이진(2009),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진태, 노인보건복지정책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경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OECD, 「OECD Health Statistics 2019」, 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HEALTH_WFMI, 2020.05.29.
보건복지부, 「2019 보건복지통계연보」, p.175
상동, p.185
OECD, 「OECD Health Statistics 2019」, https://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HEALTH_WFMI, 2020.05.29.
김신희 외 2명, 2019, 「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직무배태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Vol. 25 No. 3, pp. 208-219
보건복지부, 2019,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2019.12.19
탈진해 그만두는 간호사만 줄어도…지금보다 더 나은 간호 가능할 텐데, 경향신문, 2020.05.23,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2005230600055&code=940100(2020.05.30)
강인성, 김윤희, 2018,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 이직의도 영향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20, No. 2, p.1071
보건복지부, 2019,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2019.12.19., pp.7-8
신현웅 외 8인, 2019, 「(2020년도) 유형별 환산지수 연구」
김진현 외 6명, 2019, 「전국 병원간호사의 임금 구조와 임금수준 결정요인 분석」, 임상간호연구 25(3), p.297
간호사 10명 중 7명 "코로나19 이후 부당처우 받아", 파이낸셜뉴스, 2020.05.15., https://www.fnnews.com/news/202005151300012697(2020.05.30)
보건복지부, 「OECD Health Statistics 2019」, p.111
간호법 제정 통해 수준 높은 간호서비스 제공 가능, 후생신보, 2019.11.24., http://www.whosaeng.com/114170, 2020.05.31.
TEDMED-2016, 「A tribute to nurses:Carolyn jones」 , 2016, https://www.ted.com/talks/carolyn_jones_a_tribute_to_nurses#t-224668, 2020.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