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Lt.primary gonarthrosis,unilateral"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문헌고찰
2.1. 정의
2.2. 원인
2.3. 증상
2.4. 진단 및 검사
2.5. 치료
2.6. 주의사항
2.7. 인공관절치환술
3. 간호사정
3.1. 간호정보조사지
3.2. 대상자 흐름도
3.3. 진단검사
3.4. 약물
4. 간호과정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무릎관절증(Gonarthrosis)은 노인인구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만성 관절 질환으로 신체적 불능을 초래한다. 통계청이 발표한 '2018 고령자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급속한 고령화로 인하여 2018년 65세 이상 고령자는 14.3%로 고령사회이며, 2060년에는 41.0%가 될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인 사회의 고령화 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이와 같은 퇴행성 질환은 주목을 받고 있고 호소하는 환자들도 증가하고 있다. 이번 성인간호학Ⅲ 실습으로 정형외과 병동에 실습을 하게 되었는데 무릎관절증은 OS의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이다. 이는 고령화 사회와 연관되어 있기도 하고,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퇴행성 관절증 환자는 2015년 약 353만 명에서 2017년 약 376만 명으로 꾸준히 증가 하고 있고 특히 봄철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이는 겨울동안 신체 활동량 저하로 근력과 유연성이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등산, 조깅 등 레포츠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라고 한다. 실제 실습기간 동안 무릎관절증을 호소하며 입원한 대상자가 늘었고, 이에 대한 연구와 고찰을 통해 무릎관절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대상자의 증상과 문제를 파악하고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간호를 간호과정을 통해 해결해 봄으로써 치료를 도와 신체회복에 도움을 주고자 사례연구로 선정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2.1. 정의
무릎관절증(Gonarthrosis)은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의미하며,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일차성 무릎관절증과 외상, 질병, 기형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무릎관절증으로 구분된다. 일차성 무릎관절증의 경우 무릎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연골, 뼈, 관절막에 병적인 변화가 발생하여 통증, 기능 장애, 변형을 유발하며, 이차성 무릎관절증은 세균성 관절염, 결핵성 관절염으로 인한 관절 연골의 파괴, 심한 충격, 반복적인 외상 등이 원인이 된다.
무릎관절증은 중년기 이후 여자에게서 많이 발생하며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감소와 관련이 있다. 무릎관절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무릎이 아프고 붓거나 운동 범위가 줄어드는 것이며, 삐걱거리는 소리가 들리기도 하고 무릎에 걸리는 하중으로 인해 병이 진행될 경우 연골 조직이 많이 닳으면서 무릎 통증이 악화되어 다리가 휘거나 절룩거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2. 원인
연령은 무릎관절증 발생의 주요 원인이다. 35세 이상부터 발생하며, 나이가 많아질수록 발생 빈도가 높아진다. 특히 55세 이후부터 여성의 발생률이 남성에 비해 약 2.5배 높다.
외상도 무릎관절증의 주요 원인이다. 관절 연골의 직접적인 손상이 주원인이며, 주로 젊은 층에서 많이 발생한다.
이전의 염증성 관절질환도 무릎관절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유전적 요인, 비만, 나쁜 자세, 반복적인 무릎 관절 스트레스 등도 무릎관절증 발생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2.3. 증상
무릎관절증의 대표적 증상은 무릎이 아프고 붓거나 운동 범위가 줄어드는 것이다. 삐걱거리는 소리가 들리기도 하며, 무릎에 걸리는 하중으로 인해 병이 진행될 경우 연골 조직이 많이 닳으면서 무릎 통증이 악화되어 다리가 휘거나 절룩거리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무릎관절증의 주요 증상은 통증과 강직이며, 주로 저녁 시간이나 활동 시 통증이 심해지고 휴식 시 완화된다. 수동 운동 시 인대의 불규칙한 접촉으로 관절에서 마찰음(crepitus), 삐걱거리는 소리(creaking), 오도독하는 소리(crunching)가 들린다.
관절 운동 범위의 제한과 관절 주위 근육의 약화 및 위축이 나타나며, 통증으로 인해 관절을 잘 사용하지 않아 강직, 근위축, 관절통 등이 생긴다. 심한 통증과 기형이 나타나 보행과 자가 간호를 방해하여 일상생활 동작에 영향을 미친다.
환자는 피로를 쉽게 느끼며 춥고 습한 기후에 매우 민감하다. 초기에는 통증이 심하지 않지만 관절을 계속 사용하면 악화되며, 질병이 장기화되면 많은 관절에 체중부하와 운동장애가 오게 ...
참고 자료
조경숙 외(2016), 여섯째 판 성인간호학 하권, 현문사.
송경애 외(2017). 최신 기본간호학1. 수문사.
송경애 외(2017). 최신 기본간호학2. 수문사.
은재순 외(2016). 임상약리학 제3판. 현문사.
권말숙, 이지현, 이정화(2018), 2018~2019 성인간호학 임상실습지침서(학생용), 배영출판사
킴스온라인 www.kimsonline.co.kr 의약품 정보
대한정형외과학회 www.koa.or.kr
조수진, 2012, 『노인 골관절염 환자를 위한 자기효능 강화 스트레칭운동의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성인간호학 II (윤은자 외 공저), 수문사, 9판
직업성 근골격계질환 18 - 부위별 퇴행성 관절염 : 직업성 무릎 관절염(2), 산업보건 no.352 = no.352 , 2017년, pp.40 - 53 , 김수근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직업환경의학과)
복합운동 퇴행성 무릎관절염 여성 노인의 통증, 하지근력, ROM, 보행기능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 제22권 1호(자연과학 편) 2013.02, p.1021-1032
퇴행성 무릎관절염 환자의 수술 후 운동시기에 따른 효과 비교, 임성준, 대구대학교, 2016
유양숙 외(2022).성인간호학 하권 제8판.현문사
서울아산병원 | 건강정보 > 질환백과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503
힘내라병원 | 어디가 불편하십니까? > 무릎 > 퇴행성 관절염
http://www.himnaera.co.kr/contents/contents_view_new.html?tt_idx=29
서울아산병원 | 건강정보 > 검사/시술/수술정보 >
인공슬관절치환수술(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336
한양대학교병원 | 건강자료실 > 슬관절(무릎)전치환술
https://seoul.hyumc.com/seoul/healthInfo/reference.do?action=view&bbsId=healthLib&nttSeq=10724
잉글우드병원 | 인공슬관절수술 환자 가이드
https://www.englewoodhealth.org/wp-content/uploads/2018/09/knee_replacement_KO.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