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Community = com(함께 ) munus(봉사한다

  • 1
  • 2
  • 3
  • 4
  • 5
  • 6
  • 7
  • 8
>

상세정보

소개글

"Community = com(함께 ) munus(봉사한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특성
1.2.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중요성

2. 지역사회의 개념 변화와 특징
2.1. 시대별 지역사회 개념의 변화
2.2. 현대사회에서 지역사회 개념의 특징

3.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주체
3.1. 지역사회조직의 개념과 역할
3.2. 지역사회 주민의 참여와 역량 강화
3.3. 지역사회복지 실천에서 자원의 활용

4. 경찰활동 지원 프로그램
4.1. 미국의 Amber Alerts System
4.2. 덴마크 코펜하겐의 'SSP' 공무원제
4.3. 호주의 경찰활동 자원자(VIPs) 프로그램

5. 결론
5.1. 지역사회복지실천의 방향성
5.2. 경찰활동 지원 프로그램의 시사점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사회복지의 개념과 특성

지역사회복지란 지리적 공간인 일정한 생활권 내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공통된 이해관계와 문화 등을 형성하여 공동의 경험과 생활을 영위하는 지역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다. 지역사회복지는 지역사회의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 구성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천활동이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복지는 지리적 경계와 문화, 사회적 동질성을 가진 지역사회 주민의 공통생활 기반을 중심으로 성립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역성이 강한 생활문화로 인해 지리적 요인이 지역사회복지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지역사회복지는 또한 지역사회 주민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의 관심과 기능을 바탕으로 형성되며, 지역사회 주민 간 합의성, 일체감, 공동생활 양식, 공통적 관심과 가치 및 공동의 노력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지역사회복지는 지리적 경계와 문화, 사회적 동질성을 가진 일정 지역의 범위 내에서 지역사회 주민의 공통적 생활기반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실천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


1.2. 지역사회복지 실천의 중요성

인간은 필연적으로 삶에 필요한 모든 자원을 사회로부터 공급받게 되며 행동양식, 가치관 및 규범 등 모든 문화적인 기능을 사회를 통해 형성해 간다. 지역사회는 사회의 한 양식으로서 가족과 더불어 인간 존재의 일차적 기능을 담당하는 현장이다. 따라서 지역사회가 삶의 현장에서 그 기능을 보다 긍정적으로 수행해 낼 때, 인간은 더 만족스럽고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게 된다. 지역사회조직에 있어서 1차적인 클라이언트는 그 지역사회자체 이다. 따라서 지역사회 또한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받아들여져야 하는 것이다. 또한 어떤 지역이나 그들만의 특이한 성향과 그들만의 고민을 갖고 있으며 개인과 같이 자기결정권을 갖는다고 한다. 특히 사람들은 개발, 권위주의, 정치적 독재, 소외 등의 희생자가 되어 무력화되고, 상처받으며, 덜 중요함을 느낄 때 본질적으로 인간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어떠한 단체에의 소속되기를 원하고, 그 단체(또는 개인)에서 지지를 받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그것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그 문제에서 탈출하려고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것들을 주위에서 얻어질 수 있기를 바라며, 더 나아가서는 지역사회 내에서 어떠한 단체에의 소속 등을 원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서 왜 지역사회가 개별화되어야 하는가를 알 수 있다. 지역사회 문제에 대한 개입 중 지역사회조직은 주민들 스스로가 자신에처한 환경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또는 문제해결의 주체로 나설 수 있도록 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곧 주민이 직접 조직의 일원으로 함께 참여하며, 스스로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서는 스스로 설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지역사회조직의 선구자 솔 알린스키는 주민 스스로가 주어진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해 조직을 만드는데, 그들은 조직화를 통해 힘을 발전시키고 이때 개인적인 이익에서 공동의 이익을 추구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가난, 절망, 범죄, 재난, 불의와 부정의, 불평등과 같은 것은 주민들 스스로의 참여와 조직화를 통하여 해결 가능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그는 지역사회조직을 사회변화를 위한 수단이며 목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2. 지역사회의 개념 변화와 특징
2.1. 시대별 지역사회 개념의 변화

'지역사회(community)'라는 용어의 어원은 라틴어 'communis'에서 유래하였는데, '함께'라는 의미의 'com'과 '봉사한다'는 의미의 'munus'가 결합된 것이다. 중세 라틴시대에서 'communis'는 '동료나 성곽 내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총체'를 의미하였으며, 점차 '친하게 교제한다'는 의미로 발전하면서 '공동체 및 공동사회'라는 뜻을 가지게 되었다. 지역사회 개념이 사회과학의 문헌에 공식적으로 취급된 것은 1915년 갤핀(Galpin)이 중심부락을 둘러싼 상업과 서비스 지역이라는 개념을 통해 농촌 지역사회를 구획한 데서 출발한다. 사회학에서는 지역공동체라고 풀이하기도 하는데, 이는 생물의 종(種, species)이 지역적 또는 공간적으로 분포되어 한 곳에 모여 생활하는 모습에서 유래한 개념이다. 인간은 사람들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틀이 잡히는 사회조직의 맥락 속에서 한 지역적 테두리에 ...


참고 자료

곽민선 외(2012).지역사회 역량의 구성 영역.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강철희 외(2013). 지역사회복지실천론. 나남출판.
김만호(2009). 지역사회복지론. 양서원.
김범수, 2003, 『지역사회복지의 이해』, 현학사.
강맹진, 미국의 지역사회경찰활동 프로그램 운용 사례 -캘리포니아주 산마테오 카운티를 중심으로- Community Policing Program Operation Case of the U.S.A -Centering Sanmateo County California State-, 한국콘텐츠학회, 2010
https://www.nocutnews.co.kr/news/4861285, 2017년 10월 17일, 검색
대한민국 경찰청 공식계정, https://blog.naver.com/polinlove2/220480789735, 2015년 9월 14일, 검색
조병인, 경찰활동과 시민참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itizen Involvement in Police Operation, 한국형사정책연구원
http://www.nb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8277, 2019년 11월 07일, 검색
이상원, Australia 경찰의 범죄예방활동에 관한 연구-퀸스랜드주 경찰을 중심으로-, 한국경찰학회보 제7호
https://www.australianpolice.com.au/vips-the-facts/ (The Australian Police website)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