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폐암은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암 중 2위를 차지하는 중요한 질환이다. 최근 발표된 중앙암등록본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우리나라에서 247,952건의 암이 새로이 발생했으며, 그 중 폐암은 28,949건으로 전체 암 발생의 11.7%를 차지했다. 한국인 사인 분류 통계에 의하면 폐암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사망률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폐암은 조기발견이 어렵고 완치율이 낮은 암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폐암의 발생과 원인,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간호를 공부하고 폐암 환자의 건강 증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사례연구 기간 및 방법
본 사례연구는 20XX년 X월 XX일부터 20XX년 X월 X일까지 XX대학교병원 XX병동에서 진행되었으며 해당 기간 중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사례 관리 보고서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객관적, 주관적 자료는 EMR에 기록된 내용과 대상자 관찰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병원 기록에서 여러 검사 결과 수치와 주호소 등을 파악하고 대상자의 간호 문제를 도출하여 그에 따른 우선순위를 내려 간호계획을 세우고 중재하여 적절히 수행되었는지 평가하였다.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대상자 이00은 65세 남성으로 폐암 진단을 받은 환자이다. 2021년 10월 20일 발열, 전신 통증 및 기침 악화로 응급실을 경유하여 입원하였다. 과거력상 2011년 위암 진단 후 위부분절제술을 시행하였고, 2020년 3월 비소세포폐암 진단을 받고 방사선치료, 항암화학요법 등을 시행 중이다. 최근 1개월 간 2kg의 체중 감소가 있었고, 식욕부진과 오심, 구토로 인해 하루 2회 1-2숟가락 정도의 식사만 가능한 상태이다.
입원 당시 활력징후는 혈압 134/83mmHg, 맥박 80회/분, 호흡 20회/분, 체온 36.5℃로 안정적이었다. 전반적인 쇠약감과 간헐적인 두통, 어지러움증을 호소하였고, 특히 누웠을 때 기침이 심해지는 양상이었다. 폐 청진 시 수포음이 청취되었다. 복부 부위에 만성적인 통증을 호소하였고, 통증 점수 5점으로 측정되었다.
검사 결과, 혈액검사에서 백혈구 3.87x10^3/μL, 적혈구 3.99x10^6/μL, 혈색소 13.0g/dL로 감소되어 빈혈 소견을 보였다. 전해질 및 기타 생화학 검사 결과는 모두 정상 범위였다. 요검사에서는 특이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대상자는 의식이 명료하며 의사소통이 원만한 편이었다. 현재 상황에 대해 불안정한 모습을 보였으며, 예후에 대한 걱정을 표현하였다. 가족 구성원은 아내, 딸, 아들이며 주보호자는 아내이다. 평소 술과 담배를 하지 않았으나, 현재 식욕 저하와 오심, 구토로 인해 식사량이 감소한 상태이다.
3.2. 간호진단
주요 간호진단은 폐 질환과 관련된 만성통증, 항암요법으로 인한 복합요인(오심, 구토,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이다.
폐 질환과 관련된 만성통증은 지속적으로 복부 전반의 통증을 호소하며, 통증 수준이 NRS 6점으로 중등도 이상이다. 대상자는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제 투여와 통증 부위 마사지 등의 보조적 방법을 요구하고 있다.
항암요법으로 인한 복합요인(오심, 구토,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은 최근 1개월간 체중이 2kg 감소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