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실험 목적 및 이론
1.1. 실험 목표
이 실험의 목적은 기체 중의 휘발성 액체가 한 방향으로 증발하는 일방 확산에 대한 실험을 행하여 물질 이동속도와 확산계수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확산의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다. [1]
기체(B) 중에 휘발성 액체(A)만이 한 방향으로 확산하는 일방 확산인 경우, 물질이동속도와 확산계수를 측정하여 확산 메커니즘을 분석할 수 있다. 아세톤의 확산 특성을 실험적으로 관찰하고, Fick's law, 일방 확산 이론, 몰 확산계수 및 확산계수 유도식 등을 통해 확산 현상을 이해할 수 있다. [1]
이를 통해 분자량과 온도가 기체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실험 방식에 따른 차이를 논의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물질전달 메커니즘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1,3]
1.2. 아세톤 확산의 Fick's law
정상상태에서의 Fick's first law에 따르면, 단위시간당 단위면적을 지나는 성분 A의 확산속도(N_A)는 성분 A의 농도 구배(dC_A/dz)에 비례한다. 이는 다음과 같이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N_A = -D_AB (dC_A/dz)
여기서 D_AB는 성분 A와 B 사이의 분자 확산계수이다. 이 식을 변형하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N_A = (D_AB (C_A1 - C_A2)) / (z_2 - z_1)
이때 C_A1과 C_A2는 각각 확산 방향의 양 끝단에서의 성분 A의 농도이고, z_1과 z_2는 그 지점들 사이의 거리이다.
또한 이 식은 압력 차이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도 있다.
N_A = (D_AB (p_A1 - p_A2)) / (RT(z_2 - z_1))
여기서 p_A1과 p_A2는 각 지점에서의 성분 A의 분압이다.
이와 같이 Fick's first law는 농도 구배나 압력 차이를 통해 성분 A의 확산속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는 기체나 액체, 고체 내에서의 확산 현상을 설명하는 데 널리 이용되는 기본 원리이다.
1.3. 일방 확산 이론
기체(B) 중에 휘발성 액체(A)만이 한 방향으로 확산하는 일방 확산의 경우, 물질이동속도 N_A는 Fick의 제1법칙과 상태방정식을 통해 유도할 수 있다.
Fick의 제1법칙에 따르면, 단위 시간당 단위 면적을 통과하는 성분 A의 확산 속도는 농도 구배에 비례한다. N_A = -D_{AB} * (dC_A/dz)이다.
여기서 성분 A의 농도 C_A는 상태방정식 C_A = P_A/RT 에 따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N_A = -D_{AB} * (dP_A/dz) / RT 로 나타낼 수 있다.
만약 액체(A)에 기체(B)가 녹지 않는다면, 확산관 내에서 성분 B의 이동이 없는 일방 확산으로 볼 수 있다. 이 경우 N_B = 0이 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