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회전근개 파열의 연구 필요성 및 목적
어깨는 우리 몸에서 가장 활동량이 많고 가동 범위가 넓은 부위이다. 어깨는 유일하게 360도 회전하는 관절로, 하루 평균 3000~4000회 사용될 만큼 움직임이 많다. 이처럼 활동성이 많은 부위라서 그만큼 부상에 취약하고, 사용량도 많다보니 나이가 들수록 어깨에 이상이 생기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특히 어깨를 많이 사용하는 골프나 테니스 등의 운동을 무리하게 했을 경우에는 어깨충돌증후군, 회전근개파열 등이 발생할 수 있다.
과거에는 50~60대의 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에는 어깨 사용이 많은 레포츠를 즐기는 젊은층이 늘면서 환자의 연령층도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사례연구를 통하여 회전근개 파열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대상자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파악하여 이에 따른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여 치유를 촉진하고 추후에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게 하는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1.2. 회전근개 파열의 개념 및 특징
회전근개는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어깨관절의 앞, 뒤와 상부를 싸고 있는 4개의 근육 및 건(힘줄)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상완골의 대, 소결절에 부착되어 있다. 근육은 상지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할 때 외전과 회외운동을 돕는다. 회전근개의 작용 합력은 관절와(관절오목)에서 상완골두에 작용하여 관절을 안정시키며, 삼각근의 근력이 작용할 때 전단력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팔의 원활한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근개 파열은 힘줄의 퇴행성 변화, 부상 등으로 어깨를 들고 돌리는 힘줄이 끊어져 통증이 있고 팔을 움직이는 힘이 약해지는 것이다.
2. 회전근개 파열에 대한 문헌 고찰
2.1. 정의
회전근개(rotator cuff)는 어깨와 팔을 연결하는 어깨관절의 앞, 뒤와 상부를 싸고 있는 4개의 근육 및 건(힘줄)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근육은 상지를 들어 올리는 동작을 할 때 외전과 회외운동을 돕는다. 회전근개의 작용 합력은 관절와(관절오목)에서 상완골두에 작용하여 관절을 안정시키며, 삼각근의 근력이 작용할 때 전단력으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팔의 원활한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회전근개 파열은 힘줄의 퇴행성 변화, 부상 등으로 어깨를 들고 돌리는 힘줄이 끊어져 통증이 있고 팔을 움직이는 힘이 약해지는 것이다.
2.2. 원인
낙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이다. 어깨관절 전방탈구가 발생하여 회전근개가 손상될 수 있다이다. 과도한 사용, 특히 전혀 사용하지 않다가 갑자기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려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이다.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회전근개 부분의 혈액순환이 저하되어 퇴행성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이다. 팔을 뻗은 상태에서 넘어질 때 회전근개에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다이다. 어깨 힘줄의 점차적인 약화, 특히 어깨 충돌 시 회전근개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염증과 파열이 일어날 수 있다이다. 치료를 하지 않고 방치하여 염증이 악화되거나 만성적으로 근육이 퇴행되어 파열이 발생할 수 있다이다. 좋지 않은 자세를 취하거나 팔을 딛고 넘어졌을 때, 무거운 물건을 들었을 때 회전근개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염증과 파열이 일어날 수 있다이다. 특히 야구 투수나 수영 선수, 테니스 선수, 목수 등의 직업군에서 많이 발생한다이다.
2.3. 병태생리
회전근개는 연령 증가에 따라 퇴행성 변화를 겪는다. 젊은 성인은 대개 낙상으로 인해 또는 공을 던지거나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릴 때 회전근개가 찢어지고, 노인은 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