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서론
심근경색증은 관상동맥 폐색으로 인하여 심근 조직에 산소 공급이 부족하여 발생하는 심각한 심장 질환이다. 심근경색의 주요 원인은 높은 나이,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흡연, 비만과 같은 위험 요인들이며, 이로 인해 관상동맥 내 죽상경화증이 진행되어 혈관이 좁아지거나 폐쇄되어 발생한다. 심근경색 환자의 임상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가슴 통증, 호흡 곤란, 발한, 구역감 등이 나타나며, 이를 신속하게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심근경색 환자의 치료 방법으로는 스텐트 삽입술, 관상동맥 우회술 등의 수술적 치료와 함께 약물 치료가 병행되며, 수술 이후에도 지속적인 재활 및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심근경색증의 병태생리, 증상,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살펴보고, 특히 수술 후 관리와 재활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자 한다.
2. 간호 사정
2.1. 간호력(Nursing history) 정보
55세 남자 최 씨는 회사 임원으로 최근 6개월 전부터 외출이나 과로 시 가끔 가슴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10년 전 고혈압 진단을 받고 외래를 통하여 약물치료를 받고 있었으나 최근 6개월 동안 바쁜 일정으로 주치의를 찾아오지 않았다. 10월 1일 새벽 2시경 응급실로 실려 왔으며, 가슴 통증, 발한, 호흡곤란, 체한 것 같은 가슴 답답함을 호소하였다. 키 170cm, 몸무게 95kg이며 콜레스테롤 수치가 280으로 높고, 최근 회사 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으며 평소 바쁜 일정으로 운동은 거의 하지 않는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었다. 부인의 말로는 최 씨가 최근 약 처방도 받지 않고 아예 약을 끊고 지냈다고 한다.
2.2. 신체사정
신장 167cm이다. 체중 85kg이다. 체온은 38.5℃이다. 맥박은 102회/분이다. 혈압은 188/96mmHg이다. 가슴에 심한 통증으로 숨쉬기가 힘들어하고 있다. 식사 후 가끔 속이 쓰리고 아프다. 언급된 바가 없어 청진, 촉진 및 타진에 대한 내용은 기술되지 않았다.
2.3. 진단적 검사(Lab data)에 대한 결과 및 정보
EKG (검사일 3월 20일) 검사 결과에서 ST elevation과 wide QRS가 관찰된다. ST elevation은 심근경색증 시 나타나는 전형적인 소견이며, wide QRS는 심근의 손상으로 인한 비정상적인 심전도 소견이다. 이러한 검사 결과는 대상자가 심근경색증을 앓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대상자의 혈압이 188/96mmHg로 매우 높은 상태인 것으로 확인된다. 이는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일 가능성이 크며, 심근경색증의 위험 요인으로도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자의 혈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4. 질병에 대한 기술(Description of disease)
심근경색증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