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실습에서 초급 수준의 학습자에게 "무슨 음식을 좋아해요?"라는 문장으로 수업을 진행하려고 해요. 모의 수업 계획서를 작성해주세요

  • 1
  • 2
  • 3
  • 4
  • 5
  • 6
>

상세정보

소개글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실습에서 초급 수준의 학습자에게 "무슨 음식을 좋아해요?"라는 문장으로 수업을 진행하려고 해요. 모의 수업 계획서를 작성해주세요"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실습 계획서 소개
1.1. 실습 기관 소개
1.2. 실습 기관의 연간 학사 일정
1.3. 실습 기관의 교육과정
1.4. 실습 기관의 한국어 교재 소개

2. 수업 주제 및 내용
2.1. 실습할 수업의 유형 및 단계
2.2. 실습할 수업에 대한 계획

3. 실습에 임하는 자세 및 노력
3.1. 실습에 임하는 자세
3.2. 실습을 통해 되고 싶은 '좋은 한국어 선생님'이란

4. 참고 문헌 및 교재

5. 실습에 대해 궁금한 사항 및 건의 사항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습 계획서 소개
1.1. 실습 기관 소개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Institute of International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은 1970년에 설립되어 개원 50주년을 앞두고 있는 한국어, 외국어 전문 교육 기관이다. 이 기관은 서울에 위치하고 있으며, 초, 중, 고급 모두를 운영하는 총 20개의 과정을 가지고 있다. 교원 20명, 시간강사 120여 명, 행정인력 15여 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 4회의 10주 정규과정과 봄, 여름 3주 단기과정, 6주 집중과정, 특별과정의 한국어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경희대학교 학부생, 대학원생뿐만 아니라 지역 주민이 수강할 수 있는 다양한 외국어 학습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한국어과정은 1993년 개설 이래 지난 25년간 진행되어 왔으며, 한국어를 수료한 외국인과 재외동포가 50,000여 명 이상 배출되었다.


1.2. 실습 기관의 연간 학사 일정

학기명 기간 비고
봄 정규 3.30(화) ~ 6.10(목) 일 4시간, 10주, 200시간 (주5일)
여름 정규 6.17(목) ~ 8.25(수) 일 4시간, 10주, 200시간 (주5일)
가을 정규 9.30(목) ~ 12.8(수) 일 4시간, 10주, 200시간 (주5일)
겨울 정규 12.15(수) ~ 2022.2.25(금) 일 4시간, 10주, 200시간 (주5일)

정규 과정은 만 18세 이상 외국인 및 재외 교포를 대상으로 하며, 봄과 여름에는 3주 및 6주간의 단기과정도 진행한다. 또한 해외 대학 및 외부 기관의 요청에 따라 맞춤형 특별과정과 위탁과정도 개설한다.


1.3. 실습 기관의 교육과정

경희대학교 국제교육원의 한국어 프로그램은 초급1-고급2의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단계의 교과목은 문법,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5개 영역으로 구성되며, 주당 5일 4시간씩 총 20시간의 수업이 진행된다. 한 차시 수업 시간은 50분이다. 초급1-고급2 단계의 각 과목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법 교과목은 학습자가 반드시 익혀야 할 문법 항목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습문제...


참고 자료

위키백과
박영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한국문화론, 한국문화사, 2002.
안경화, 한국어교육의 연구
허재영,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이해와 탐색

주의사항

저작권 EasyAI로 생성된 자료입니다.
EasyAI 자료는 참고 자료로 활용하시고, 추가 검증을 권장 드립니다. 결과물 사용에 대한 책임은 사용자에게 있습니다.
AI자료의 경우 별도의 저작권이 없으므로 구매하신 회원님에게도 저작권이 없습니다.
다른 해피캠퍼스 판매 자료와 마찬가지로 개인적 용도로만 이용해 주셔야 하며, 수정 후 재판매 하시는 등의 상업적인 용도로는 활용 불가합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