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복강경 담낭절제술 개요
1.1. 담낭의 해부와 생리
담낭은 인체의 서양배 모양의 주머니로, 간의 왼쪽엽과 오른쪽엽 사이의 오목한 곳에 붙어 있다. 담낭의 길이는 약 7-10cm이고, 지름은 약 2.5cm이며 30-50ml 정도의 담즙을 저장할 수 있다. 간에서 분비된 담즙은 담낭에서 농축되어 저장되다가, 소화 과정에서 필요할 때 십이지장으로 분비된다. 담즙에는 담즙산, 중탄산염, 담즙색소, 콜레스테롤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중 담즙산은 지방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한다. 지방은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담즙 내 담즙산의 유화 작용으로 인해 물에 잘 녹을 수 있는 상태가 되어 소화되고 흡수될 수 있다. 따라서 담낭과 담즙은 지방 소화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간관을 통해 담낭으로 흘러들어가 농축되어 저장되다가, 필요할 때 다시 담도를 거쳐 십이지장으로 배출되어 지방 소화를 돕는다. 이처럼 담낭은 담즙의 생성, 저장, 배출 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이라 할 수 있다.
1.2. 급성 담낭염의 병태생리
급성 담낭염은 담관의 폐색에 의해 나타나는 질환이다. 담관이 막히면 담낭 팽만이 유발되고, 이차적으로 정맥성·림프성 배액 장애, 세균 증식, 국소적인 피부 자극 또는 침윤, 허혈부위 악화 등이 발생한다.
염증이 있는 담낭벽은 부종이 있고 딱딱하며, 괴사되는 경우도 있다. 담낭에 농이 있는 상태를 담낭축농증이라 하며, 이는 심각한 패혈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급성 담낭염이 재발하면 담낭벽의 섬유화를 유발한다. 치료되지 않은 급성 담낭염의 합병증으로는 패혈증, 담낭의 허혈·염증·유착·괴사·천공, 담낭 주위 농양, 누공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급성 비결석성 담낭염은 담석 폐쇄와 무관하게 발생하는데, 심한 외상, 화상, 수술, 산욕기, 세균성 패혈증, 심혈관 질환, 결핵, 육종증 등과 관련되어 발생한다. 비결석성 담낭염은 괴사와 천공 발병률이 조금 더 높다는 특징이 있다.
1.3. 복강경 담낭절제술의 적응증
담석, 종양 혹은 담낭의 기능 이상 등으로 인해 담낭관이 부분적이거나 완전히 좁아져 담낭 내에 염증이 발생한 경우 복강경 담낭절제술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적응증으로는 증상이 있는 담석증, 무증상 담석증, 담낭염, 담낭용종 및 선근종증, 담낭암 의심 등이 있다. 증상이 있는 담석증의 경우 소화불량, 우상복부 및 명치 통증이 있으며, 담석이 3cm 이상이거나 담낭벽에 석회화가 있는 경우, 담낭용종과 함께 존재하는 경우 수술이 필요하다. 급성 담낭염 환자의 경우 발열, 오한, 황달, 통증 등의 증상이 있으며 복강경 담낭절제술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또한 건강검진 시 발견된 1cm 이상의 담낭용종이나 선근종증, 담낭암이 의심되는 경우에도 수술적 치료가 적응증이 된다. 이처럼 다양한 담낭 관련 질환에서 복강경 담낭절제술은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되고 있다.
2. 복강경 담낭절제술의 진단 및 검사
2.1. 진단 절차
담낭의 급성 염증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검사 방법을 활용한다. 먼저 신체 검진을 통해 상복부의 압통과 우상복부의 종괴 등을 확인한다. 또한 복부 초음파 검사를 시행하여 담낭벽의 비후, 담낭 내 담석 유무 등을 확인한다. 이와 함께 혈액 검사를 통해 백혈구 증가, C-반응성 단백(CRP) 상승 등의 염증 반응을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