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아동간호실습 소아폐렴 질병고찰 사례보고서"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소아폐렴의 정의
2.2. 소아폐렴의 원인과 증상
2.3. 소아폐렴의 진단 및 검사
2.4. 소아폐렴의 치료와 간호
3. 간호과정
3.1. 간호사정
3.1.1. 일반적 정보
3.1.2. 질병력 및 가족력
3.1.3. 신체 사정
3.1.4. 발달 사정
3.2. 간호진단
3.3. 간호계획 및 수행
3.3.1. 감염 관리
3.3.2. 호흡기능 증진
3.3.3. 영양 및 수분 공급
3.3.4. 가족지지
3.4. 간호평가
4. 논의 및 제언
5. 결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소아폐렴은 폐포와 세기관지와 같은 폐실질조직에 부종을 초래하는 염증과정이다. 이는 주로 감염에 의해 일어나지만, 비감염성 원인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소아에게 빈번하게 발생하는 소아폐렴은 발열, 기침, 가래 등의 호흡기 증상과 함께 청진상의 이상소견이나 흉부 방사선의 이상 소견이 관찰되는 질환이다.
미국의 보고에 따르면, 매년 5세 미만의 소아 1,000명 중 약 40명(4%)에서 폐렴이 발생하고 5~14세 소아 1,000명당 약 15명에서 발병한다. 이처럼 소아폐렴은 매우 흔한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를 하면 대부분 회복이 가능하여 단기간 입원으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어린 아이의 경우 좋아지는 속도가 느린 편이어서 주의 깊은 간호가 필요하다.
이번 연구에서는 소아폐렴의 병태생리, 원인, 증상, 진단 및 검사, 치료와 간호에 대해 고찰하고, 실제 입원한 소아 환자의 사례를 바탕으로 간호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아폐렴 환자의 효과적인 간호 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이론적 고찰
2.1. 소아폐렴의 정의
폐렴은 폐포와 세기관지와 같은 폐실질조직에 부종을 초래하는 염증과정이다. 특히, 폐포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폐렴은 폐포내로 수분을 이동시켜 저산소혈증을 유발한다. 폐렴은 주로 감염에 의해 일어나지만, 비감염성 원인에 의해서도 일어날 수 있다. 폐렴은 아동기에 흔히 발생하며 특히 영아와 유아에게 빈번하다. 폐렴은 대엽성 폐렴, 기관지 폐렴, 간질성 폐렴 등으로 구분된다. 대엽성 폐렴은 한 엽의 전부 또는 일부가 침범되며, 양쪽 폐가 모두 침범되면 양측 폐렴 혹은 이중폐렴이다. 기관지 폐렴은 말단 세기관지에서 시작되며 점액화농성 삼출액으로 막히며 소엽 근처에서 경화된 반점상 침윤을 형성해 소엽성 폐렴이라고 한다. 간질성 폐렴은 주로 폐포벽, 기관지 주변과 엽간의 조직에 염증과정이 한정되어 있다.
2.2. 소아폐렴의 원인과 증상
폐렴은 공기여과, 흡입공기의 가습과 가온, 후두개 개폐, 기침반사, 점액섬모 청결작용, IgA의 분비 및 폐포 대식세포의 방어작용 등의 정상 방어기전의 손상으로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병원체가 기도점막을 침입하여 폐포에서 번식하면서 시작되며, 균이 번식한 자리에 수분과 삼출물이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액체는 세균을 쉽게 다른 폐포로 이동하게 하여 감염을 확산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소아폐렴의 흔한 원인균은 세균성과 바이러스성으로 나눌 수 있다. 세균성 폐렴의 경우 폐렴사슬알균, A군 사슬알균, 포도알균, 마이코플라스마, 클라미디아 등이 원인이 된다. 바이러스성 폐렴은 RS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라이노바이러스, 인플루엔자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 등이 주요 원인이다. 이외에도 백일해균, B군 사슬알균 등도 세균성 폐렴을 유발할 수 있으며, 면역 저하 환자에서는 곰팡이에 의한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소아에서의 폐렴 증상은 주로 기침, 콧물, 미열 등 감기와 유사한 증상에서 시작되지만, 세균성 폐렴의 경우 고열과 오한이 동반될 수 있다. 폐렴이 진행되면 호흡수가 증가하고 흉곽 함몰이나 코 벌름거림을 보이며, 심할 경우 청색증이 동반될 수 있다. 어린 아이들의 경우 기침하면서 구토하는 경우가 흔하고 가슴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또한 공기를 들이마셔서 나타나는 위팽만과 마비성 장폐쇄로 인한 복부 팽만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2.3. 소아폐렴의 진단 및 검사
감염성 폐렴 진단은 기침, 가래, 발열이 동반되면서 흉부방사선 촬영에서 폐조직 침윤이 확인되면 가능하다. 체온이 38.5도 이상이고 화농성 객담 및 기도 분비물 증가가 나타나며, 혈액배양검사에서 세균성 폐렴의 균혈증을 파악할 수 있다. 동맥혈 가스 분석을 통해 저산소혈증을 확인할 수 있고, 백혈구 증가나 감소를 확인할 수 있다. 흉부 X선 촬영에서 폐부분 음영 증가가 관찰되며, 항균제 사용 후 임상증상 호전으로 폐렴을 확진할 수 있다. 객담 배양 검사와 항생제 민감성 검사, 폐 CT 촬영 등의 검사도 활용된다. 소변 항원 검사를 통해 폐렴구균과 레지오넬라 폐렴을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검사들을 통해 폐렴의 원인균을 확인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감염성 폐렴 외에도 호산구성 폐렴, 폐출혈,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무기폐, 약물유발성 폐렴, 폐색전증, 교원성질환의 폐침윤 등 다양한 질환들과 감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흉부 X선 검사, 폐 MRI, 혈액검사, 객담 검사 등이 이용된다. 특히 폐렴으로 오인되는 폐색전증의 경우 영상의학 검사에서 폐동맥 폐쇄나 폐혈관 감소 소견을 통해 감별할 수 있다.
종합하면, 소아폐렴의 진단에는 발열, 호흡기 증상과 함께 객담 배양, 혈액 검사, 영상의학 검사 등이 활용되며, 감별진단도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정확한 원인균을 확인하고 효과적인 치료...
참고 자료
그림1
자생한방병원한방의학정보https://www.jaseng.co.kr/etc/healthInfoList.asp?Location_Branch_Code=10000 (2024.08.13)
그림2 국가건강정보포털 의학정보. https://health.kdca.go.kr/healthinfo/.(2024.08.13)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 (2024.08.13)
아동건강간호학Ⅱ, 김효신 외, 수문사, 2020, chapter 26 호흡기장애 아동, 402-407p
성인간호학(상) 제 8판, 유양숙 외, 현문사. 2022. chapter 14 호흡기장애 대상자 간호 550-553p
김환수. 마크로라이드 저항성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어디에 와 있는가?.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2023. 165-166p
원장원. 지역사회획득 폐렴.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10. 503-510p
김원동. 폐렴상 질환의 폐렴과의 감별진단.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1996.1-6p
비판적 사고와 간호과정, 계측문화사, 박금주 외
기본간호 중재와 술기, 수문사, 송경애 외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http://www.snuh.org/health/nMedInfo/nList.do. (2024.08.16)
아동건강간호학Ⅱ, 김효신 외, 수문사, 2020, chapter 26 호흡기장애 아동, 402-407p
성인간호학(상) 제 8판, 유양숙 외, 현문사. 2022. chapter 14 호흡기장애 대상자 간호 550-553p
약학정보원 이미지, https://www.health.kr/ (2024.08.16.)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수문사, 이수연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유양숙 외 9명
약학정보원, 어린이용타스펜정160mg(아세트아미노펜)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540A0324
약학정보원, 아제토건조시럽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5100600001
약학정보원, 보령뮤코미스트액(아세틸시스테인)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BBBBB0373
약학정보원, 프레디솔125mg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140A0118
약학정보원, 한미세포탁심나트륨주사2g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9102200039
서울대학교병원, 소아 폐렴, naver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19740&cid=51007&categoryId=51007
약학정보원, 코니톱시럽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7120400015
약학정보원, 애니펜시럽
https://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0020200085
아동건강간호_장군자 외_수문사
질병관리본부_2007년 소아 및 청소년 표준 성장도표
질병관리청_표준예방접종일정표
김진학 외(2013). 약리학. 서울: 정문각.
김태임 외(2007). 성장발달과 건강. 경기: 교문사.
김희순 외(2014). 아동청소년간호학Ⅰ,Ⅱ. 경기: 수문사.
임경춘 외(2012). 건강사정. 서울: 정담미디어.
차영남 외(2013).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간호과정록, 정문각
박소연, 주현옥, 아동낙상예방교육이 입원아동 보호자의 낙상관련 지식과 예방행위에 미치는 효과,한국간호교육학회지,2017, 초록.
이은희 외(2021). 비판적 사고에 기반한 간호과정. 고문사
서울대학교어린이병원, 진료질환정보, 폐렴.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 종양혈액과] 혈액검사.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4380,질병관리본부 국가건강정보포털 KCDC, 폐렴(소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