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대해설명하고본인이속한지역에있는지역사회협의체의다양한활동을조사하여서술하시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과 중요성
1.2. 본 연구의 목적
2. 본론
2.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개념 및 법적 근거
2.1.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정의
2.1.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법적 근거
2.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기능 및 구성
2.2.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기능
2.2.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2.3.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동 사례
2.3.1. 서울시 강동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2.3.2. 서울시 강남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2.3.3. 서울시 구로구 지역사회보장협의체
3. 결론
3.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성과와 과제
3.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발전 방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과 중요성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방자치제 시행으로 인한 지방분권의 과정에서 지역 중심의 사회복지 전달체계 구축의 핵심 기구로 부상하였다. 이는 단순히 기능의 중앙에서 지방으로의 이관이 아닌 공공, 민간, 시민사회의 참여를 통한 지역복지의 통합체계 구축을 의미한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주된 역할과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수립·이행·평가 등 지역사회보장의 주요 사항에 대해 민관이 협의하여 심의 및 자문하는 협치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의 복지 수요를 반영하고, 공공과 민간이 협력하여 지역 맞춤형 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지역사회 내 사회보장 관련 기관과 법인단체시설 간의 연계·협력을 강화하는 연계 기능을 한다. 이는 지역복지 서비스의 중복을 방지하고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셋째, 지역사회보장협의체 내 각 분과 간 통합·조정의 역할을 하며, 지역주민의 다양한 복지 수요를 반영한 통합적 서비스 제공체계를 지원하는 통합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의 보건, 복지, 고용, 주거, 교육, 문화, 환경 등 다양한 영역의 통합적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역 중심의 통합적 복지 서비스 제공, 지역자원 연계 및 활용, 민관 협력 강화 등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지역사회의 복지 수준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역복지 증진을 위한 필수적인 기구라 할 수 있다.
1.2. 본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과 중요성을 설명하고, 본인이 속한 지역의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동 사례를 조사하여 서술하는 것이다.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지역 복지 증진을 위해 민관이 협력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기구이다. 따라서 이를 통해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실제적인 기여를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2. 본론
2.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개념 및 법적 근거
2.1.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정의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전국 시·군·구 단위로 지역 내 사회복지사업의 중요한 사항과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심의, 건의하면서 사회복지와 보건과 관련해서 서비스를 제공하여 서로 협력하고자 하는, 즉 지역복지 활성화를 위해 민·관이 서로 협력하는 기구"이다.
2.1.2.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법적 근거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법적 근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제41조에 따르면, 시장·군수·구청장은 관할 구역의 사회보장급여에 관한 중요 사항과 지역사회보장계획을 심의·건의하기 위하여 지역사회보장협의체를 구성·운영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어서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5조와 제6조에서는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구성 및 운영에 대해 보다 자세히 규정하고 있다. 제5조에서는 대표협의체의 구성 요건과 임기 등을, 제6조에서는 실무협의체의 구성과 임기 등을 명시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각 지자체별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 조례」가 제정되어 있어, 그 지역의 특성에 맞는 협의체 구성과 운영에 관한 보다 구체적인 사항들이 규정되어 있다.
이처럼 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및 하위 법령, 그리고 각 지자체의 자체 조례 등을...
참고 자료
김흥주 저, 지역사회복지론(이론.현장.사례), 신정, 2023
2019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운영안내, 보건복지부, 2019
최찬옥 저,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거버넌스 활동에 대한 민간과 공공 사회복지사간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가천대학교, 2016
조추용, 김양이 외 2명, 지역사회복지론, 양서원, 2023
김윤배, 배의식 외 3명 저, 지역사회복지론, 공동체, 2023
최선희 저, 지역사회복지론(커뮤니티실천의 정체성·이론·실천사례),지식터, 2023
이경은 저 지역사회복지론, 양성원, 2022
한국사회보장정보원. (2023).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역할과 중요성. 한국사회보장정보원 출판부.
서울특별시복지재단. (2022). 서울시 지역사회보장협의체 활동 보고서. 서울특별시복지재단.
김진영. (2021).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기능과 발전 방향." 사회복지연구 35(2): 45-67.
지역사회복지론 교안
구로구청, <지역사회보장협의체>,
https://www.guro.go.kr/www/selectBbsNttList.do?bbsNo=684&key=2193&
이기호.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제도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2019. 강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