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파킨슨병 개요
1.1. 파킨슨병의 정의
파킨슨병은 신경계의 만성적이고 점진적인 질병으로써 질병과정이 매우 느린 진행성 신경 퇴행성 질환이다. 대부분 60대 이상에서 발병되며, 파킨슨병으로 인해 환자는 비정상적 자세, 근긴장의 장애, 불수의적 운동을 하게 된다. 임상적으로 환자는 보통 3가지 증상이 혼합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진전, 강직, 운동완서이다.
1.2. 파킨슨병의 발병 원인
파킨슨병은 정확한 발병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노화 등이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첫째, 유전적 요인의 경우 친척 중에 파킨슨병 환자가 있으면 발병률이 2배 정도 증가한다. 그러나 50대 이전에 발병하는 환자에게서만 유전적 요인이 깊은 관련이 있으며, 50대 이후 발병하는 경우는 유전적 요인과 관련이 없다. 둘째, 환경적 요인으로 마약성 물질 중 하나인 MPTP가 파킨슨병을 일으킬 수 있다. MPTP는 뇌의 교세포에 존재하는 monoamine oxidase-B에 의해 MPP+로 전환되어 도파민성 신경세포로 유입되고 미토콘드리아 DNA에 누적되어 신경세포 손상을 유발한다. 셋째, 노화의 경우 정상 노인에서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흑질의 도파민 신경세포가 줄어들게 되지만, 파킨슨병에서 도파민 신경세포의 사멸이 시작되는 부위는 다르기 때문에 노화만으로 발병 원인을 설명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파킨슨병의 다양한 발병 요인들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신경퇴행성 변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2. 파킨슨병의 증상 및 진행 과정
2.1. 주요 증상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경직이다. 파킨슨병 환자는 근육 긴장도가 증가하여 주로 목, 체간 및 사지의 굴곡근 부위에서 심한 경직을 보이며, 이로 인해 특징적인 굴곡성 체위를 나타낸다. 또한 마스크 같은 표정과 침 흘림이 동반되며, 수의적 동작이 느려지고 움직이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자세불안정이다. 파킨슨병 환자는 정상적인 체위 반사가 상실되어 자세가 고정되어 있으며, 균형을 유지하고 서 있는 것이 어렵다. 또한 발을 질질 끌며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머리는 앞으로 굽어지고 어깨는 웅크러지며, 척추는 전방으로 구부러져 있고 팔은 반쯤 구부린 채로 걸을 때도 흔들지 않는다.
셋째, 진전이다. 파킨슨병 환자의 진전은 한쪽 상지에서 시작되어 결국 사지로 모두 퍼지게 된다. 전형적인 진전은 엄지와 검지로 환약을 빗는 것 같은 리듬감 있는 앞뒤 움직임인 'pill rolling tremor'이다. 이러한 진전은 활동을 시작하면 감소하고 수면 시 사라지지만, 정서적 긴장이나 추위 등에 노출되면 심해진다.
넷째, 운동 불능증이다. 파킨슨병 환자는 능동적인 움직임의 상실 또는 결손을 보이며, 움직임을 시작하거나 움직임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고 느리다. 이로 인해 변비, 순환 정체, 욕창, 부동과 관련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파킨슨병의 주요 증상인 경직, 자세불안정, 진전, 운동 불능증은 환자의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초래하며, 점진적으로 악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2.2. 진행 단계
파킨슨병은 질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4단계로 분류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신체 한쪽에만 증상이 나타나며 기능적인 문제는 없거나 약간만 있다. 휴식 시 떨림이 일반적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신체 중심 부위나 신체 양측에 증상이 나타나며, 균형 손상이 없는 상태에서 경미한 몸통 가동성과 자세 반사 문제가 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자세의 불안정성이 증가하고 경-중도의 기능적 장애가 있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조작과 민첩성의 감소로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기능적 장애가 증가하며, 걷기가 가능하지만 자세 불안정이 증가한다. 마지막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침상과 휠체어에 활동이 제한되는 상태에 이르게 된다. 이처럼 파킨슨병은 서서히 진행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3. 파킨슨병의 진단
3.1. 영상 검사
파킨슨병의 진단을 위해 영상 검사가 활용된다. 자기공명영상(MRI)이나 단일광전자방출단층촬영(SPECT),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등의 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파킨슨병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환을 감별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영상 검사는 파킨슨병 자체를 진단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다른 이차성 파킨슨증의 원인을 밝히는 데 많이 활용된다. 또한 병의 진행 과정을 확인하는 데에도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