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칼 로저스 인간중심 상담이론 주요 개념"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소개
1.2.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발달과정
1.3.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철학적 기반
2. 주요 개념
2.1. 자아와 자기개념
2.2. 유기체와 현상적 장
2.3. 자기실현의 경향성
2.4. 충분히 기능하는 사람
3. 상담자의 태도
3.1. 진실성
3.2.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3.3. 공감적 이해
4. 내담자의 특성
4.1. 상담 초기 내담자의 특성
4.2. 상담 과정에서의 내담자 변화
5.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의의
5.1. 상담 영역에서의 의의
5.2. 다양한 분야에의 적용
6. 한계점
6.1. 현상학적 접근의 한계
6.2. 왜곡된 내용에 대한 고려 부족
7.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이론 소개
칼 로저스(Carl Ransom Rogers, 1902~1987)는 심리학사에 있어 분기점이 되는 인물이다. 로저스는 인간의 인간성에 근본을 두고 내담자를 중심으로 상담하고 분석하는 인본주의 심리학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심리치료를 의사가 환자를 진료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도록 상담자가 돕는 원조적 관계로 발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심리상담(counseling)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여, 정신과 의사를 통해 일방적으로 진행되는 기존의 심리치료에 반대되는 태도를 내세웠다. 로저스는 비지시적 상담(non-directive counseling)이라는 상담 방식을 도입한 미국의 심리학자이다. 비지시적 상담은 상담자가 내담자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감정적으로 동조하는 행동을 통해 내담자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는 단순히 듣는 행위로 끝나는 상담 방식이지만, 상담자가 소극적인 태도를 취해 내담자가 중심이 되어 내담자 중심 상담이 진행되므로 문제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고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문제의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1940년대에 비지시적 상담으로 명명되었던 이러한 인간상담 이론은 1950년대부터 로저스의 저서를 통해 내담자 중심 치료(client-centered therapy)라고 개칭되었으며, 추가적인 연구를 토대로 1970년대에 들어서 인간중심치료(person-centered therapy)로 발전하여 현대에서 명명하는 인간중심상담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와 같은 로저스의 행보는 심리치료 상담자의 전문 활동에 당위성을 부여하며 내담자 중심의 심리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여 칼 로저스가 노벨평화상 후보자로 이름을 올릴 수 있게 하였다. 로저스의 인간은 하나의 통합적인 생물학적 유기체이자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며 살아가는 과정에서 생리학적 기능뿐만 아니라 심리학적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는 주장을 펼친다.
인간은 생물학적 유기체로서 자아의 경험을 앞세워 외적인 조건과 내적인 가치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중요도를 평가하고 조절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일생을 살아가는 동안 자기 책임성과 조절성, 자율성, 사회성을 가지도록 발달하고 성숙해진다고 믿는다. 이러한 생각을 바탕으로 로저스는 인간은 자기실현을 향한 자연적인 지향을 보이며 이는 성장 경향성, 자기실현의 지향성 등으로 일컬어질 수 있고 자기실현이 인간의 삶의 핵심적인 목표라고 설명한다.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기저에는 인간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여 내담자가 스스로 발전을 통해 문제가 해결될 수 있도록 돕는 인본주의가 자리잡고 있다. 로저스는 인간의 발달과 성숙을 중심에 두고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여겼다. 내담자가 스스로 문제를 찾고 문제와 직면하여 극복할 수 있는 것에 목적을 두는 만큼, 상담사가 자신의 이야기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내담자를 지지하는 방식을 취하고 이를 위해 상담사에게 일치성, 긍정적 수용, 공감적 이해의 자세가 요구된다.
1.2.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발달과정
칼 로저스(Carl Ransom Rogers, 1902~1987)는 1942년 상담분야에서 기존의 정신분석적인 접근이나 지시적인 접근에 대비되는 '비지시적 상담기법'(non-directive method)을 제안하였다. 이는 내담자의 경험과 감정에 초점을 두는 진실성,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공감적 이해로 대표되는 새로운 상담 관계를 의미한다. 이후 1951년에는 '내담자중심 치료법'(client-centered th...
참고 자료
Carl R. Rogers, “칼 로저스 상담의 원리와 실제 진정한 사람되기", 학지사, 2010.
신환호 외 6명(2015). 비당뇨병 환자와의 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당뇨병 환자의 삶의 질;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2).
최윤경 외, 『간호이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