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중어중문학과 졸업논문"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중어중문학과 졸업논문
1.1. 원대 산곡과 잡극에 대한 기본 인식
1.1.1. 산곡의 정의
1.1.2. 산곡의 배경 및 발전 과정
1.1.3. 잡극의 정의
1.1.4. 잡극의 배경 및 발전 과정
1.2. 관한경의 작품 세계
1.2.1. 관한경의 생애
1.2.2. 관한경의 소령 해석 및 분석
1.2.3. 관한경의 잡극 해석 및 분석
1.3. 관한경이 중국 문학사에 미친 영향
1.4. 결론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중어중문학과 졸업논문
1.1. 원대 산곡과 잡극에 대한 기본 인식
1.1.1. 산곡의 정의
원대 산곡은 당나라와 오대의 민간에 유행하던 노래에서 시작되었다. 이러한 짧은 노래를 소령이라 하는데, 소령은 형식이나 내용에 있어 사와 유사한 점이 많다. 그러나 더 많은 내용을 노래하고자 하는 욕망에서, 둘 또는 세 개의 소령을 연이어 한 곡의 노래로 만든 대과곡이 생겨났다. 대과곡은 유사한 서로 잘 어울리는 곡조를 합쳐 음조가 잘 연결되어 완전한 한 곡을 이루어야 한다. 여기에서 더욱 진일보하여 같은 궁조에 속하는 여러 개의 소령을 모아 한 조의 대곡을 이룩하고 투수라 하였다. 투수는 3,4곡으로 이루어진 짧은 것도 있지만, 34곡이 결합되어 이루어진 긴 것도 있다. 투수는 길이가 길기 때문에 서술적인 묘사 방법을 많이 쓰며, 복잡한 내용이나 고사를 노래하기에 편리한 형식이다. 한 투수의 노래들은 모두 같은 운으로 압운하고, 끝머리는 반드시 미성이 붙어 곡의 종결을 알려준다. 소령과 대과곡은 다 같이 민간가요에서 발달한 것이고 형식이나 내용도 비슷하나 실제로는 큰 차이가 있다. 소령은 여진족의 금나라와 몽고족의 원나라가 중국을 정복하고 지배하면서 그들의 음악에 의하여 변질된 민간에서 유행한 노래의 가사이다. 반면에 대과곡은 중당에서 시작되어 만당, 오대를 거쳐 북송에 이르러 크게 유행한 민간의 가요이지만, 이 시기는 중국문화의 전통이 존재하던 시기라서 외국의 것을 받아들이어 자기들의 음악과 문화를 높은 경지로 발전시킨 시대였다.
1.1.2. 산곡의 배경 및 발전 과정
원대 산곡의 배경 및 발전 과정은 다음과 같다.
원나라는 그들의 태조 징기스칸이 몽고에서 일어났던 송 영종의 개희 2년(1206)부터 원 순제의 지정 27년(1367) 명 태조 주원장에게 멸망당하기까지 약 160년간 중국을 지배했다. 몽고족은 사막의 유목민족으로 무력으로 천하를 제패했으나, 예악이나 문화는 우습게 여기는 민족이었다. 이에 경제적 번영 속에 사치와 오락을 일삼던 한족들은 비참한 지경에 놓이게 되었다. 그들은 관원을 뽑거나 사회생활을 함에 있어, 사람들을 첫째 몽고인, 둘째 색목인, 셋째 한인, 끝으로 남인의 네 등급으로 구분하여 대우했다. 과거는 태종 9년(1237)에 한 번 본 뒤로 근 80년 뒤인 인종의 연우 2년(1315)에야 이상과 같은 차별 대우 아래 다시 행해졌으니 한족의 지식인들은 거의 발붙일 곳도 없었다. 이에 유생은 10등급으로 나눈 백성들 중 거지 바로 윗 등급에 해당하는 9등급에 속하는 형편없는 존재였다.
원대에도 정통문학은 지배자들을 따르는 한족 지식인들에 의하여 지탱되었다. 요수·유인·오징·양재·조맹부·우집·범팽·계혜사 등이 고문과 시사로 볼 만한 작품을 남겼다. 그러나 금나라에서 이루어진 '곡'을 이어받아 새로운 문학으로 발전시킨다. 곡은 송나라의 '사'를 이어받아 여진족의 노래 가락으로 개량한 새로운 노래였는데, 몽고로 들어가서는 다시 몽고족의 가락도 보태어져 자리가 잡혔을 것이다. 중국 민간가요는 단순한 노래에서 역사적인 얘기나 전설을 그 지방에 유행하는 노래 가락에 말을 섞어서 연출하는 설창 또는 강창 형식으로 발전했고, 다시 서너 명이 모여 얘기에 나오는 인물로 분장하여 창과 대화를 섞어가며 연출하는 희곡 형식으로 발전하였다. 금나라에 새로 생겨난 곡은 노래 이외에 제궁조로도 발전하고 잡극으로도 발전하였는데, 몽고를 거쳐 원나라로 들어와서는 본시의 노래인 산곡과 잡극 두 갈래로 나뉘어 크게 발전한다. 이는 지식인들이 산곡과 잡극이라는 새로운 형식의 작품을 써서 그것만이 우리에게 전해지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민간에는 더욱 다양한 새로운 연예가 유행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어떻든 산곡은 중국의 새로운 형식의 시이고, 잡극은 새로운 형식의 희곡이다. 이를 합쳐 흔히 원대를 대표하는 문학이라 하여 원곡이라 하는데, 새로운 근대문학을 뜻하는 것이기도 하다.
1.1.3. 잡극의 정의
잡극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송대에는 1막물의 풍자극을 의미하였으며, 원대 이후에는 4막물의 가극을 의미하였다. 원대의 잡극은 특히 원곡이라 불렸다. 송대의 잡극은 당의 궁전에서 행해진 참군희가 발전한 것이며, 말니·인희·부정·부말이라는 4종의 배역에 필요에 따라 장고·장단의 배역을 추가하여 상연하였다. 명확한 내용이 있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으며, 특히 부정의 익살과 부말의 해학에 중점을 두었다. 원·명대의 가극에 삽입되어 상연된 여러 가지 예에서 볼 때, 잡극은 진실에 대한 예리한 눈으로 인간 또는 인생의 허위성을 강조하려는 의욕을 나타내며 때로는 희학을 진지한 풍자로 높인 작품을 상연하기도 하였다. 또한 궁정에서 잡극을 상연하여 위정자에 대해 경고하기도 하였다. 이 형태를 금조에서는 원본이라고 개칭하였다. 중...
참고 자료
유영. "왕홍(网红) 광고에 대한 반응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언론정보학과 광고학전공, 2018. 서울
장의녕 and 박현정. (2018). 인터넷 개인 방송 왕홍을 통한 제품 구매와 관련된 중국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10), 1-10.
웅자미, 「왕홍의 국적과 브랜드 인지도에 따른 한국 화장품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류애호도 조절변인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8
소효방, 「SNS 광고속성에 따른 광고효과: SNS 이용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Li, Huifeng. "중국 왕홍마케팅의 특성이 제품신뢰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서울
류칭이. "한국 쇼핑몰의 SNS특성이 SNS만족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2017. 서울
CHEN CHEN. "한국인 브이로거의 설득 의도가 중국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서울
이승윤·안정기, “평범한 사람들의 비범한 영향력, 인플루언서”, 넥서스, 2018
ZHANG ANYUAN. "한국기업의 왕홍 마케팅 특성이 중국소비자의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광주
장리리. "중국 왕홍3.0의 영향력 확대요인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부경대학교, 2021. 부산
TONG HAIYANG. "중국 틱톡 라이브 스트리밍에서 왕홍 유형에 따른 광고모델 속성이 해당 제품에 대한 광고태도 및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일반 왕홍과 왕홍 간부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2022. 충청북도
왕양. "왕홍(网红) 생방송 시청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0. 서울
왕영. "중국 소비자의 왕홍 라이브 판매방송 제품 선호도 및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서울
이동수. "중국 디지털 인플루언서와 소비자의 관계형성에 관한 연구." 국내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1. 서울
위소설. "중국 왕홍에 대한 지각된 가치, 준거집단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중국 20, 30대 소비자 중심으로." 국내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2018. 충청북도
강미준. "왕홍이미지의 구성요인이 중국 SNS 이용자의 구매의도, 브랜드 태도,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018. 서울
김학청. "왕홍경제의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9. 서울
WANG XIAQOUN. "왕홍 라이브 판매 방송에 대한 20대 및 30대 중국 소비자의 만족도 및 구매의도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1. 서울
뤼자후이. "중국내 ‘왕홍’(SNS 스타) 생방송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17. 서울
ASCENT, [인플루언서 마케팅 트렌드와 플랫폼], 2022.09.08., 김혜미 기자
常敬宇, 《汉语词汇与文化》, 北京大学出版社,1995年
鲁宝元, 《汉语与中国文化》, 华语教学出版社,1999年
温锁林, 《语言中色彩偏爱的文化美学阐释》, 山西大学学报,2004年,第5期
杨德峰, 《汉语与文化交际》, 北京大学出版社, 1999年
朱文俊, 《现代汉语语言与文化研究》, 北京语言学院出版社,1994年
suenaga tamio, 《色彩心理》, 韩国爱静出版社,2001年
《중국문학사》 김학주, 신아사
《중국문학 비평용어사전》 임종욱, 이회문화사
《두산백과》
《元代散曲硏究: 元代散曲의 형성을 중심으로》 김덕환, 도서출판하도락서
《<譯註>元史刑法志(一)》 박영철, 중국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