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부적절한 가족대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2. 가족건강사정
2.1. 가족구조 및 발달주기
2.2. 가족체계 유지
2.3. 상호작용 및 교류
2.4. 지지
2.5. 대처와 적응
2.6. 건강관리
2.7. 주거환경
2.8. 가족의 강점 및 단점
3. 가족간호진단
3.1. 부적절한 가족대처
3.2. 부적절한 생활양식
4. 우선순위 결정
5. 목표설정 및 간호계획
5.1. 부적절한 생활양식
5.2. 부적절한 가족대처
6. 가족간호수행
7. 가족간호평가
8.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호흡기 감염은 소아에게 가장 흔한 질병이다. 대부분 잠깐 앓고 지나가지만 드물게 합병증을 남겨 성인이 돼서도 문제가 되며 생명에 위협을 주기도 한다. 따라서 초기 진단과 치료뿐만 아니라 질병의 경과 및 합병증에 대한 예측도 중요하다. 급성 세기관지염은 영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하부호흡기 질환으로 실습 동안에도 Pneumonia와 함께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다. 그래서 이번 case study를 통해 급성 세기관지염에 대한 지식과 치료 및 간호에 대해 학습하고 적절한 간호진단을 내려 환아의 건강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2. 가족건강사정
2.1. 가족구조 및 발달주기
대상 가족은 노년기 가족으로, 생존한 가족 구성원은 대상자인 72세 여성, 40세 여성 딸 2명, 그리고 그들의 배우자와 자녀가 있다.
대상자는 1946년생으로 과거 남편과의 결혼생활을 통해 5자녀(3남 2녀)를 출산하였으나, 현재는 남편이 사망하였고 자녀 중 2명(딸 2명)만이 생존하고 있다.
대상자는 중졸의 학력을 가지고 있으며, 과거에는 가사와 양육을 맡아왔으나 현재는 직업이 없이 딸들의 경제적 도움으로 생활하고 있다.
Duvall의 가족발달 이론에 따르면, 대상자 가족은 노년기에 해당한다. 이 단계의 주요 발달과업은 역할 변화 수용, 신체적 쇠퇴에 대한 대처, 배우자와 친구의 죽음에 대처, 삶을 되돌아보고 통합하는 과정 등이다.
대상자의 경우 배우자 사별, 자녀들의 독립 등 가족 구조의 변화를 겪었으며, 고혈압, 관절염 등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에 직면해 있다. 또한 가족들과의 유대관계 변화와 역할 재조정을 경험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2. 가족체계 유지
부모와 자녀 간의 상호작용, 역할 분담, 가족 경제 등의 요소는 가족의 기능과 건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가족체계의 유지를 위해서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균형잡힌 관계와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먼저, 가족 구성원들의 역할과 책임 분담이 중요하다. 특히 맞벌이 부부와 같이 시간적 여유가 부족한 가정의 경우 가사 및 자녀 양육 등의 역할을 합리적으로 분배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피로도를 줄이고 가족 간 갈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가족의 경제적 기능도 고려해야 한다. 부모의 직업과 수입원은 가족의 생활 수준과 안정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고려하여 합리적인 가족 예산과 자금 관리가 필요하다.
이와 함께 가족 구성원의 건강과 복지 증진을 위한 노력도 중요하다. 가족 내에서 질병이나 장애가 발생할 경우, 구성원들의 정서적 지지와 돌봄이 필수적이다. 또한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예방 활동을 통해 가족 구성원 모두의 건강을 관리해야 한다.
이처럼 가족체계의 유지를 위해서는 구성원 간의 협력적인 관계, 합리적인 역할 분담, 경제적 안정성 확보, 가족 건강관리 등의 다양한 요소가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가족 구성원 모두가 조화롭고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을 것이다.
2.3. 상호작용 및 교류
대상자는 막내딸과 함...
참고 자료
김조자 외 (2014).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경기: 수문사
드럭인포, www.druginfo.co.kr/index.aspx
질병관리본부, http://health.cdc.go.kr/health/Main.do
국민고혈압사업단 사이트, http://www.hypertension.or.kr/
김춘미 외 (2017), 『지역사회보건간호학』, 수문사
박인혜 외 공저(2017), 지역사회간호학2, 현문사
지역사회간호학 실습지침서
아동건강회복간호(2018), 김미예 외, 수문사
아동건강증진간호(2018), 김미예 외, 수문사
[네이버 지식백과] 급성 모세기관지염 (중앙대학교병원 건강칼럼)
KIMS : 대한민국의약정보센터 홈페이지(http://www.kimsonline.co.kr)
(간호진단 정의와 분류 제 11판 20182020) Nursing Diagnoses 20182020
간호사를 위한 검사이야기(2013). 권혜숙, 채석래, 도서출판 의학서원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2018). 원종순, 현문사
정신간호총론 제 8판(2020). 김선아 외, 수문사
지역사회간호학(2020), 전미순 외, 고문사
가족회의 어떻게 해야 할까?, 김종성,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부모공동양육을 위한 육아지원 정책, 이영환 외, 육아정책연구 제 3권 1호
중환자실 입원환자 가족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대처에 관한 연구, 김은성 외, 임상간호연구 제13권 13호
입원 환아 가족의 대처, 탁영란 외, 아동간호학회지 제6권 제2호
아동 및 청소년 관련장애, 김인홍,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학령전기 입원 아동의 건강 및 개념에 관한 연구, 성미혜, 인제대학교 간호학과
입원 아동의 낙상 위험 예측 도구, 신현주 외, 서울대학교벼우언 소아간호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