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자폐장애교육 매체 속 상호작용 특성 및 지원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자폐성 장애의 정의와 특성
1.2.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어려움
1.3. 매체를 통한 자폐성 장애 이해 및 지원의 필요성
2. 본론
2.1. 자폐성 장애아동의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특성
2.1.1. 드라마에 나타난 자폐성 장애 특성
2.1.2. 영화에 나타난 자폐성 장애 특성
2.2. 자폐성 장애아동을 위한 지원 방안
2.2.1. 사회적 기술 지원 방안
2.2.2. 의사소통 지원 방안
2.2.3. 감각통합 치료
3. 결론
3.1. 연구 요약
3.2. 자폐성 장애 표현의 다양성 및 균형 인식의 필요성
3.3. 자폐성 장애아동 지원을 위한 사회적 노력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자폐성 장애의 정의와 특성
자폐성 장애란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결함이 있고 제한적이고 반복적인 관심과 활동을 보임으로써 교육적 성취 및 일상생활 적응에 도움이 필요한 장애이다. 자폐성 장애는 1994년 특수교육진흥법에서 처음 용어가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2007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에 의해 정서행동장애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장애영역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자폐성 장애의 원인은 과거에는 부적절한 양육이나 불우한 환경 때문이라고 인식되었으나, 이후 신경학적 연구를 통해 자폐성 장애의 원인은 두뇌 자체의 구조적, 기능적 차이에 있음이 밝혀졌다. 구체적으로는 두뇌의 크기나 영역, 신경전달물질의 차이 등이 자폐성 장애의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신경학적 차이로 인해 자폐성 장애아동은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 행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게 된다.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을 보면, 타인에 대한 의식이 부족하여 눈맞춤이나 호명에 반응하지 않는 등 사회적 참조 기술의 결여를 보인다. 이로 인해 관계 형성이나 우정 등 사회적 상황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한 의사소통 측면에서는 구어 발달의 지체, 반향어 사용, 대명사 사용의 혼란, 비정상적인 음높이와 억양 등의 특징을 나타낸다. 행동 측면에서는 상동 행동, 동일성에 대한 고집, 감각에 대한 비정상적 반응 등을 보인다. 이처럼 자폐성 장애는 사회성, 의사소통, 행동 등 다양한 영역에서의 어려움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자폐성 장애의 정의와 특성에 대한 이해는 자폐성 장애아동을 지원하고 교육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자폐성 장애아동의 어려움과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고 교육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해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1.2.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의사소통 어려움
일반적으로 자폐성 장애아동은 타인과 시선을 마주 보지 못하고, 사회적 미소를 짓지 못하거나 타인의 행동을 모방하지 못한다. 자폐성 장애 아동은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일탈적 특성이 관찰되는데, 타인의 존재를 의식하지 않기 때문에 부모가 호명해도 반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회적 관습을 무시하기도 하며 좋아하는 주제에 국한해서만 상대방과 공유하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좋아하는 활동만 반복하는 경향(상동행동)이 있으며 감각 자극에 대하여 일반 아동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과잉 반응한다. 자폐성 장애 아동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여로 인해 상대방을 모방하는 장면도 포착되지 않는다. 유튜브를 통해 현실의 자폐성 아동의 실제 모습을 확인한 결과, 자폐성 장애아는 영유아기부터 타인과의 상호 소통이 지연되는 현상이 관찰된다. 타인에게는 관심을 보이지 않고 반짝이는 불빛이나 반복되는 도형 등의 패턴에만 관심을 가지기 때문에 심지어 부모와의 의사소통도 시도하지 않는다. 또한 자폐성 장애아동은 기계적인 말투와 함께 정상적인 눈맞춤과 사회적 미소, 긍정적인 정서 표현이 결여되어 있어 사회적 상호작용이 어렵다. 자폐성 장애아동은 타인의 명백한 의도조차도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며,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대응하지 못한다는 특성을 보인다. 이처럼 ...
참고 자료
Patricia A. Prelock, 『자폐 범주성 장애』, 2017, 학지사
영화 네이든. 2015
김상우. 2015. [영화-네이든] 자폐 수학천재 '사랑 풀다'. 인천일보
이호선. 2023. 자폐 아동의 언어 이해하기. 정신의학신문
자폐성 장애학생 교육. 박명애, 박현옥, 김은경, 이효정. 학지사(2018)
영화 말아톤